기울기

원 위의 한 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할 거예요. 원과 직선이 만나는 한 점을 접점이라고 하고, 접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이니까 원의 접선의 방정식이라고 해요.

접선의 방정식도 직선의 방정식의 한 종류니까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를 이용하여 구합니다. 또 접선의 방정식은 원 위의 한 점을 지나니까 이를 이용하기도 하고요.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 글에서는 접점의 좌표를 알 때 접선의 방정식 구하는 방법을 알아볼 거예요.

원의 접선의 방정식, 접점을 알 때 접선의 방정식

원의 방정식 (x - a)2 + (y - b)2 = r2위의 한 점에서 접하는 접선의 방정식 l을 구해보죠. 원의 중심을 C(a, b), 접점의 좌표를 P(x1, y1)라고 할게요.

원의 접선의 방정식 1 - 접점을 알 때

원의 접선은 반지름에 수직이에요. 선분 CP가 반지름이므로 구하고자 하는 접선의 방정식 l과 수직이죠. 두 직선의 위치관계에서 두 직선이 수직이면 (기울기의 곱) = -1이라고 했죠? 직선 l의 기울기를 m이라고 해보죠.

직선 l은 기울기가 m이고, P(x1, y1)을 지나는 직선이니까 직선의 방정식 구하는 공식에 넣어보면
 ……… ①

일반적으로 기울기는 인데, 원의 접선의 방정식 l은 기울기는 거꾸로예요. 그리고 앞에 (-)가 붙고요.

①의 공식으로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도 있지만 다른 공식이 또 있어요.

접점 P(x1, y1)는 원의 방정식 (x - a)2 + (y - b)2 = r2위의 접이기도 해요. (x1, y1)을 대입해보죠.
(x1 - a)2 + (y1 - b)2 = r……… ②

①, ②식을 각각 전개해서 더한 다음에 인수분해하면 아래 공식을 유도할 수 있어요. 유도 과정은 길어서 생략할게요.

(x1 - a)(x - a) + (y1 - b)(y - b) = r2

원래 원의 방정식은 (x - a)(x - a) + (y - b)(y - b) = r2인데, (x1 - a)(x - a) + (y1 - b)(y - b) = r2으로 바뀌었죠? x 하나가 x1으로, y 하나가 y1으로 바뀐 형태예요……

원의 접선의 방정식
(x - a)2 + (y - b)2 = r2위의 접점 P(x1, y1)을 지나는 접선의 방정식

(x1 - a)(x - a) + (y1 - b)(y - b) = r2

두 가지다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보통은 원의 방정식의 모양과 비슷해서 외우기 쉬운 두 번째를 많이 사용하는데, 본인이 외우기 쉬운 공식을 외우세요.

다음을 구하여라.
(1) (x - 2)2 + (y + 1)2 = 5 위의 점 (3,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2) (x + 3)2 + (y + 1)2 = 50 위의 점 (4,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3) x2 + y2 + 6x - 2y - 7 = 0위의 점 (-2,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1) 번은 원의 중심이 (2, -1)이고 접점의 좌표는 (3, -3), r2 = 5예요.

(x1 - a)(x - a) + (y1 - b)(y - b) = r2
(3 - 2)(x - 2) + (-3 + 1)(y + 1) = 5
x - 2 - 2y - 2 - 5 = 0
x - 2y - 9 = 0

어떤 공식을 이용하든 결과가 똑같죠?

(2) 원의 중심은 (-3, -1), 접점의 좌표는 (4, -2), r2 = 50이네요.

(x1 - a)(x - a) + (y1 - b)(y - b) = r2
(4 + 3)(x + 3) + (-2 + 1)(y + 1) = 50
7x + 21 - y - 1 = 50
7x - y - 30 = 0

(3) 번은 먼저 표준형으로 바꿔야겠네요.
x2 + y2 + 6x - 2y - 7 = 0
x2 + 6x + y2 - 2y - 7 = 0
(x + 3)2 + (y - 1)2 - 7 - 9 - 1 = 0
(x + 3)2 + (y - 1)2 = 17

원의 중심이 (-3, 1)이고 접점의 좌표가 (-2, -3), r2 = 17이군요.

(x1 - a)(x - a) + (y1 - b)(y - b) = r2
(-2 + 3)(x + 3) + (-3 - 1)(y - 1) = 17
x + 3 - 4y + 4 = 17
x - 4y - 10 = 0

함께 보면 좋은 글

원의 접선의 방정식 2 - 기울기를 알 때
원의 접선의 방정식 3 - 원 밖의 한 점에서 그은 접선의 방정식
원의 방정식, 원의 방정식 표준형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

정리해볼까요

원의 접선의 방정식

  • (x - a)2 + (y - b)2 = r2위의 접점 P(x1, y1)을 지나는 접선의 방정식
  • (x1 - a)(x - a) + (y1 - b)(y - b) = r2
  • <<  수학 1 목차  >>
     

    두 직선의 위치관계는 중학교 1학년 때 두 직선의 위치관계에서 공부했어요. 이때는 그냥 위치 관계의 종류에 대해서만 공부했죠. 평행, 일치, 수직, 한 점에서 만나는 경우요.

    이 글에서는 직선의 방정식과 위치관계 사이의 관계를 알아볼 거예요. 식을 보고 위치관계를 알아내고, 반대로 위치관계를 보고 직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게요.

    증명 과정이 약간 복잡할 수 있는데, 결론은 간단하니까 결론만 잘 외워두세요.

    두 직선의 위치관계 - 평행, 일치

    두 직선의 위치관계 - 평행

    평행한 두 직선 y = mx + n, y = m'x + n'가 있어요. x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A, A'라고 해보죠. y축에 평행한 직선을 긋고 교점을 B, B'라고 하고요. 이 직선과 x축과의 교점을 H라고 하죠.

    두 개의 직각삼각형이 생겨요. △ABH, △A'B'H

    ∠ABH = ∠A'B'H (평행선에서 동위각)
    ∠AHB = ∠A'HB' = 90°

    두 직각삼각형은 AA 닮음이에요. 대응변의 길이를 비례식으로 표현해보죠.

    으로 y = mx + n의 기울기 즉 m이에요. 는 y = m'x + n'의 기울기 즉 m'이고요. 두 직선이 평행하면 기울기가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m = m'일 때, n = n'이라면 어떨까요? 두 직선은 겹쳐지겠죠? 일치하게 되는 거예요. n ≠ n'이라면 그냥 평행하기만 하고 겹치지는 않고요.

    두 직선의 위치관계 - 수직

    두 직선의 위치관계 - 수직

    y = mx + n과 y = m'x + n'이 수직으로 만날 때에요. 왼쪽 그림의 수직으로 만나는 두 그래프를 교점이 원점이 되도록 그대로 평행이동 시켜보죠. 평행이동 시킨다고 해도 두 직선이 수직으로 만나는 건 바뀌지 않으니까요. y = mx + n은 y = mx가 되고, y = m'x + n'은 y = m'x가 돼요.

    여기에 x = 1이라는 직선을 그렸어요. x = 1과 y = mx의 교점을 A, x = 1과 y = m'x의 교점을 B라고 하면 △OAB가 생기는 데 직각삼각형이에요.

    좌표평면 위의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적용해보죠. A(1, m), B(1, m'), O(0, 0)

    두 직선이 수직일 때는 (두 직선의 기울기의 곱) =  -1이 되는군요.

    수직으로 만나는 경우 말고 그냥 만나는 때는 언제일까요? 기울기가 같으면 평행이라고 했어요. 기울기가 같지 않으면 평행하지 않겠죠? 평행하지 않으면 두 직선은 만나게 돼요. 따라서 기울기가 같지 않으면 한 점에서 만나요.

    두 직선의 위치관계
    y = mx + n,y = m'x + n'
    평행 기울기는 같고, y절편은 다르다 m = m', n ≠ n'
    일치 기울기가 같고 y절편도 같다. m = m', n = n'
    수직 (기울기의 곱) = -1 mm' = -1
    한 점에서 만난다 기울기가 다르다 m ≠ m'

    y = 2x + 3과 평행하고 (2, 1)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두 직선이 평행하려면 기울기가 같고 y절편이 달라야 하죠?

    y = 2x + 3과 평행하다고 했으니 구하려는 직선의 방정식의 기울기는 2에요. y = 2x + n

    y = 2x + n이 (2, 1)을 지난다고 했으니 식에 대입해보죠.

    y = 2x + n
    1 = 2 × 2 + n
    n = -3

    y = 2x - 3이네요.

    y = ax + 3과 y = -x + b가 y축 위의 한 점에서 수직으로 만날 때, a + b의 값을 구하여라.

    y축 위의 한 점에서 만난다고 했어요. y축 위의 점은 바로 y절편이죠? 따라서 y절편이 같다는 뜻이에요. y = ax + 3에서 y절편은 (0, 3)이므로 b = 3이네요.

    두 직선이 수직이려면 (기울기의 곱) = -1이에요. a = 1이네요.

    a + b = 1 + 3 = 4

    함께 보면 좋은 글

    직선의 방정식,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직선의 방정식의 일반형, 직선의 방정식의 표준형
    절댓값 기호가 포함된 식의 그래프
    좌표평면 위의 두 점 사이의 거리
    [중등수학/중1 수학] - 점과 직선의 위치관계, 두 직선의 위치관계
    [중등수학/중2 수학] - 직선의 방정식, 일차함수와 일차방정식
    [중학수학/중3 수학] - 피타고라스의 정리

    정리해볼까요

    두 직선의 위치관계

    • y = mx + n, y = m'x + n'
    • 평행: m = m', n ≠ n'
    • 일치: m = m', n = n'
    • 수직: mm' = -1
    • 한 점에서 만난다.: m ≠ m'
    <<  수학 1 목차  >>
     

    우리 식을 얘기할 때 일반형, 표준형 이런 얘기하죠? 이차함수에서 y = ax2 + bx + c를 이차함수 일반형, y = a(x - p)2 + q를 표준형이라고 했잖아요. 일차방정식은 ax + b = 0, 이차방정식은 ax2 + bx + c = 0 이렇게 썼어요.

    직선의 방정식도 마찬가지로 일반형, 표준형이 있어요. 직선의 방정식의 일반형과 표준형을 알아볼텐데, 용어가 크게 중요한 게 아니니까 공식처럼 외우지 말고 그 의미를 잘 이해하세요. 그냥 단순한 용어 정리일 뿐이에요.

    직선의 방정식의 일반형

    미지수가 x, y 두 개인 일차방정식은 ax + by + c = 0으로 써요. 이 방정식을 직선의 방정식,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에서 사용했던 y = ax + b 꼴로 한 번 바꿔보죠.

    ax + by + c = 0
    by = -ax - c

    b ≠ 0이면 양변을 b로 나눌 수 있어요.

    기울기는 , y절편은 에요.

    이때 a = 0이면 y = 가 되서 x축에 평행한 직선이에요.

    b = 0이면 양변을 b로 나눌 수 없지요.

    0y = -ax - c
    ax = -c
    x =

    양변을 a로 나눴더니 y축에 평행한 직선이 되는군요.

    이때 a = 0이면 어떻게 될까요? b = a = 0이 되어서 c = 0이라는 아무 것도 아닌 게 되어버렸네요.

    방정식. ax + by + c = 0
    방정식 ax + by + c = 0 a ≠ 0 a = 0
    b ≠ 0
    기울기는 , y절편은
    y =
    x축에 평행한 직선
    b = 0 x =
    y축에 평행한 직선
     

    모양을 바꾸고 나니 모두 직선이라는 것을 알 수 있죠?

    보통 좌변에 모든 항을 이항하고 우변에 0만 있는 형태를 일반형이라고 해요. 미지수가 2개인 방정식은 미지수가 x, y이고 차수가 1인 방정식인데 그래프가 직선이죠? 그래서 ax + by + c = 0의 꼴을 직선의 방정식의 일반형이라고 해요.

    모양을 바꿨던 y = ax + b꼴을 직선의 방정식의 표준형이라고 해요. 기울기와 x, y절편을 쉽게 알아볼 수 있는 형태지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직선의 방정식,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중등수학/중2 수학] - 직선의 방정식, 일차함수와 일차방정식
    [중등수학/중2 수학] - 축에 평행한 직선의 방정식
    [중등수학/중2 수학] - 일차함수 식 구하기,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중등수학/중2 수학] - 그래프를 보고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정리해볼까요

    직선의 방정식의 일반형

    • x, y에 대한 일차방정식 ax + by + c = 0의 그래프가 직선
    • 직선의 방정식의 일반형: ax + by + c = 0
    <<  수학 1 목차  >>
     

    직선의 방정식은 중학교 때 공부했던 직선의 방정식, 일차함수와 일차방정식에서 살짝 다뤄본 적이 있어요. 일차함수 그래프의 모양이 평면좌표에서 직선이기 때문에 직선의 방정식이라고 한다고 했죠.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는 일차함수 식 구하기,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와 방법이 같아요. 다만 이제는 조금 더 세련된(?) 방법으로 직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어요.

    공식이 여러 개 나오는데 어떻게 공식이 유도되는지 잘 보고 잊어버리지 않도록 외워두세요.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직선의 방정식은 일차함수와 모양이 같아요. y = ax + b 꼴이죠. 그러니까 직선의 방정식을 구한다는 말은 a, b를 구한다는 것과 같아요. a는 기울기, b는 y절편이죠?

    여러 경우에 a, b를 어떻게 구하는지 방법을 알아보죠.

    기울기와 y절편이 주어졌을 때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일차함수의 일반형 y = ax + b에서 기울기는 a, y절편이 b죠. 기울기와 y절편이 주어졌으면 이 내용을 거꾸로 해서 직선의 방정식을 바로 구할 수 있겠죠?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 기울기와 y절편을 알 때

    기울기가 m이고, y절편이 n인 직선의 방정식 ⇒ y = mx + n

    기울기와 한 점의 좌표가 주어졌을 때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y = ax + b에서 a를 알려준 거예요. 그럼 b만 구하면 되죠? 알려준 기울기가 m이고, 한 점의 좌표가 A(x1, y1)라고 한다면 이 식에 대입해서 b를 구할 수 있어요.

    y = ax + b
    y1 = mx1 + b             (∵ 기울기 m과 (x1, y1) 대입)
    b = y1 - mx1

    y = ax + b
    y = mx + (y1 - mx1)   (∵ 기울기 m과 b = y1 - mx1 대입)
    y - y1 = mx - mx1
    y - y1 = m(x - x1)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 기울기와 한 점의 좌표를 알 때

    기울기가 m이고, 한 점(x1, y1)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 ⇒ y - y1 = m(x - x1)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두 점의 좌표 A(x1, y1), B(x2, y2)를 알면 기울기를 구할 수 있어요.

    m = 기울기

    기울기를 구했네요. 그럼 기울기와 두 점의 좌표를 알게 되었어요. 위에서 했던 공식에 바로 대입해보죠.

    y - y1 = 기울기(x - x1)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 두 점의 좌표를 알 때

    그런데 한 가지 생각해야 할 게 기울기 기울기에서 x1 = x2라면 분모가 0이 되어버리죠? 그러니까 이 공식으로는 x1 = x2일 때 직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없어요.

    x1 = x2일 때는 그래프를 보듯이 모든 x좌표가 x1으로 같고, y축에 평행한 x = x1이 돼요.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 두 점의 좌표를 알 때 - 두 점의 x좌표가 같을 때

    y1 = y2라면 어떨까요? 기울기가 0이겠죠? 모든 점의 y좌표가 y1으로 같고, x축에 평행인 y = y1이 돼요.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 두 점의 좌표를 알 때 - 두 점의 y좌표가 같을 때

    y - y1 = 기울기(x - x1)
    y - y1 = 0             (∵ y1 = y2)
    y = y1

    공식을 이용해서 구할 수 있으니 굳이 따로 외울 필요는 없겠네요.

    두 점 (x1, y1), (x2, y2)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
    x1 ≠ x2일 때, y - y1 = 기울기(x - x1)
    x1 = x2일 때, x = x1

    x절편과 y절편이 주어졌을 때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x절편의 좌표 (a, 0), y절편의 좌표 (0, b)이 주어졌다고 해보죠. x절편과 y절편도 두 점의 좌표에요. 그러니까 위의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 공식에 넣어보죠.

    여기서 a, b가 분모니까 a와 b는 0이 아니에요. a, b 중 하나라도 0일 때는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 구하는 방법으로 구하세요. 참고로 a = b = 0이면 (0, 0)인 점 하나만 알려준 거라서 직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없어요.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 x, y절편을 알 때

    x절편이 (a, 0), y절편이 (0, b)인 직선의 방정식 ⇒  (단, ab ≠ 0)

    다음을 보고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1) 기울기가 3이고 y절편이 5인 직선
    (2) 기울기가 2이고 (3, 5)를 지나는 직선
    (3) 두 점 (2, 5), (4, 6)을 지나는 직선
    (4) x절편이 (3, 0), y절편이 (0, 6)인 직선

    (1)은 기울기와 y절편을 알려줬네요.

    y = mx + n
    y = 3x + 5

    (2)는 기울기와 한 점의 좌표를 알려줬고요.

    y - y1 = m(x - x1)
    y - 5 = 2(x - 3)
    y = 2x - 1

    (3)은 두 점의 좌표를 알려줬네요. 두 점의 x좌표가 서로 다르니까 공식을 이용할 수 있어요.

    (4)는 x,y 절편을 알려줬는데 둘 다 0이 아니에요. 공식에 대입해보죠.

    함께 보면 좋은 글

    직선의 방정식의 일반형과 표준형
    두 직선의 위치관계 - 평행, 일치, 수직
    두 직선의 위치관계와 일차방정식의 해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
    [중등수학/중2 수학] - 일차함수 식 구하기,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중등수학/중2 수학] - 그래프를 보고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정리해볼까요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 기울기가 m이고 y절편이 n인 직선의 방정식 ⇒ y = mx + n
    • 기울기가 m이고, 한 점(x1, y1)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 ⇒ y - y1 = m(x - x1)
    • 두 점 (x1, y1), (x2, y2)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
      • x1 ≠ x2일 때, y - y1 = 기울기(x - x1)
      • x1 = x2일 때, x = x1
    • x절편이 (a, 0), y절편이 (0, b)인 직선의 방정식 ⇒  (단, ab ≠ 0)
    <<  수학 1 목차  >>
     

    일차함수의 식이 주어지면 그래프를 그릴 수 있나요? 거꾸로 이제는 그래프를 보고 또는 그래프의 특징만 보고 일차함수 식을 유추해내야합니다.

    이제까지 공부했던 내용들을 총동원해야해요. 일차함수 그래프의 특징, x, y 절편, 기울기 등이요. 또 일차함수 그래프 그리기에서 공부했던 내용도 이해하고 있어야 해요

    일차함수식을 구하는 것과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는 것은 이름은 다르지만 사실상 같은 얘기라는 것도 알고 있어야하고요.

    일차함수 식은 y = ax + b 꼴이므로 기울기와 y절편을 구하는 게 핵심이에요. 여러 경우에 어떻게 일차함수식을 구하는 지 알아보죠.

    기울기와 y절편을 알 때 일차함수 식 구하기

    y = ax + b라는 일차함수가 있을 때, a는 기울기, b는 y절편이에요.

    따라서 함수를 모르더라도 기울기와 y절편을 알면 함수를 바로 구할 수 있겠죠?

    기울기와 y절편을 알 때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기울기가 -3이고, y절편이 1인 일차함수를 구하여라.

    기울기가 -3, y절편이 1인 일차함수는 y = -3x + 1입니다.

    기울기와 한 점의 좌표를 알 때 일차함수 식 구하기

    기울기는 함수식에 그대로 대입해보죠. y = ax + b에서 a는 알고 있으니까 b만 구하면 되겠네요.

    함수의 그래프가 한 점을 지난다는 얘기는 그 점의 좌표를 함수식에 대입하면 식이 참이 된다는 뜻이죠? 점의 좌표를 y = ax + b에 대입하면 돼요. x와 y는 점의 좌표로 알고 있고, a는 기울기로 주어졌으니까 b를 구할 수 있어요.

    기울기와 한 점의 좌표를 알 때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일차함수 y = 3x + 1 그래프와 평행하고 (3, 2)를 지나는 일차함수를 구하여라.

    일차함수 그래프의 평행과 일치에서 그래프가 평행이라면 기울기가 같고 y절편이 달라야 한다고 했어요. 구하고자 하는 일차함수의 그래프가 y = 3x + 1과 평행하니까 기울기는 3이에요. 따라서 구하는 식은 y = 3x + b의 식이겠네요.

    y = 3x + b 식이 (3, 2)를 지나니까 점의 좌표를 식에 대입해 보죠.
    2 = 3 × 3 + b
    b = -7

    (3, 2)를 대입해서 b를 구했어요. 결국 구하는 일차함수는 y = 3x – 7이네요.

    두 점의 좌표를 알 때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두 점의 좌표만 알고 있을 때는 먼저 기울기를 구해야 해요. 기울기 구하는 방법은 일차함수와 그래프 - 기울기에 나와 있어요.

    이차함수 그래프의 기울기 공식

    기울기는 위 방법으로 구할 수 있고, 원래 문제에서 줬던 두 점의 좌표까지 알고 있어요. 그러면 바로 앞에서 했던 기울기와 한 점의 좌표를 알 때 사용했던 방법 그대로 기울기와 점의 좌표를 이용해서 일차함수 식을 구할 수 있어요.

    두 점의 좌표를 알 때 일차함수 구하기

    두 점 (1, 2), (-2, 17)을 지나는 일차함수 식을 구하여라.

    먼저 두 점의 좌표를 이용해서 기울기를 구해보죠.
    기울기 = (17 - 2) ÷ (-2 - 1) = 15 ÷ (-3) = -5

    기울기가 -5니까 y = -5x + b 라고 놓을 수 있고, 이 그래프가 (1, 2)를 지나니까 대입해보면
    2 = -5 × 1 + b
    b = 7

    따라서 구하고자 하는 일차함수 식은 y = -5x + 7입니다.

    x절편, y절편을 알 때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x절편과 y절편을 안다는 건 x, y축과 만나는 두 점의 좌표를 안다는 뜻이고, 이건 그래프 위의 두 점의 좌표를 알려준 것과 같아요. 따라서 바로 위에서 했던 두 점의 좌표를 알 때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방법에서 했던 것처럼 기울기를 구해야 해요. 기울기를 구하고 거기에 x절편과 y절편을 알고 있으니까 첫 번째 "기울기와 y절편을 알 때 일차함수" 구하기 방법을 사용하면 되겠죠?

    두 점의 좌표를 알 때 + 기울기와 y절편을 알 때를 섞어서 사용하면 돼요.

    x절편, y절편을 알 때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1, 0), (0, 2)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두 점의 좌표를 줬는데, 자세히 보니까 각각 x, y의 좌표가 0일 때로 x절편, y절편이네요. 이 내용을 먼저 알아두세요.

    두 점의 좌표를 줬으니까 기울기를 구해야겠죠?
    기울기 = {2 - 0} ÷ {0 - (-1)} = 2 ÷ 1 = 2

    기울기가 2니까 y = 2x + b라고 할 수 있겠고 두 점 (-1, 0), (0, 2)를 지나니까 한 점의 좌표를 식에 넣어서 b를 구할 수 있어요. 하지만 그보다는 y절편이 b라는 사실을 알고 있으니까 (0, 2)를 이용해서 바로 y = 2x + 2를 구할 수 있겠죠?

    함께 보면 좋은 글

    일차함수의 그래프
    일차함수와 그래프 - x절편, y절편
    일차함수와 그래프 - 기울기
    일차함수 그래프 그리기
    일차함수 y=ax+b 그래프의 특징
    일차함수 그래프의 평행과 일치
    직선의 방정식, 일차함수와 일차방정식

    정리해볼까요

    일차함수 식 구하기 =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 기울기가 a이고 y 절편이 (0, b)일 때: y = ax + b
    • 기울기가 a이고, 한 점 (x1, y1)를 지날 때
      y = ax + b에 x = x1, y = y1을 대입해서 b를 구하여 식 완성
    • 두 점 (x1, y1), (x2, y2)를 지날 때
      a = 기울기
      y = ax + b에 둘 중 한 점의 좌표를 대입해서 b를 구하여 식 완성
    • x 절편, y 절편을 알 때 (m, 0), (0, n):
      a = 기울기 구하기
      기울기와 y 절편을 알고 있으므로 y = -기울기x + n
     

    일차함수의 그래프에서 웬만한 건 다 다루었어요. 일차함수 y = ax + b 그래프에서 a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a의 부호에 따라서 그리고 b의 부호에 따라서 그래프의 모양이 어떻게 바뀌는 지 등이요.

    일차함수 y=ax+b 그래프의 특징

    일차함수를 보면 기울기와 y절편이 바로 눈에 띄죠? 두 개의 일차함수 y = ax + b, y = cx + d가 있다고 할 때, 기울기와 y절편을 비교해서 두 일차함수의 그래프가 평행한지 일치하는지 알아보죠.

    일차함수 그래프의 평행

    평면에서 두 직선이 서로 만나지 않는 걸 평행이라고 해요. 그러니까 일차함수 그래프가 평행하다는 말은 서로 만나지 않는다는 뜻이죠.

    y = ax + b의 그래프는 y = ax 그래프를 y축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라고 했어요. 두 그래프는 서로 만나지 않아요. 그럼 두 그래프는 평행한 것이죠. 사실 평행이동을 했으니까 당연히 평행할 수밖에 없어요.

    두 함수를 비교해볼게요. x, y는 변수니까 바뀔 수 있어서 비교할 수가 없어요. a, b는 상수라서 일정하죠. 두 그래프에서 기울기가 모두 a로 같아요. 그리고 y 절편이 b와 0으로 달라요. 여기서 일차함수의 그래프가 평행하려면 어떤 조건인지 알 수 있어요.

    두 일차함수 그래프가 평행하려면: 기울기가 같고, y 절편은 다르다
    y = ax + b와 y = cx + d에서 a = c이고 b ≠ d → 평행

    일차함수 그래프의 평행

    일차함수 그래프의 일치

    일차함수의 그래프가 일치한다는 건 그래프가 포개진다는 뜻이죠. 포개진다는 건 그래프에서 같은 점 위에 있다는 뜻이고요. 함수식이 같다는 얘기예요.

    y = ax + b와 y = cx + d라는 두 일차함수가 일치하려면 a = c, b = d라는 것이죠.

    두 일차함수의 그래프가 일치하려면: 기울기가 같고, y 절편이 같다.
    y = ax + b와 y = cx + d 에서 a = c 이고 b = d → 일치

    일차함수 그래프의 일치

    일차함수 y = 2x + 1의 그래프와 평행인 일차함수와 일치하는 일차함수를 각각 1개씩 적으시오.

    먼저 문제에서 주어진 함수에서 기울기는 2, y절편은 1이네요. 평행한 것은 기울기가 같고 y절편이 다른 함수니까 기울기는 2일 테고, y 절편은 1만 아니면 돼요. y = 2x + 2도 될 수 있고, y = 2x - 1도 될 수 있겠네요. 그 개수가 매우 많아요.

    일치하는 함수는 기울기도 같고, y 절편도 같아요. 같은 식이라는 거죠. y = 2x + 1이 되겠네요. 일치하는 일차함수는 딱 한 개예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일차함수 그래프 그리기
    일차함수 y=ax+b 그래프의 특징
    직선의 방정식, 일차함수와 일차방정식
    축에 평행한 직선의 방정식
    일차함수 식 구하기,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정리해볼까요

    두 일차함수 그래프

    • 기울기가 같고, y절편이 다르면: 평행
    • 기울기가 같고, y절편도 같으면: 일치
     

    y = ax + b 그래프에서 a는 기울기이고, b는 y 절편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어요. 이제 이 두 가지에 따라 그래프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 알아볼 거예요.

    일차함수의 그래프에서 간략하게 이야기하기는 했는데, 좀 더 자세히 알아보죠.

    먼저 y = ax의 특징을 정리해보죠.

    • 원점(0, 0)을 지난다.
    • a의 절댓값이 커질수록 그래프는 y축에 가까워진다.
    • a > 0
      • x 증가 → y 증가
      • 오른쪽 위로 향하는 직선
      • 1, 3 사분면을 지난다.
    • a < 0
      • x 증가 → y 감소
      • 오른쪽 아래로 향하는 직선
      • 2, 4 사분면을 지난다.

    y = ax와 y = ax + b의 차이는 b가 있고 없고의 차이에요. 사실은 y = ax + b에서 b = 0일 때가 y = ax이에요.

    y = ax + b 그래프의 특징

    y = ax와 y = ax + b의 차이는 b니까 b의 영향을 받는 부분만 다르고 나머지는 똑같아요.

    원점(0, 0)을 지나는 대신 (0, b)를 지나고요.

    그래프가 지나는 사분면은 y절편인 b의 부호에 따라서 달라져요.

    y = ax + b의 그래프
    y=ax+b 그래프의 특징 (a > 0, b > 0)y=ax+b 그래프의 특징 (a > 0, b < 0)
    a > 0, b > 0a > 0, b < 0
    y=ax+b 그래프의 특징 (a < 0, b > 0)y=ax+b 그래프의 특징 (a < 0, b < 0)
    a < 0, b > 0a < 0, b < 0
    일차함수 y = ax + b 그래프의 특징
    a > 0 a < 0
    같은 점 (0, b)를 지난다
    a의 절댓값(|a|)의 절댓값이 커질수록 y축에 가까워진다.
    다른 점 x 증가 → y 증가
    오른쪽 위로 향하는 직선
    b > 0이면 제 1, 2, 3 사분면
    b < 0이면 제 1, 3, 4 사분면
    x 증가 → y 감소
    오른쪽 아래로 향하는 직선
    b > 0이면 제 1, 2, 4 사분면
    b < 0이면 제 2, 3, 4 사분면

    다음 y = ax + b의 그래프를 보고, a와 b의 부호를 구하여라.
    y=ax+b 그래프에서 a, b의 부호 구하기

    a는 그래프의 기울기인데, 그래프가 오른쪽 아래로 향하는 직선이니까 a < 0이겠네요. 그리고 b는 y 절편이니까 y축과 그래프가 만나는 곳의 부호를 보면 되겠죠. x 축보다 윗부분 즉, 양수인 곳에서 만나니까 b > 0이 되는군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일차함수의 그래프
    일차함수와 그래프 - x절편, y절편
    일차함수와 그래프 - 기울기
    일차함수 그래프 그리기

    정리해볼까요

    y = ax + b 그래프의 특징

    • (0, b)를 지난다.
    • a의 절댓값이 커질수록 y축에 가까워진다.
    • a > 0
      • x 증가 → y 증가
      • 오른쪽 위로 향하는 직선
      • b > 0 : 1, 2, 3 사분면을 지난다.
        b < 0 : 1, 3, 4 사분면을 지난다.
    • a < 0
      • x 증가 → y 감소
      • 오른쪽 아래로 향하는 직선
      • b > 0: 1, 2, 4 사분면을 지난다.
        b < 0: 2, 3, 4,사분면을 지난다.
     

    이제 일차함수의 그래프를 직접 그려볼까요?

    일차함수의 그래프를 그리는 방법은 이미 1학년 때 배워봤어요. 함수식이 주어지면 그 식에, x = 1, 2, 3, …을 넣어서 그때의 y값을 구했죠. 그리고 순서쌍을 이용해서 좌표평면에 점을 찍은 다음 그 점들을 이어서 그래프를 그려요. 함수 그래프, 함수의 그래프 특징 비교

    기본 원리는 점들의 좌표를 구해서 점을 찍고, 선으로 연결하는 겁니다. 그런데 사실 점의 좌표가 많이 필요하지 않아요. 그냥 두 개만 있으면 직선을 그을 수 있거든요.

    두 점을 이용해서 일차함수 그래프 그리기

    직선이라는 게 점을 여러 개 연결해도 되지만 두 점을 연결해도 직선이 돼요. 따라서 1학년 때처럼 점들의 좌표를 여러 개 구할 필요 없이 딱 두 개만 구해서 직선으로 연결하면 돼요.

    두 점의 좌표가 주어졌다면 점을 찍어서 직선을 그으면 되고, 점이 주어지지 않고, 함수식만 주어졌다면 x = 1, 2처럼 임의의 값을 두 개 넣어서 좌표를 구해서 점을 찍고, 선을 그어주면 돼요.

    두 점 (1, 1)과 (3, 2)를 지나는 함수의 그래프를 그려라.

    좌표평면 위에 두 점을 찍고 그냥 이어서 연결하세요.

    두 점을 이용해서 일차함수의 그래프 그리기 1두 점을 이용해서 일차함수의 그래프 그리기 2

    x절편, y절편을 이용해서 일차함수 그래프 그리기

    마찬가지로 두 점의 좌표를 이용해서 그래프를 그리는 방법이에요.

    두 개의 점의 좌표를 구할 때 아무 점이나 상관없지만 x절편, y절편을 구하는 방법도 좋아요. y 절편은 y = ax + b라는 함수식에서 b라는 걸 바로 알 수 있지요? 한 점의 좌표(0, b)를 금방 알아낼 수 있잖아요. 그럼 나머지 한 점의 좌표만 구하면 되는데, y = 0을 넣어서 구하면 x 절편이 나오죠.

    문제에서 x, y 절편을 미리 알려주면 좋은 거고, 알려주지 않아도 다른 점의 좌표에 비해서 구하기가 쉬워서 많이 이용하는 방법이에요.

    y = x + 2의 그래프를 그려라. (x절편과 y절편을 이용)

    y = x + 2의 y 절편이 2이므로 y축과 만나는 점은 (0, 2), x 절편이 –2이므로 x축과 만나는 점은 (-2, 0)이네요. 두 점의 좌표를 구했으니 그래프를 그려보죠.

    x절편, y절편을 이용해서 일차함수의 그래프 그리기 1x절편, y절편을 이용해서 일차함수의 그래프 그리기 2

    y절편과 기울기를 이용해서 일차함수 그래프 그리기

    y 절편은 함수식에서 바로 구할 수 있지요?

    일차함수와 그래프에서 기울기가 나타내는 게 뭐죠?

    일차함수의 그래프 - 기울기 공식

    y = ax + b에서 y 절편이 b이므로 이 그래프는 (0, b)를 지나요. 기울기 a가 나태나는 건 x가 1 증가할 때, y는 a만큼 증가한다는 뜻이잖아요. 그래서 x가 0 → 1로 될 때, b → b + a 가 된다는 뜻이지요? 따라서 (0, b)와 (1, b + a)라는 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는 거예요. 물론 (1, b + a)가 아니라 (2, b + 2a), (3, b + 3a)라는 좌표를 구할 수도 있는 거지요. 어차피 두 점의 좌표만 있으면 되니까 아무거나 구해도 상관없어요.

    두 점을 구했으니 좌표평면에 점을 찍고, 직선으로 연결하면 되겠지요?

    y = 2x + 2의 그래프를 그려라. (기울기와 y절편을 이용)

    y절편이 2이므로 이 그래프는 (0, 2)를 지나고 기울기가 2니까 x가 1 증가하면 y는 2 증가한다는 뜻이에요. x가 0 → 1이 되면, y는 2만큼 증가하니까 2 → 4가 되겠지요. 그래프가 지나는 두 점 (0, 2)와 (1, 4)를 구할 수 있어요.

    y절편과 기울기를 이용해서 일차함수의 그래프 그리기 1y절편과 기울기를 이용해서 일차함수의 그래프 그리기 2

    함께 보면 좋은 글

    일차함수의 그래프
    일차함수와 그래프 - x절편, y절편
    일차함수와 그래프 - 기울기
    함수 그래프, 함수의 그래프 특징 비교

    정리해볼까요

    일차함수의 그래프 그리기

    • 두 점의 좌표를 구해서 좌표평면에 표시한 다음, 직선으로 연결
    • 두 점을 구하는 방법
      • 임의의 값을 이용한 두 점
      • x, y 절편
      • y절편과 기울기를 이용한 다른 한 점
     

    일차함수의 그래프에서 또 한가지 알아야 할 내용이 기울기에요.

    일차함수 y = ax 그래프에서 a의 부호에 따라 그래프가 어떤 특징을 가졌는지 알아봤지요? 바로 a가 기울기입니다. 그래프의 특징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치니까 기울기에 대해서 꼭 알고 있어야겠죠?

    함수식이 주어진 경우라면 a를 바로 구할 수 있지만, 식이 주어지지 않았다면 어떻게 a를 구하는지 알아볼까요.

    일차함수의 기울기

    기울기는 말 그대로 그래프가 기울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에요. 그런데 얼마나 기울어졌는지를 각도로 표현하지 않고 숫자로 표현해요.

    이 숫자를 구하는 방법이에요.

    일차함수의 그래프 - 기울기 공식

    그럼 x, y값의 증가량은 어떻게 구하느냐? 그래프에서 임의의 두 점 A(x1, y1), B(x2, y2)를 고르세요. 직선 위에 있는 점이면 아무 점이나 괜찮아요. 두 점의 (B점의 x 좌표 - A점의 x 좌표) 가 x의 증가량 (B점의 y 좌표 - A점의 y 좌표)가 y의 증가량입니다.

    x, y의 증가량을 구할 때 주의해아 할 것은 x의 증가량을 구할 때 B에서 A를 뺐다면 y의 증가량을 구할 때도 B에서 A를 빼야 한다는 거예요. 큰 수에서 작은 수를 빼는 게 아니에요. 증가량이라고 표현했지만 실제로는 x, y이 변한 정도를 나타내는 말로 감소량을 포함하고 있는 거예요. 따라서 x, y의 증가량은 부호가 (-)일 수도 있고 둘의 부호가 다를 수도 있다는 점을 알아두세요.

    다음 일차함수의 그래프를 보고 기울기를 구하여라.
    x절편, y절편 구하기

    위 그래프에는 기울기가 표시되어 있지만 직접 구해보죠.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죠? (2, 0)과 (0, 2)입니다.

    일차함수의 그래프 - 기울기 예제 풀이

    두 점의 좌표를 이용해서 구한 기울기가 문제에서 주어진 함수식에서의 기울기와 같죠?

    함께 보면 좋은 글

    일차함수의 그래프
    일차함수와 그래프 - x절편, y절편
    일차함수 그래프 그리기
    일차함수 y=ax+b 그래프의 특징

    정리해볼까요

    일차함수 그래프의 기울기

    • 함수식의 x의 계수
    • (y 값의 증가량) ÷ (x 값의 증가량)
    • (y2 - y1) ÷ (x2 - x1)
     

    일차함수 y = ax의 그래프의 특징에 대해서 이해했나요?

    • 원점 (0, 0)을 지난다.
    • 기울기의 절댓값이 커질수록 y축에 가깝다.
    • a > 0 이면
      • 오른쪽 위로 향하는 직선
      • x 증가 → y 증가
      • 1, 3 사분면
    • a < 0이면
      • 오른쪽 아래로 향하는 직선
      • x 증가 → y 감소
      • 2, 4 사분면

    y = ax + b의 그래프는 y = ax 그래프를 y축 방향으로 b만큼 평형이동한 그래프라는 것까지는 알고 있어야 해요.

    오늘은 그래프를 읽는 법을 공부할 겁니다. 그래프는 통해서 무엇을 알 수 있는지요. 나중에는 반대로 특정한 정보를 주고, 그래프를 그리는 법도 공부할 거예요.

    x절편

    함수의 그래프에서 절편은 함수의 그래프가 x축,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를 말해요.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를 x 절편,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를 y절편이라고 하지요.

    일차함수와 그래프 - x절편&#44; y절편

    x축의 y좌표는 0이니까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y 좌표도 0이죠. 이거는 그래프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어요. 그래서 x 절편을 다른 말로 y = 0일 때의 x값이라고도 해요. 어차피 같은 얘기예요. 중요한 건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인데 이 점의 y 좌표가 0이니까 함수식에 y = 0을 대입해서 그때의 x값을 구하면 돼요

    y = 2x + 2라는 함수가 있고 이 함수 그래프의 x절편을 구해보죠. y = 0을 대입하면,

    0 = 2x + 2
    2x = -2
    x = -1

    y = 0일 때의 x값이 -1이죠? 이 -1을 x 절편이라고 해요.

    y절편

    x절편이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라면 그래프가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가 y 절편이에요. 그래프가 y축과 만나니까 x 좌표가 0이겠죠. 그래서 다른 말로 x = 0일 때의 y좌표라고도 해요.

    함수식에 x = 0을 넣어서 y절편을 구해요.

    y = 2x + 2
    y = 2

    x = 0을 대입했더니, y = 2라는 값이 나왔네요. 이 함수의 y절편은 2입니다.

    다음 그래프를 보고, x절편과 y절편을 구하여라.
    x절편&#44; y절편 구하기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2, 0)이고,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0, 2)이네요. 따라서 x절편은 2, y절편은 2입니다.

    그래프를 통해서 구할 수도 있고, 아니면 앞에서 했던 방법처럼 x = 0, y = 0을 대입해서 값을 구할 수도 있어요.

    y = ax+b의 x절편, y절편

    일차함수 y = ax + b (a ≠ 0, a, b는 상수)에서의 x절편, y절편을 구해볼까요?

    x절편을 구할 때는 y = 0을 대입한다고 했어요. 대입해 볼게요.
    y = ax + b
    0 = ax + b
    -ax = b
    x = 

    x 절편은 네요. 그래서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 0)이고요.

    y절편은 x = 0을 대입해서 구해요.
    y = ax + b
    y = a × 0 + b
    y = b

    y 절편은 b고, 그때 점의 좌표는 (0, b)예요. 사실 y 절편은 굳이 x = 0을 대입할 필요가 없어요. 왜냐하면 y = ax + b에서 b니까요. 식만 봐도 바로 알 수 있어요.

    • x 절편
      •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
      • y = 0일 때의 x 값
      • y = ax + b에서는 x = 
      •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 (, 0)
    • y절편
      • 그래프가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
      • x = 0일 때의 y 값
      • y = ax + b에서는 b
      • 그래프가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 (0, b)

    함께 보면 좋은 글

    일차함수의 그래프
    일차함수와 그래프 - 기울기
    일차함수 그래프 그리기
    일차함수 y=ax+b 그래프의 특징

    정리해볼까요

    y = ax + b에서 x절편과 y절편

    • x 절편
      •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
      • y = 0일 때의 x 값
      • y = ax + b에서는 x = 
      •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 ( , 0)
    • y절편
      • 그래프가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
      • x = 0일 때의 y 값
      • y = ax + b에서는 b
      • 그래프가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 (0, b)
     

    + 최근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