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지름

원의 접선의 방정식 세 번째에요. 이번에는 원 밖의 한 점에서 원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이에요. 원 안에서는 원에 접선을 그을 수는 없으니까 당연히 원 밖의 한 점이어야겠죠?

여기서는 공식이 나오지 않아요. 게다가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는 방법도 기울기를 알 때 접선의 방정식에서 했던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니까 이해하기 쉬울 거예요. 대신 계산이 조금 복잡한데 문제에서는 계산하기 쉽게 식을 간단하게 주니까 많이 어렵지는 않을 거예요.

앞에서 충분히 했던 내용이니까 나머지는 그대도 하면 되고, 핵심적인 내용 딱 한 가지만 기억하세요.

원의 접선의 방정식 3 - 원 밖의 한 점에서 그은 접선의 방정식

원의 접선의 방정식 3 - 원 밖의 한 점에서 그은 접선의 방정식

원 밖의 한 점 P(x1, y1)에서 원 (x - a)2 + (y - b)2 = r2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는 건데 다른 말로는 점 P(x1, y1)을 지나고 원 (x - a)2 + (y - b)2 = r2에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이라고도 표현해요. 직선이 2개가 생기죠?

이 직선의 기울기를 아직 모르는데 m이라고 가정해 볼게요. 이게 이 글의 핵심이에요. 기울기를 m으로 놓는 거요. 그럼 우리가 구하려고 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기울기가 m이고 점 P(x1, y1)을 지나는 직선이에요.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에서 해봤죠?

y - y1 = m(x - x1)

이 직선에서 m을 구하면 식이 완성돼요. m을 구하는 방법은 두 가지에요. 원의 접선의 방정식 2 - 기울기를 알 때 접선의 방정식에서 했던 방법 두 가지와 같아요. 판별식 D를 이용하는 방법과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 = (반지름)을 이용하는 방법이요.

위의 직선을 y에 관해서 정리하면 표준형으로 바꿀 수 있어요. y = m(x - x1) + y1

이렇게 y에 관해서 정리한 식을 원의 방정식 (x - a)2 + (y - b)2 = r2에 대입하면 x에 관한 이차방정식이 되고, 여기서 판별식 D = 0일 때, m을 구하면 돼요.

위의 직선을 일반형으로 바꿔보세요. mx - y - mx1 + y1 = 0

원의 중심 (a, b)에서 접선 mx - y - mx1 + y1 = 0까지의 거리가 반지름 r과 같다는 것을 이용해서 m을 구할 수도 있어요.

원 밖의 한 점(x1, y1)에서 원 (x - a)2 + (y - b)2 = r2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
기울기를 m이라고 가정하고 y - y1 = m(x - x1)이라는 식을 세운다.
(1) y - y1 = m(x - x1)을 원의 방정식에 대입하여 판별식 D = 0 이용하여 m을 구하거나
(2) 원의 중심(a, b)에서 직선까지의 거리 = 반지름을 이용하여 m을 구한다.

(0, 4)를 지나고 x2 + y2 = 9에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한 점을 지나고 원에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이 바로 한 점에서 그은 접선의 방정식이에요. 같은 말이니까 헷갈리지 마세요.

직선의 방정식의 기울기를 m이라고 가정하면 이 직선이 (0, 4)를 지나니까 식을 세울 수 있어요.
y - 4 = m(x - 0)
y = mx + 4

이 식을 원의 방정식에 대입해보죠.
x2 + (mx + 4)2 = 9
x2 + m2x2 + 8mx + 16 - 9 = 0
(m2 + 1)x2 + 8mx + 7 = 0

D/4 = (4m)2 - (m2 + 1) × 7 = 0
16m2 - 7m2 - 7 = 0
9m2 = 7
m2 =
m = ±

답은 y = ±x + 4

이번에는 판별식이 아니라 원의 중심에서 접선까지의 거리를 이용해서 구해볼까요?

y = mx + 4
mx - y + 4 = 0

원의 중심은 (0, 0)이고 반지름은 3, 접선의 방정식은 mx - y + 4 = 0이에요.

y = ±x + 4로 답이 같죠?

함께 보면 좋은 글

원의 접선의 방정식, 접점을 알 때 접선의 방정식
원의 접선의 방정식 2 - 기울기를 알 때 접선의 방정식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
점과 직선사이의 거리 공식, 증명, 유도
직선의 방정식,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직선의 방정식의 일반형, 직선의 방정식의 표준형

정리해볼까요

원 밖의 한 점 (x1, y1)에서 원 (x - a)2 + (y - b)2 = r2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

  1. 기울기를 m이라고 가정하고 y - y1 = m(x - x1)이라는 식을 세운다.
  2. m을 구한다.
    • y - y1 = m(x - x1)을 원의 방정식에 대입하여 판별식 D = 0 이용
    • 원의 중심(a, b)에서 직선까지의 거리 = 반지름을 이용
  3. ①의 식에 ②에서 구한 m을 대입하여 식 완성
<<  수학 1 목차  >>
 
그리드형

원 위의 한 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할 거예요. 원과 직선이 만나는 한 점을 접점이라고 하고, 접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이니까 원의 접선의 방정식이라고 해요.

접선의 방정식도 직선의 방정식의 한 종류니까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를 이용하여 구합니다. 또 접선의 방정식은 원 위의 한 점을 지나니까 이를 이용하기도 하고요.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 글에서는 접점의 좌표를 알 때 접선의 방정식 구하는 방법을 알아볼 거예요.

원의 접선의 방정식, 접점을 알 때 접선의 방정식

원의 방정식 (x - a)2 + (y - b)2 = r2위의 한 점에서 접하는 접선의 방정식 l을 구해보죠. 원의 중심을 C(a, b), 접점의 좌표를 P(x1, y1)라고 할게요.

원의 접선의 방정식 1 - 접점을 알 때

원의 접선은 반지름에 수직이에요. 선분 CP가 반지름이므로 구하고자 하는 접선의 방정식 l과 수직이죠. 두 직선의 위치관계에서 두 직선이 수직이면 (기울기의 곱) = -1이라고 했죠? 직선 l의 기울기를 m이라고 해보죠.

직선 l은 기울기가 m이고, P(x1, y1)을 지나는 직선이니까 직선의 방정식 구하는 공식에 넣어보면
 ……… ①

일반적으로 기울기는 인데, 원의 접선의 방정식 l은 기울기는 거꾸로예요. 그리고 앞에 (-)가 붙고요.

①의 공식으로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도 있지만 다른 공식이 또 있어요.

접점 P(x1, y1)는 원의 방정식 (x - a)2 + (y - b)2 = r2위의 접이기도 해요. (x1, y1)을 대입해보죠.
(x1 - a)2 + (y1 - b)2 = r……… ②

①, ②식을 각각 전개해서 더한 다음에 인수분해하면 아래 공식을 유도할 수 있어요. 유도 과정은 길어서 생략할게요.

(x1 - a)(x - a) + (y1 - b)(y - b) = r2

원래 원의 방정식은 (x - a)(x - a) + (y - b)(y - b) = r2인데, (x1 - a)(x - a) + (y1 - b)(y - b) = r2으로 바뀌었죠? x 하나가 x1으로, y 하나가 y1으로 바뀐 형태예요……

원의 접선의 방정식
(x - a)2 + (y - b)2 = r2위의 접점 P(x1, y1)을 지나는 접선의 방정식

(x1 - a)(x - a) + (y1 - b)(y - b) = r2

두 가지다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보통은 원의 방정식의 모양과 비슷해서 외우기 쉬운 두 번째를 많이 사용하는데, 본인이 외우기 쉬운 공식을 외우세요.

다음을 구하여라.
(1) (x - 2)2 + (y + 1)2 = 5 위의 점 (3,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2) (x + 3)2 + (y + 1)2 = 50 위의 점 (4,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3) x2 + y2 + 6x - 2y - 7 = 0위의 점 (-2,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1) 번은 원의 중심이 (2, -1)이고 접점의 좌표는 (3, -3), r2 = 5예요.

(x1 - a)(x - a) + (y1 - b)(y - b) = r2
(3 - 2)(x - 2) + (-3 + 1)(y + 1) = 5
x - 2 - 2y - 2 - 5 = 0
x - 2y - 9 = 0

어떤 공식을 이용하든 결과가 똑같죠?

(2) 원의 중심은 (-3, -1), 접점의 좌표는 (4, -2), r2 = 50이네요.

(x1 - a)(x - a) + (y1 - b)(y - b) = r2
(4 + 3)(x + 3) + (-2 + 1)(y + 1) = 50
7x + 21 - y - 1 = 50
7x - y - 30 = 0

(3) 번은 먼저 표준형으로 바꿔야겠네요.
x2 + y2 + 6x - 2y - 7 = 0
x2 + 6x + y2 - 2y - 7 = 0
(x + 3)2 + (y - 1)2 - 7 - 9 - 1 = 0
(x + 3)2 + (y - 1)2 = 17

원의 중심이 (-3, 1)이고 접점의 좌표가 (-2, -3), r2 = 17이군요.

(x1 - a)(x - a) + (y1 - b)(y - b) = r2
(-2 + 3)(x + 3) + (-3 - 1)(y - 1) = 17
x + 3 - 4y + 4 = 17
x - 4y - 10 = 0

함께 보면 좋은 글

원의 접선의 방정식 2 - 기울기를 알 때
원의 접선의 방정식 3 - 원 밖의 한 점에서 그은 접선의 방정식
원의 방정식, 원의 방정식 표준형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

정리해볼까요

원의 접선의 방정식

  • (x - a)2 + (y - b)2 = r2위의 접점 P(x1, y1)을 지나는 접선의 방정식
  • (x1 - a)(x - a) + (y1 - b)(y - b) = r2
  • <<  수학 1 목차  >>
     
    그리드형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

    2013. 9. 2. 16:00

    기억나진 않겠지만,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는 중학교 1학년 때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에서 공부했었어요. 이때는 그림을 보면서 어떤 위치관계가 있는지만을 공부했었죠.

    이제는 단순히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의 종류뿐 아니라 그러한 위치를 갖는 조건을 알아볼 거예요. 물론 위치관계를 가질 조건은 원의 방정식과 직선의 방정식의 관계를 말하죠. 주어진 식을 이용해서 원과 직선에 어떤 관계가 있을 때, 어떤 위치관계에 있는지를 알아보죠.

    앞서 했던 여러 단원의 내용이 광범위하게 나오니까 전에 공부했던 내용을 잘 떠올려보세요.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는 그림에서 보듯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날 때, 한 점에서 만날 때, 만나지 않을 때 세 가지 경우가 있어요. 한 점에서 만날 때를 접한다고 하고요.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 1

    판별식 이용

    원의 방정식은 x, y에 관한 이차방정식이고 직선의 방정식은 x, y에 관한 일차방정식이에요. 그래프에서의 교점은 원의 방정식의 해이면서 직선의 방정식의 해 즉 연립방정식의 해고요. 그러니까 교점의 개수를 구하는 건 연립방정식의 해의 개수를 구하는 것과 같아요.

    이차방정식과 일차방정식으로 된 연립방정식은 일차식을 한 문자에 관해서 정리한 후에 이차식에 대입해서 풀었어요. 여기서도 이 방법을 이용합니다.

    일차식인 직선의 방정식을 한 문자에 관해서 정리한 후에 이차식인 원의 방정식에 대입하면 그 식은 이차식이에요. 이 이차식의 해의 개수가 연립방정식의 해의 개수이고, 이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이용해서 구할 수 있어요.

    1. 일차식인 직선의 방정식을 한 문자에 관해서 정리
    2. 1의 식을 이차식인 원의 방정식에 대입. 전개
    3. 2의 식에서 판별식 D를 구한다.

    D > 0 ⇔ 서로 다른 두 실근 ⇔ 서로 두 점에서 만난다.
    D = 0 ⇔ 중근 ⇔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D < 0 ⇔ 허근 ⇔ 만나지 않는다.

    직선을 y에 대해서 정리한 형태가 바로 직선의 방정식의 표준형이에요. 그리고 이걸 원의 방정식에 대입하여 판별식을 구하는 이차식은 일반형이고요.

    원의 중심에서 직선까지의 거리 이용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공식을 이용할 수도 있어요. 원의 방정식에서 원의 중심의 좌표를 구한 다음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구하고 이를 원의 반지름과 비교하는 거예요.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 2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d, 원의 반지름을 r이라고 해보죠.

    d < r ⇔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d = r ⇔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d > r ⇔ 만나지 않는다.

    원의 중심을 구하려면 원이 표준형으로 되어 있어야겠죠? 원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구할 때 직선의 방정식은 일반형이고요.

    위의 내용을 표로 정리해보죠.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
    판별식 D 이용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 이용
    형태 원의 방정식: 일반형
    직선의 방정식: 표준형
    원의 방정식: 표준형
    직선의 방정식: 일반형
    방법 직선의 방정식을 한 문자에 관하여 정리한 후 원의 방정식에 대입하여 판별식 이용 원의 중심과 직선의 방정식 사이의 거리 이용
    서로 다른 두 점 D > 0 d < r
    한 점 D = 0 d = r
    만나지 않는다. D < 0 d > r

    다음 원의 방정식과 직선의 방정식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기 위한 k의 조건을 구하여라.
    (1) x2 + y2 + 4x + 8y + k - 8 = 0, x + y - 4 = 0
    (2) (x - k)2 + (y + 2)2 = 5, x + 2y + 10 = 0

    (1)번은 원의 방정식은 일반형, 직선의 방정식도 일반형이네요. 원의 방정식은 일반형이라면 직선의 방정식이 표준형이어야 판별식을 이용할 텐데 말이죠. 그런데 이때는 직선의 방정식을 그냥 표준형으로 바꾸면 돼요. 표준형으로 바꾸는 건 정말 쉬우니까요.

    x + y - 4 = 0
    y = -x + 4

    이 식을 원의 방정식에 대입해보죠.
    x2 + (-x + 4)2 + 4x + 8(-x + 4) + k - 8 = 0
    x2 + x2 - 8x + 16 + 4x - 8x + 32 + k - 8 = 0
    2x2 - 12x + k + 40 = 0

    이차식이 만들어졌는데, 이차식의 해의 개수가 두 방정식의 교점의 개수와 같아요.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진다고 했으니 D > 0이어야겠네요.

    D/4 = 62 - 2(k + 40) > 0
    36 - 2k - 80 > 0
    2k < -44
    k < -22

    (2) 원의 방정식은 표준형, 직선의 방정식은 일반형이에요. 이때는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이용해요.

    원의 중심의 좌표는 (k, -2), 반지름은 예요.

    절댓값 기호를 풀 때는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일차부등식의 풀이를 이용했어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원의 방정식, 원의 방정식 표준형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공식, 증명, 유도
    직선의 방정식의 일반형, 직선의 방정식의 표준형
    연립방정식 - 연립이차방정식의 풀이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일차부등식의 풀이

    정리해볼까요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

    • 판별식 D를 이용
      1. 일차식을 한 문자에 관하여 정리
      2. 1식을 원의 방정식에 대입
      3. 2식에서 판별식 D를 구함
        • D > 0 ⇔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 D = 0 ⇔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 D < 0 ⇔ 만나지 않는다.
      1.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 이용
        • 원의 중심의 좌표에서 직선까지의 거리 d와 원의 반지름 r 비교
        • d < r ⇔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 d = r ⇔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 d > r ⇔ 만나지 않는다.
      <<  수학 1 목차  >>
       
      그리드형

      직선의 방정식에서는 축과 만나는 점이 있었어요. 그걸 x, y절편이라고 부르죠. x, y절편의 좌표를 이용해서 직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었어요.

      원의 방정식에서는 축과 단순히 만나는 게 아니라 접하는 경우에 대해서 공부할 거예요. x, y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은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이용해서 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을 구하는 방법도 알아볼 거예요.

      그냥 식만 생각하기보다는 그래프를 종이에 그려보면 조금 더 쉽게 문제를 풀 수 있어요. 특징이 간단하니까 그래프만 그리면 문제는 금방 풀 수 있어요.

      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

      x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

      x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

      위 그림에서 원의 중심의 좌표는 (a, b)에요. 그런데 원이 x축에 접하고 있으므로 중심의 y좌표는 반지름 r과 같아요. b = r

      원이 제 1사분면이 아니라 제 4사분면에 있다면 어떨까요? 그때도 b = r이 될까요? 원이 제 4사분면에 있다면 b < 0이에요. 반지름 r은 길이니까 무조건 0보다 커야 해요. 이때는 -b = r이라고 해야겠죠?

      두 경우에 모두 적용될 수 있게 |b| = r이라고 합니다.

      원이 제 1사분면에 있든 제 4사분면에 있든 상관없이 b2 = r2이니까 (x - a)2 + (y - b)2 = r2을 (x - a)2 + (y - b)2 = b2이라고 쓸 수 있어요.

      x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
      반지름 = 중심의 y좌표의 절댓값
      r = |b|
      (x - a)2 + (y - b)2 = b2

      y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

      y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

      위 그림에서 원의 중심의 좌표는 (a, b)에요. 그런데 원이 y축에 접하고 있으므로 중심의 x좌표는 반지름 r과 같아요. a = r

      원이 제 1사분면이 아니라 제 2사분면에 있다면 어떨까요? 그때도 a = r이 될까요? 원이 제 2사분면에 있다면 a < 0이에요. 반지름 r은 길이니까 무조건 0보다 커야 해요. 따라서 두 경우에 모두 적용될 수 있게 |a| = r이라고 해야겠죠?

      여기서도 원이 위치한 사분면에 관계없이 a2 = r2니까 (x - a)2 + (y - b)2 = a2이라고 쓸 수 있어요.

      y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
      반지름 = 중심의 x좌표의 절댓값
      r = |a|
      (x - a)2 + (y - b)2 = a2

      x, y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

      x, y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

      위 그림에서 원의 중심의 좌표는 (a, b)에요. 그런데 원이 x, y축에 접하고 있으므로 중심의 x좌표와 중심의 y좌표, 반지름 r이 같아요. a = b = r

      그런데, a, b는 원이 위치한 사분면에 따라서 부호가 달라져요. a또는 b가 (-)가 될 수 있다는 얘기지요. r은 양수여야 하니까 |a| = |b| = r이라고 해야 합니다.

      앞선 두 경우에는 r을 a 또는 b로 대신 썼는데, 이번에는 반대로 a, b를 r로 바꿔서 나타내보죠.

      원이 제 1사분면에 있으면 원의 중심은 둘 다 (+)니까 원의 중심을 (r, r)이고 할 수 있죠.
      (x - r)2 + (y - r)2 = r2

      원이 제 2사분면에 있으면 원의 중심의 x좌표는 (-), y좌표는 (+)에요. 원의 중심을 (-r, r)이고 할 수 있어요.
      (x + r)2 + (y - r)2 = r2

      원이 제 3사분면에 있으면 원의 중심은 둘 다 (-)니까 원의 중심을 (-r, -r)이고 할 수 있어요.
      (x + r)2 + (y + r)2 = r2

      원이 제 4사분면에 있으면 원의 중심의 x좌표는 (+), y좌표는 (-)에요. 원의 중심을 (r, -r)이고 할 수 있어요.
      (x - r)2 + (y + r)2 = r2

      x, y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
      원의 위치 중심의 좌표 원의 방정식
      제 1사분면 (r, r) (x - r)2 + (y - r)2 = r2
      제 2사분면 (-r, r) (x + r)2 + (y - r)2 = r2
      제 3사분면 (-r, -r) (x + r)2 + (y + r)2 = r2
      제 4사분면 (r, -r) (x - r)2 + (y + r)2 = r2

      x, y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
      반지름 = 중심의 x좌표의 절댓값 = 중심의 y좌표의 절댓값
      r = |a| = |b|

      다음 원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1) 중심의 좌표가 (1, 2)이고 x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
      (2) 중심의 좌표가 (-3, -4)이고, y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
      (3) 반지름의 길이가 5이고 제 4사분면에서 x, y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

      중심이 (a, b)이고 반지름이 r인 원의 방정식은 (x - a)2 + (y - b)2 = r2이에요.

      x축에 접하는 원이라면 중심의 y좌표의 절댓값과 반지름이 같고, y축에 접하는 원이라면 중심의 x좌표의 절댓값과 반지름이 같아요. x, y축에 동시에 접하는 원이라면 (중심의 x좌표 절댓값)= (중심의 y좌표 절댓값) = (반지름 r)이고요.

      (1)은 x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이니까 |중심의 y좌표| = |2| = r
      (x - 1)2 + (y - 2)2 = 22
      (x - 1)2 + (y - 2)2 = 4

      (2)는 y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이니까 |중심의 x좌표| = |-3| = r
      (x + 3)2 + (y + 4)2 = 32
      (x + 3)2 + (y + 4)2 = 9

      (3)은 x, y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이니까 |중심의 x좌표| = |중심의 y좌표| = r이에요. 그런데, 제 4사분면 위에 있으니까 중심의 x좌표는 (+), 중심의 y좌표는 (-)에요. 원의 반지름이 5니까 중심의 좌표는 (5, -5)네요.
      (x - 5)2 + (y + 5) 2= 52
      (x - 5)2 + (y + 5)2 = 25

      함께 보면 좋은 글

      원의 방정식, 원의 방정식 표준형
      세 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 원의 방정식 일반형
      아폴로니오스의 원, 아폴로니오스의 원 증명

      정리해볼까요

      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 (x - a)2 + (y - b)2 = r2

      • x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 반지름 r = |b|
        (x - a)2 + (y - b)2 = b2
      • y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 반지름 r = |a|
        (x - a)2 + (y - b)2 = a2
      • x, y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 반지름 r = |a| = |b|
        제 1사분면: (x - r)2 + (y - r)2 = r2
        제 2사분면: (x + r)2 + (y - r)2 = r2
        제 3사분면: (x + r)2 + (y + r)2 = r2
        제 4사분면: (x - r)2 + (y + r)2 = r2
      <<  수학 1 목차  >>
       
      그리드형

      원의 방정식 표준형에 이어서 원의 방정식 일반형에 대해서 알아볼 거예요. 식의 일반형은 좌변에 모든 항이 있고, 우변 = 0인 꼴을 말해요.

      이차함수 식 구할 때 이차함수의 일반형을 이용했어요. 바로 세 점의 좌표를 알려줬을 때죠. 원의 방정식도 비슷합니다. 세 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을 구할 때 일반형을 이용해요.

      표준형을 일반형으로 바꾸는 건 간단히 전개만 하면 되지만, 일반형을 표준형으로 바꾸는 건 조금 달라요. 하지만 이미 많이 해봤던 거라서 금방 할 수 있어요.

      세 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

      원의 방정식의 표준형은 (x - a)2 + (y - b)2 = r2이에요. 전개해보죠.

      (x - a)2 + (y - b)2 = r2
      x2 - 2ax + a2 + y2 - 2by + b2 = r2
      x2 + y2 - 2ax - 2by + a2 + b2 - r2 = 0

      여기서 -2a = A, -2b = B, a2 + b2 - r2 = C라는 문자로 치환하면
      x2 + y2 + Ax + By + c = 0

      원의 방정식 일반형
      x2 + y2 + Ax + By + C = 0

      원의 방정식 표준형은 원의 중심과 반지름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요. 일반형은 그렇지 못하죠? 그런데도 일반형을 쓰는 이유는 세 점의 좌표를 알고 있을 때 조금 더 쉽게 원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세 점 (-2, 2), (4, -6), (5, -5)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세 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 원의 방정식 일반형

      x2 + y2 + Ax + By + C = 0에 세 점의 좌표를 대입해보죠.

      (-2)2 + 22 - 2A + 2B + C = 0
      2A - 2B - C = 8 ……… ①

      42 + (-6)2 + 4A - 6B + C = 0
      4A - 6B + C = -52 ……… ②

      52 + (-5)2 + 5A - 5B + C = 0
      5A - 5B + C = -50 ……… ③

      A, B, C에 관한 연립방정식이 만들어졌어요. 미지수가 3개인 연립일차방정식 풀어봤었죠?

      ① + ② = 6A - 8B = -44
                    3A - 4B = -22 ……… ④

      ① + ③ = 7A - 7B = -42
                    A - B = -6  ……… ⑤

      ④, ⑤를 연립해서 풀면 A = -2, B = 4

      ①에 A = -2, B = 4를 대입하면 C = -20

      답은 x2 + y2 - 2x + 4y - 20 = 0

      원의 방정식 일반형을 표준형으로

      원의 방정식 일반형을 다시 표준형으로 바꿔보죠. 이차함수 일반형을 표준형으로 바꾸는 방법과 똑같아요.

      원의 방정식 일반형을 표준형으로 바꾸기

      원의 중심의 좌표는 원의 중심이고, 반지름은 반지름에요.

      표준형에서 우변은 반지름의 제곱이므로 0보다 커야 해요. 값을 다 비교할 필요는 없고 반지름의 분자에 있는 제곱근 안의 값만 0보다 크면 되죠.

      A2 + B2 - 4C > 0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처럼 주어진 식이 원의 방정식 원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때 사용해요. 자주 사용하는 건 아니니까 꼭 알아야 하는 건 아니지만 알아두면 편리하긴 하죠.

      x2 + y2 - 6x + 8y + k = 0이 원의 방정식일 때, 상수 k의 범위를 구하여라.

      A2 + B2 - 4C > 0
      (-6)2 + 82 - 4k > 0
      36 + 64 - 4k > 0
      4k < 100
      k < 25

      일반형을 표준형으로 바꿔서 계산해볼까요?

      x2 + y2 - 6x + 8y + k = 0
      x2 - 6x + y2 + 8y + k = 0
      x2 - 6x + 9 - 9 + y2 + 8y + 16 - 16 + k = 0
      (x - 3)2 + (y + 4)2 + k - 25 = 0
      (x - 3)2 + (y + 4)2 = 25 - k

      우변 25 - k는 반지름의 제곱이므로 25 - k > 0. 따라서 k < 25

      어떤 방법으로 해도 답은 똑같아요. 편한 방법을 선택하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원의 방정식, 원의 방정식 표준형
      [중학수학/중3 수학] y = ax2 + bx + c의 그래프, 이차함수 일반형

      정리해볼까요

      원의 방정식 일반형

      • x2 + y2 + Ax + By + C = 0
      • 세 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을 구할 때 사용
      <<  수학 1 목차  >>
       
      그리드형

      원의 방정식은 그리 어려운 내용이 아니에요. 간단하게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이용해서 구할 수 있으니까요. 원과 관련된 기본적인 용어의 정의와 특징만 이해하고 있으면 돼요. 오히려 중학교 때 공부했던 원주각, 중심각 등보다 쉽다고 할 수 있죠.

      직선의 방정식에서 표준형과 일반형을 공부했어요. 원의 방정식에도 표준형과 일반형이 있는데, 이 글에서는 원의 방정식 표준형을 알아볼 거예요.

      원의 방정식 공식을 유도하는 방법과 여러 문제에서 어떻게 원의 방정식을 구하는 지를 유형별로 알아보죠.

      원의 방정식

      원은 한 점(정점)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점들의 집합이에요. 이때 한 정점을 원의 중심이라고 하고, 같은 거리를 반지름이라고 하죠.

      원의 방정식 - 좌표평면 위의 원

      좌표평면에서 한 점 C에서 같은 거리(반지름. r)에 점을 그리고 임의의 점의 좌표를 P라고 해보죠. 반지름 r은 의 길이와 같아요. 좌표평면 위의 두 점 사이의 거리 공식을 이용하여 C와 P 사이의 거리를 구해볼까요?

      P는 임의의 점이니까 원 위에 있는 모든 점은 위 방정식을 만족해요. 이 방정식이 바로 원의 방정식입니다.

      원의 중심이 (a, b)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의 방정식
      ⇔ (x - a)2 + (y - b)2 = r2

      만약에 원의 중심이 원점(0, 0)이면 x2 + y2 = r2이겠죠?

      위와 같은 형태를 원의 방정식의 표준형이라고 해요. 이차함수에서도 직선의 방정식에서도 표준형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었죠? 표준형을 보면 반지름과 원의 중심을 쉽게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요.

      다음을 보고 원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1) 중심이 (3, 2)이고 반지름이 9인 원
      (2) 중심이 (-1, 2)이고 (2, 6)을 지나는 원
      (3) (-3, -5)와 (5, 9)을 지름의 양 끝점으로 하는 원

      원의 중심이 (a, b)이고 반지름이 r인 원의 방정식은 (x - a)2 + (y - b)2 = r2이에요.

      (1) 공식에 그대로 대입해보죠.
      (x - 3)2 + (y - 2)2 = 92

      (2) 공식에 넣어보면 (x + 1)2 + (y - 2)2 = r2에요.

      원의 방정식이 (2, 6)을 지나니까 이걸 식에 대입하면 r을 구할 수 있어요. 대입해보죠.
      (x + 1)2 + (y - 2)2 = r2
      (2 + 1)2 + (6 - 2)2 = r2
      32 + 42 = r2
      r2 = 9 + 16
      r2 = 25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x + 1)2 + (y - 2)2 = 25

      (3) 중심과 반지름이 아니라 지나는 두 점을 알려줬네요. 그런데 두 점이 지름의 양 끝점이라고 했어요. 지름은 원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으로 지름의 중점이 원의 중심이에요. 원의 중심을 구하면 (2) 번에서 했던 방법을 이용해서 r2을 구할 수 있어요.

      원의 중심의 좌표를 (a, b)라고 한다면

      원의 중심은 (1, 2)이니까 (x - 1)2 + (y - 2)2 = r2이네요. (5, 9)를 대입해보죠.

      (x - 1)2 + (y - 2)2 = r2
      (5 - 1)2 + (9 - 2)2 = r2
      42 + 72 = r2
      r2 = 16 + 49
      r2 = 65

      따라서 원의 방정식은 (x - 1)2 + (y - 2)2 = 65

      함께 보면 좋은 글

      두 점 사이의 거리, 좌표평면 위의 두 점 사이의 거리
      직선의 방정식의 일반형, 직선의 방정식의 표준형
      직선의 방정식,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두 직선의 위치관계 - 평행, 일치, 수직
      두 직선의 위치관계 - 일반형

      정리해볼까요

      원의 방정식

      • 원: 한 정점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점들의 집합
      • 원의 중심이 (a, b)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의 방정식
      • (x - a)2 + (y - b)2 = r2
      • 원의 방정식 표준형: 원의 중심, 반지름을 쉽게 구할 수 있다.
      <<  수학 1 목차  >>
       
      그리드형

      다각형에 이어 이번에는 원이에요.

      다각형은 여러 개의 선분으로 둘러싸인 평면도형이었어요.

      이번에는 선분이 아닌 것들로 둘러싸인 도형을 공부할 거예요. 바로 원과 그 친구들이죠.

      원은 초등학교 때 지름, 반지름, 넓이 구하는 걸 하면서 공부했어요. 그때의 내용이 또 나와요. 하지만 고맙게도 계산은 훨씬 쉬워졌어요. 기대하세요.

      원, 호, 현, 활꼴, 부채꼴

      은 한 점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는 점들로 이루어진 도형이에요. 그리고 그 한 점을 원의 중심이라고 하고, 일정한 거리를 우리는 반지름이라고 하지요.

      호, 현, 원의 중심, 지름

      는 원의 일부분인데, 원 위의 두 점을 양 끝으로 하는 원의 일부를 말해요. 이때 양 끝점이 A, B이면 호 AB라고 부르고 기호로 로 나타내요. 선분 AB는 AB 위에 반듯한 선을 그어서 선분 AB로 표시했는데, 호는 AB 위에 곡선을 그어서 표시해요.

      A와 B를 양 끝점으로 하고, 중간에 점 C를 지나는 호는 정확한 경로를 알 수 있게 호 ACB라고 불러요.

      은 원 위의 두 점을 이은 선분을 말해요. 현이 지나는 두 점이 AB이면 현 AB라고 부르고 기호로 선분로 표시해요. 현은 반듯한 선분이라서 기호도 그냥 선분 기호를 사용해요.

      현 중에서 원의 중심을 지나는 현을 지름이라고 하고, 지름은 현 중에서 길이가 가장 길어요.

      부채꼴과 활꼴, 부채꼴의 중심각

      활꼴은 이름 그대로 활처럼 생겼어요. 호와 현으로 이루어진 도형을 말해요.

      부채꼴은 부채모양처럼 생겼고요. 호와 원의 반지름 두 개로 이루어진 도형이에요. 부채꼴에는 두 반지름이 원의 중심에서 만나서 생기는 각이 있지요? 이 각을 부채꼴의 중심각이라고 불러요.

      부채꼴과 중심각

      부채꼴의 중심각은 중요한 의미가 있어요. 바로 중심각에 따라 부채꼴 호의 길이와 부채꼴의 넓이가 달라지기 때문이죠.

      부채꼴의 중심각

      하나의 원이나 합동인 두 원에서

      •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가 같으면 호의 길이가 같다
      •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가 같으면 부채꼴의 넓이도 같다.
      •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가 같으면 현의 길이도 같다.
      • 부채꼴의 중심각 ∝ 부채꼴 호의 길이
      • 부채꼴의 중심각 ∝ 부채꼴의 넓이
      • 부채꼴의 중심각과 현의 길이는 정비례하지 않는다.

      위에서 ∝ 표시는 정비례 표시에요. 중심각이 2배, 3배로 커지면 그에 따라 부채꼴 호의 길이도 2배, 3배로 길어진다는 뜻이에요. 부채꼴의 넓이도 마찬가지고요. 단, 현의 길이는 정비례하지 않아요.

      아래 그림을 보고 x의 길이를 구하시오.

       

      위 그림에서 x는 부채꼴 호의 길이에요. 한 원에서 부채꼴의 중심각과 부채꼴 호의 길이는 정비례한다고 했어요.

      위에 있는 부채꼴의 중심각은 40°이고, 호의 길이는 xcm예요. 아래에 있는 부채꼴의 중심각은 120°이고 호의 길이는 9cm고요. 정비례하니까 비례식으로 풀어보죠.

      40° : xcm = 120° : 9cm
      120° × xcm = 40° × 9cm
      x = 40 × 9 ÷ 120
      x = 3

      x는 3cm네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원주율, 원의 둘레, 원의 넓이, 부채꼴 호의 길이, 부채꼴 넓이
      다각형 내각의 크기의 합과 외각 크기의 합
      원기둥의 부피와 겉넓이, 각기둥의 부피와 겉넓이
      원뿔의 겉넓이와 부피, 각뿔의 겉넓이와 부피
      [중등수학/중3 수학] - 원뿔의 높이와 부피, 원뿔의 부피 공식

      정리해볼까요

      원과 호, 현, 활꼴, 부채꼴

      • 원: 평면 위의 한 점으로부터 거리가 일정한 점들로 이루어진 도형
      • 호: 원 위의 두 점을 양 끝으로 하는 원의 일부분
      • 현: 원 위의 두 점을 이은 선분. 현 중에 제일 긴 현은 지름
      • 활꼴: 현과 호로 이루어진 도형
      • 부채꼴: 호와 반지름 두 개로 이루어진 도형. 부채꼴의 중심각

      부채꼴의 중심각

      •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가 같으면 호의 길이가 같다
      •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가 같으면 부채꼴의 넓이도 같다.
      •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가 같으면 현의 길이도 같다.
      • 부채꼴의 중심각 ∝ 부채꼴 호의 길이
      • 부채꼴의 중심각 ∝ 부채꼴의 넓이
      • 부채꼴의 중심각과 현의 길이는 정비례하지 않는다.
      <<    중1 수학 목차    >>
       
      그리드형

      + 최근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