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애드센스
-
구글 페이지랭크 (Google PageRank) 알아보기2013.05.15
네이버 오픈캐스트 통계 서비스 신설
네이버 오픈캐스트를 발행하면서 가장 답답했던 건 통계가 매우 빈약하다는 거였어요. 단순히 당일 하루와 전체의 방문자, 구독자 수만 알려줬으니 통계 서비스가 사실상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죠.
그런 네이버 오픈캐스트에 통계 서비스가 추가되었습니다. 물론 아주 자세한 내용까지 확인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기초적인 내용 정도는 확인할 수 있어요.
오픈캐스트 발행하시는 분들은 꼭 확인해보세요.
네이버 오픈캐스트 통계보기
네이버 오픈캐스트에 통계 서비스가 추가되었습니다.
이전에는 그냥 단순히 총 구독자와 총 방문자 수를 보여주기만 했는데, 이제는 날짜, 성별, 연령별 통계를 제공합니다. 다만 아직 아주 초반이라 통계 자료를 다 모으지 못한 것 같아요. 또 PC로 접속한 경우에만 통계에 포함됩니다.
운영중인 오픈캐스트 페이지에 가면 오픈캐스트 이름 옆에 "통계보기" 버튼이 생길 걸 볼 수 있어요.
날짜별 통계입니다. 구독자 수, 방문자 수, 해지 수를 색이 다른 막대그래프를 이용해서 보여주네요.
그 아래는 성별/연령별 분포입니다.
여자 방문객이 남자의 3배나 되네요. 중등수학이라는 오픈캐스트를 발행하고 있어서 방문객 대부분이 중학생이 포함된 10대여야 하는데, 다른 연령대에 비해 크게 많지는 않아요. 부모님의 아이디를 사용하는 것일 수도 있겠네요.
성별이나 연령을 알아내기위해서 로그인한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할 듯 싶은데요. 로그인 하지않고 네이버 메인을 통해서 유입된 경우에는 어떻게 통계에 나타나는 지 모르겠어요.
다음은 연령대별 성별 분포입니다. 5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에서 여성의 비율이 높네요.
인기캐스트는 가장 조회가 많이 된 캐스트의 목록인데, 목록만 보여주고 몇 명이 조회했는 지는 나오지 않는군요.
사실 이런 서비스에는 통계가 꼭 필요했었는데 이제서야 구색이 갖춰졌네요. 네이버 소프트웨어도 오픈하는 등 네이버의 서비스가 전반적으로 나아지려나 봐요.
함께 보면 좋은 글
네이버 오픈캐스트 구독, 오픈캐스트 사용방법
네이버 오픈캐스트와 애드센스 수익의 관계
네이버 오픈캐스트와 블로그 방문자
블로그 재방문자 비율을 높여야하는 이유
블로그 재방문자 비율을 높여야하는 이유
여러 항목 들 중에서 블로그를 운영하면 가장 신경쓰이는 건 역시 방문자 수와 수익이겠죠. 그렇다면 어떤 방문자가 내게 더 많은 수익을 줄까하는 궁금증도 생기고요.
식당도 한 번 들렀다 가는 손님보다 자주 오는 단골 손님이 좋은 것처럼 블로그도 한 번 스쳐가는 사람보다 다시 찾는 방문자가 좋겠죠? 이와 비슷할 거라고 생각하고 수치를 계산해봤는데, 실제 결과도 비슷하게 나오네요.
구글 웹로그 분석을 통해서 블로그 신규방문자와 재방문자 사이에 애드센스 수익을 비교해봤습니다.
블로그 재방문자 비율을 높여야하는 이유
구글 웹로그 분석을 통해서 지난 한 달간의 방문자 추이를 분석해봤어요.
제 블로그의 경우 전체 방문자 중 재방문자의 비율이 22%정도 됩니다. 나머지 78%는 신규방문자죠. 이들의 특성을 표로 나타냈더니 아래처럼 됐네요.
신규방문 | 재방문 | |
---|---|---|
페이지뷰 | 1.60 | 2.82 |
평균방문시간 | 1:23 | 4:52 |
이탈율 | 78.94% | 59.08% |
애드센스 클릭율 | + 0.4% | 비공개 |
애드센스 eCPM | + $1.05 | 비공개 |
재방문일 경우에 페이지뷰, 방문시간, 이탈률등의 수치에서 훨씬 더 좋은 결과를 나타냈지요. 이 부분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부분이에요.
애드센스 클릭율과 eCPM는 공개하면 안되니까 차이만 나타냈습니다. 신규방문일 때가 클릭율은 0.4%, eCPM은 $1.05 더 높아요. 재방문일 때는 애드센스가 광고라는 사실을 더 정확하게 인지하기때문에 클릭하는 경우는 적을테니 이 역시 당연한 결과죠.
eCPM은 1,000페이지 노출 당 애드센스 수입이죠.
재방문의 경우에는 페이지뷰가 높기때문에 애드센스 페이지 노출 수는 많아요. 하지만 방문자가 여러 페이지를 다니면서 광고를 누르지 않으므로 eCPM이 더 낮아요.
그런데 애드센스 수익을 페이지 수가 아닌 방문자수로 나눈 값은 반대가 돼요. 즉, 방문자 당 수익이요. 애드센스에 이런 식의 통계 항목을 없지만 한 번 계산해봤습니다.
신규방문자 1,000명은 $4.68의 수익을 발생시키지만 재방문자 1,000명은 $5.27의 수익을 발생시켜요. 즉 재방문자의 수가 늘어나는 것이 신규방문자의 수가 늘어나는 것보다 수익이 더 많이 생기는 거죠.
또 재방문자는 지속적인 수입을 보장하는 반면 신규방문자는 지속적이지 않다는 단점도 있고요.
재방문하는 방문자의 수를 늘리는 것이 전반적인 블로그 운영과 수익측면에서 훨씬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어요.
앞으로는 즐겨찾기나 네이버 오픈캐스트, 네이버 이웃커넥트, 메타블로그 등을 통해서 재방문자의 수를 늘릴 수 있도록 해야겠네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이탈률, 반송률, 종료율이란? 이탈률 낮추는 방법
애드센스 최적화 배치 도움되는 곳
네이버 오픈캐스트와 블로그 방문자
네이버 오픈캐스트와 애드센스 수익의 관계
블로그 속도 측정 - Google PageSpeed Insights
구글 페이지랭크 (Google PageRank) 알아보기
블로거라면 누구나 검색엔진 최적화에 신경을 쓰고, 검색엔진 상위노출을 꿈꿀 겁니다. 상위노출을 하는 여러가지 방법들도 공유되어 있고요.
페이지랭크(PageRank)는 구글에서 검색결과의 위치를 결정하는 여러 요소 중의 하나인데, 이 글에서는 페이지랭크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페이지랭크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페이지랭크는 구글과 관련된 내용이고, 국내 검색을 거의 다 차지하는 네이버나 다음과는 별다른 관계가 없으니까 페이지랭크가 높다고 좋아할 필요도 없고, 낮다고 실망할 필요도 없다는 걸 미리 말씀드릴께요.
구글 페이지랭크(Google PageRank)
인바운드 링크(백링크, 인커밍링크)라고 부르는 다른 사이트에서 내 블로그로 유입되는 링크가 있어요. 이런 링크들의 개수와 중요도를 점수로 환산한 것을 페이지랭크(PageRank)라고 합니다.
다른 사이트에서 해당 블로그로 연결하는 링크가 많다라는 얘기는 추천을 많이 받는 것과 같다고 보는 거죠. 추천을 많이 받은 컨텐츠니까 페이지랭크가 높고, 검색엔진은 페이지랭크가 높으면 좋은 컨텐츠일 거라고 판단합니다. 그래서 똑같은 검색어라 할지라도 페이지랭크가 높은 컨텐츠를 검색 결과의 상위 목록에 노출시켜 주죠. 그러니까 다른 사이트에서 내 블로그로의 링크를 많이 만들 게 하는 것(인바운드 링크를 늘리는 것)이 검색엔진 최적화에 도움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링크가 많은 페이지일수록 페이지랭크가 더 높습니다. 많은 사람들로부터 추천받은 식당이 맛집일 가능성이 높은 것처럼 다른 사이트로부터 많은 링크를 받은 글 또는 사이트를 더 좋은 사이트일 가능성이 높죠.
물론 링크만 많다고해서 더 높은 점수를 받는 건 아니에요. 추천을 한 사람이 믿을만한가를 따지는 것처럼 페이지랭크를 점수로 환산할 때도 링크를 생성한 사이트의 신뢰도를 따집니다.
이 외에도 링크가 만들어진 시기 등 여러가지를 따지고요.
앞선 두 글 내 블로그를 링크한 사이트 찾기 - 구글이용, 인바운드 링크(Inboundlinks), 백링크(Backlinks) 확인 -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서 페이지랭크의 기본인 인바운드 링크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렸는데요. 이번에는 직접 페이지랭크를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Google PageRank CHECKER에 접속하세요.
- 가운데 주소를 입력하는 부분에 본인 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하세요.
- 오른쪽 "Check PR"을 클릭
- 화면 가운데에 bot을 가리기 위한 입력창이 나타나는데, 왼쪽에 보이는 것 똑같이 적어요.
- Verify Now를 클릭하세요.
본인의 페이지 랭크기 총점 10점 기준으로 나올겁니다. 보통 일반적인 블로그라면 6을 넘는 건 아주 힘들어요. 혹시 그 이상 나오는 분이라면 좋말 좋을 블로그를 운영하는 것이고 그 밑으로 나와도 실망할 필요는 없어요.
페이지랭크를 올리기 위해서는 인바운드 링크를 많이 만들어야하는데, 이건 블로거가 직접 할 수 있는게 아니에요. 그냥 열심히 블로그 활동을 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페이지랭크와 비슷한 Alexa Rank라는 것도 있는데, 2차 도메인을 사용하시는 분은 심심풀이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내 블로그를 링크한 사이트 찾기 - 구글이용
인바운드 링크(Inboundlinks), 백링크(Backlinks) 확인 - 구글 웹마스터 도구
이탈률, 반송률, 종료율이란? 이탈률 낮추는 방법
블로그 속도 측정 - Google PageSpeed Insights
인바운드 링크(Inboundlinks), 백링크(Backlinks) 확인 - 구글 웹마스터 도구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는 사이트 운영자를 위한 다양한 도구들이 있는데요. 그 중에서 인바운드 링크(Inboundlinsk) 또는 백링크(Backlinks)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어요.
인바운드 링크는 검색엔진 최적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 수치가 높을수록 검색 엔진의 상단에 오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사이트 운영자가 직접 어떻게 할 수 있는 건 아니지만 그래도 모르고 넘어가는 것보다는 찾아서 확인하는 게 좋겠죠.
인바운드 링크와 구글 웹마스터 도구를 이용해서 인바운드 링크를 생성한 사이트를 찾는 방법을 소개할께요.
인바운드 링크 확인하는 법
인바운드 링크(inbounds link)는 백링크(backlinks), 인커밍링크(incomming links) 등으로 부릅니다. 다 같은 말이죠. 인바운드링크는 다른 사이트에서 내 사이트로 들어오는 링크를 말해요. A라는 사이트의 본문에 "수학방(http://mathbang.net)에 가면 수학 관련 정보가 많이 있어요."라고 적혀있다면 내 블로그로 오는 링크가 생긴 거죠? 이 링크를 바로 인바운드링크라고 합니다.
내 블로그를 링크한 사이트 찾기 - 구글이용에서 확인했던 링크가 바로 인바운드 링크죠. 구글 검색엔진의 검색 연산자를 이용해서 인바운드 링크를 찾는 방법을 소개했었어요.
이 글에서는 인바운드 링크를 걸어준 사이트를 찾는 다른 방법을 소개합니다. 구글의 웹마스터 도구를 이용하는 방법인데요. 구글의 웹마스터 도구에 가입하면 구글 검색에 자동으로 등록이 되고 여러가지 도구들을 블로그 운영에 활용할 수 있어요. 그래서 많이들 가입하는 사이트죠.
이 구글 웹마스터 도구 메뉴 중에서 트래픽 - 내 사이트로 연결되는 링크를 선택하면 인바운드 링크를 생성한 사이트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메뉴를 선택하면 아래 그림과 같은 화면이 나와요.
제 사이트는 인바운드 링크가 별로 없네요.
이 방법은 세부적인 페이지까지는 알 수없고, 도메인만 알 수 있어요. 그리고 모든 인바운드 링크를 다 표시하지는 못한다는 단점도 있고요. 그래도 영 못찾는 건 아니니까 한 번씩 확인해보세요.
인바운드 링크를 사용한 사이트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구글 페이지랭크(Page Rank)란, 페이지랭크 확인하기
내 블로그를 링크한 사이트 찾기 - 구글이용
이탈률, 반송률, 종료율이란? 이탈률 낮추는 방법
블로그 속도 측정 - Google PageSpeed Insights
내 블로그를 링크한 사이트 찾기 - 구글이용
블로그를 운영하다보면 혹시 다른 사이트에서 내 블로그로 링크를 생성하지는 않았을까 궁금할 때가 있어요. 이럴 때 어떤 사이트에서 내 블로그로 링크를 만들었는지 알아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모든 사이트를 다 확인할 수는 없지만 그냥 재미로 알아보기에는 괜찮은 방법이죠. 대부분의 사이트들이 구글에 등록하잖아요. 구글을 통해서 내 블로그 주소를 검색할 건데 이 때 검색 연산자를 이용하는 거예요.
구글의 검색 연산자를 이용해서 내 블로그를 링크한 사이트를 찾아가서 뭐라고 소개했는 지 확인해봐요.
내 블로그를 링크한 사이트 찾아보기
티스토리의 플러그인 중에 유입경로 플러그인을 켜놓으면 유입경로가 표시돼요. 이 경로를 잘 들여다보면 다른 사이트에서 들어오는 경우가 있는데, 클릭해보면 자기 블로그를 링크해놓은 경우죠.
하지만 이 건 링크를 통해서 유입이 되어야만 확인할 수 있고, 또 유입경로가 많으면 못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아서 링크한 사이트를 알아내기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구글의 고급 검색 기능을 이용하면 충분히 찾을 수 있어요.
구글에서 특정 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려면 "-검색어" 하면 되거든요. 또 "검색어 site:www.사이트주소..com"라고 입력하면 해당 사이트만 제외하고 다른 모든 사이트에서 검색을 합니다.
이 두 가지를 합쳐서 내 사이트만 제외하고 다른 사이트에서 내 블로그의 주소를 검색하는 거죠.
수학방의 주소는 mahtbang.net이니까 "mathbang.net -site:mathbang.net"이라고 검색하면 되죠. "mathbang.net이라는 텍스트를 가진 사이트 중에서 mathbang.net 사이트는 뺀 나머지를 찾아줘."라는 뜻이에요.
원래 link:mathbang.net으로 검색할 수도 있는데, 이건 링크를 생성했을 때만 되고, 주소를 단순히 텍스트로 입력했을 때는 검색되지 않는 단점이 있어요.
그리고, 다른 블로그에 내가 댓글을 단 경우에도 검색이 되는 데 이게 너무 많을 때는 -"Favicon of"를 넣어주세요. 대부분의 티스토리 블로거들이 댓글에 파비콘이나 아이콘을 표시하기때문에 이걸 이용해서 댓글이 달린 글을 제외시키는 거죠
olpost나 mixsh같은 메타블로그에 글을 보내는 경우에도 본인의 글이 중복 검색되는데, -site:olpost.com 처럼 제외시켜주면 돼요.
이런 방법으로 사이트들을 하나씩 제외시켜주다보면 결국 진짜로 링크를 한 사이트들만 남게돼요.
최종적으로 검색할 단어는 mathbang.net -site:mathbang.net -"favicon of" -site:olpost.com입니다.
검색해보면 이상한 영어나 외국어 사이트가 나오기도 하는데, 도메인을 분석해주는 사이트들이라 결과를 무시해도 좋아요. 이 때는 검색 결과를 "한국어 웹"으로 하면 다 사라집니다.
다른 블로그에서 자기 블로그를 링크한 숫자나 빈도가 높으면 구글 페이지 랭크가 올라가고, 높은 펭지랭크는 구글의 검색 최적화에 도움이 돼요. 또 다른 사이트에서 내 블로그의 평판을 알아볼 수 있는 기회로 삼을 수 있으니 재미삼아 한 번 확인해보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애드센스 최적화 배치 도움되는 곳
애드센스 수익 향상 팁 - A/B 테스트
애드센스를 본문 상단 오른쪽에 넣기
블로그 속도 측정 - Google PageSpeed Insights
본문 검색창 설치로 블로그 페이지뷰 늘리기
블로그 속도 측정 - Google PageSpeed Insights
블로그 페이지가 늦게 열리면 방문자가 보지도 않고 나가는 경우가 있으니까 블로그 로딩 속도는 블로거에게는 아주 중요한 항목 중의 하나에요.
내 블로그가 어느 정도로 빨리 열리는 지를 알아보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사이트인 Google PageSpeed Insights를 소개합니다. 측정을 하면 문제점을 알려주고, 개선할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들도 알려줍니다.
매번 글을 올릴때마다 해야하는 것도 있지만 스킨에서 한 번만 수정해놓으면 되는 것들이 대다수니까 꼭 적용해보시기 바래요.
Google PageSpeed Insights
구글에서 제공하는 속도 측정 사이트 Google PageSpeed Insights 입니다. 일반적으로 웹페이지 속도 측정 사이트라고 하면 로딩 시간을 측정해서 10초, 20초 이렇게 보여주는데요. 이곳은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속도를 빠르게하는 기술이 적용되어 있는 지를 측정해서 점수로 환산해주는 사이트에요.
일단 사이트에 접속한 다음 블로그 주소를 입력하세요.
"ANALYZE"버튼을 누르면 몇 초 후에 결과를 보여줘요.
제일 윗줄에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점수를 보여주고, 아래에는 속도를 빠르게할 수 있는 방법들을 알려줍니다. 저는 83점 나왔네요.
왼쪽메뉴에서 해당 항목을 클릭하면 자세한 설명이 나와요.
자바스크립트 파싱 지연은 블로그를 로딩할 때, 자바스크립트를 로딩하는 동안 다른 것들을 불러드리는 걸 멈추기때문에 페이지가 보여지는 속도가 느려지는 걸 말해요.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자바스크립트의 위치를 페이지 하단으로 옮겨서 페이지가 다 보이고 난 다음에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불러올 수 있게 바꿔주면 됩니다.
CSS 파일은 html 소스에서 head에 넣고 javascript는 </body>위에 넣으면 어느 정도는 해결됩니다.
CSS 스프라이트로 이미지 통합은 이미지를 개별 파일로 하나씩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로 합쳐서 사용하는 건데요. css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 있어야 사용할 수 있어요.
자바스크립트 축소, CSS 축소, HTML 축소는 줄바꿈이나 빈 칸 등으로 생기는 소스의 공백을 없애서 용량을 줄이는 겁니다.
조정된 이미지 제공은 원래 이미지의 크기가 100x100인데, 웹페이지에서는 50x50으로 보이게 하는 것처럼 이미지의 원래 크기가 아닌 다른 크기로 보이게 하는 걸 말해요. 웹페이지에서 원래 크기인 100x100으로 보여지게 하거나 아예 이미지 자체를 50x50으로 크기를 바꿔서 올리서 해결해야 합니다.
또 이미지 최적화는 화질은 그대로 두고, 용량만 줄여서 업로드 하는 것으로 이미지의 주소를 클릭하면 용량을 줄인 이미지를 다운 받을 수 있어요.
블로거가 할 수 없는 것도 있어요. 티스토리에서 자동으로 불러오는 js, css는 수정하거나 위치를 조절할 수 없으니까요. 애드센스도 빼버리면 상관없는데 이걸 포기하는 건 좀 어렵지요. 위젯이나 페이스북 플러그인 같은 것도 바꿀 수 없지요.
블로그가 할 수 있는 걸 다 한다면 70점 후반에서 80점 초반의 점수가 나오는 것 같네요. 이것 저것 다 떼버려도 90점은 안 넘더라고요.
가능하면 웹페이지를 빨리 보여주는 것이 더 많은 방문자를 모으는데도 효과적이고, 이왕 온 방문자에게 좀 더 좋은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이니까 꼭 적용해보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애드센스 최적화 배치 도움되는 곳
애드센스 수익 향상 팁 - A/B 테스트
애드센스를 본문 상단 오른쪽에 넣기
본문 검색창 설치로 블로그 페이지뷰 늘리기
이탈률, 반송률, 종료율이란? 이탈률 낮추는 방법
애드센스 최적화 배치 도움되는 곳
티스토리 블로그라면 당연히 달려있는 게 애드센스인데요.
애드센스를 달았으니 가능하면 많은 수입을 올리려면 애드센스 최적화에 신경을 많이 써야해요. 그래서 애드센스를 요리조리 옮겨보는데 과연 수입이극대화될까하는 의문은 항상 생기죠.
애드센스 최적화할 때 어느 위치가 가장 좋을 지 참고할만한 좋은 곳을 소개합니다. 애드센스에 대해서 가장 잘 알고있는 곳은 바로 애드센스잖아요. 바로 애드센스 최적화 도움말에 있는 광고배치 도움말입니다.
애드센스 최적화
우리는 블로그니까 블로그에 배치부터 보죠.
게재위치 권장사항 - 블로그에 보면 두 가지 경우가 나와요. 두 경우 모두 홈페이지와 콘텐츠 페이지 배치가 있는데, 2단 스킨에 애드센스 광고를 3개 넣는 걸 보여주고 있죠.
지금 이 블로그는 1번의 경우를 사용하는데, 사이드바가 오른쪽에 있어서 좌우를 바꿔서 적용했어요. 콘텐츠 상단의 왼쪽또는 오른쪽에 넣는 방법은 애드센스를 본문 상단 오른쪽에 넣기를 참고하세요.
사이드바의 폭이 넓은 경우라면 두 번째 배치도 괜찮을 것 같아요. 160x600 광고는 너무 길어서 한 눈에 안들어오는 단점이 있더라고요.
블로그에는 콘텐츠 페이지외에 검색페이지가 있어요. 물론 이 곳에 적용할 수 있는 광고 배치도 있답니다. 광고사이트 - 검색결과 페이지인데, 블로그의 검색 결과 페이지는 아니지만 형태가 크게 다르지 않으니 적용해도 무리는 없어요.
그 외에도 포럼이나 뉴스사이트, 게임사이트 등으로 나누어 각 사이트의 특성과 페이지에 맞게 여러가지 형태의 광고 배치 예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애드센스 최적화 도움말 - 광고게재 위치 권장사항
물론 이 배치가 반든시 좋은 결과를 내는 것은 아니지만 어디에 넣을 지 결정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참고해보세요. 본인의 사이트에 맞게, 스킨에 맞게 잘 고르시면 수입이 오르는데 도움이 될 거예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애드센스를 본문 상단 오른쪽에 넣기
애드센스 수익 향상 팁 - A/B 테스트
애드센스 수익 계산 - 환율 적용하는 방법
본문 검색창 설치로 블로그 페이지뷰 늘리기
티스토리 검색어 통계 플러그인 사용법
본문 검색창 설치로 블로그 페이지뷰 늘리기에서 본문에 검색창을 설치하면 블로그 내의 검색량이 늘어나고 페이지뷰도 늘어난다고 말씀드렸는데요. 검색량이 얼마나 늘어났는 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요.
검색어 통계 플러그인인데요, 이 플러그인 사용법을 간략히 소개하겠습니다. 티스토리의 다른 플러그인들처럼 사용법이 아주 쉬워서 따로 설명할 것도 없어요.
작은 플러그인이지만 도움이 많이되는 플러그인이니까 꼭 설정을 바꿔서 사용해 보세요.
티스토리 검색어 통계 플러그인
검색어 통계 플러그인은 이름 그대로 어떤 검색어로 몇 번의 검색이 있었는 지 알려주는 통계 플러그인이에요. 가장 많이 검색되었던 단어를 100개까지 보여주는데요. 이를 잘 분석하면 방문자들이 내 블로그에서 어떤 정보를 얻고자하는 지를 파악할 수 있어요. 이를 바탕으로 관련된 글을 더 쓰거나 내용을 보충하면 블로그의 질이 더욱 높아지겠죠?
먼저 티스토리 관리화면에서 왼쪽 메뉴에서 플러그인 설정을 선택하세요. 플러그인 중에서 "검색어 통계" 플러그인을 사용하도록 설정합니다.
그러면 왼쪽 메뉴의 플러그인에 원래는 없던 "검색어 통계"라는 메뉴가 생겨요.
이 검색어 통계를 선택하면 방문자들이 지난 일주일 동안 블로그 내에서 검색했던 단어들과 각 단어들이 검색된 횟수가 나옵니다.
참고로, 유입키워드는 다음이나 네이버에서 내 블로그로 들어올 때 검색한 단어이고, 검색어 통계는 내 블로그에서 검색한 단어라는 차이가 있어요.
함수, 부등식의 단어를 검색했네요. 검색어에 오른 단어들을 클릭하면 블로그의 검색화면으로 이동하고 검색결과가 표시돼요.
검색어 통계는 작은 플러그인이지만 블로그를 효율적으로 만드는 데 매우 유용한 플러그인인에요. 작은 통계라도 블로그 운영에 큰 보탬이 되니까 자주 확인하셔서 블로그를 조금 더 발전시켜보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본문 검색창 설치로 블로그 페이지뷰 늘리기
애드센스 수익 향상 팁 - A/B 테스트
CCL이란 (Creative Commons License) . CCL 바로알기
이탈률, 반송률, 종료율이란? 이탈률 낮추는 방법
본문 검색창 설치로 블로그 페이지뷰 늘리기
블로그의 페이지뷰를 높이고 이탈률를 낯추는 방법들이 여러 가지가 있어요. 비슷한 주제의 글을 올리거나 관련글, 카테고리 다른 글 플러그인을 노출시키는 방법이 있죠.
다른 방법으로 블로그 검색을 통해서 페이지뷰를 높이는 방법도 있어요. 보통 검색창은 사이드바에 위치하는데, 크기가 작아서 잘 보이지 않아요. 하지만 검색창을 눈에 잘 띄는 자리에 놓으면 방문자가 검색을 통해서 블로그의 다른 글을 읽게 할 수 있어요.
수학방의 경우는 네이버처럼 생긴 검색창을 본문 바로 아래와 검색 결과 목록 아래에 넣었습니다. 방문자가 본문을 다 읽고 검색을 통해서 다른 글도 읽을 수 있게 하려고요.
본문에 검색창 설치
티스토리 스킨 가이드의 스킨 치환자를 이용하면 본문에서 검색창이 작동하지 않아요. 사이드바에만 사용할 수 있는 치환자인 것 같네요. 그래서 본문에 넣으려면 치환자가 아니라 원래 소스를 직접 넣어줘야 합니다. 스킨 수정을 해야하니, skin.html과 style.css를 손봐야 하죠.
skin.html에서 검색창을 설치할 곳은 두 군데 입니다. 하나는 블로그 본문, 다른 하나는 검색 결과 목록이요. 본문 상단에 넣을 거면 검색 결과 목록에도 상단에 넣고, 본문 하단에 넣으려면 검색 결과 목록에도 하단에 넣으세요.
일단 넣어야 할 소스는 같으니까 첨부파일의 내용을 복사해서 쓰세요. 대신에 본문에 넣을 때는 빨간색으로 표시된 [샵샵_list_conform_샵샵]를 지우시면 됩니다. 검색결과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치환자거든요.
- <div class="article_search">
- <input type="text" class="article_search_field" name="article_search" value="" onkeypress="if (event.keyCode == 13) { try{window.location.href='/search/' + document.getElementsByName('article_search')[0].value.replaceAll('%', '%25');document.getElementsByName('article_search')[0].value = ''; return false;}catch(e){} }" id="article_search" />
- <input type="submit" class="article_search_submit" value="검색" onclick="try{window.location.href='/search/' + document.getElementsByName('article_search')[0].value.replaceAll('%', '%25');document.getElementsByName('article_search')[0].value = ''; return false;}catch(e){}" />
- </div>
블로그 본문에 넣을 때, [샵샵_article_rep_desc_샵샵]의 위 또는 아래에 넣습니다. 카테고리 다른 글 더 보기, SNS 보내기 등의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본문 바로 아래가 아니라 플러그인 아래에 위치합니다.
검색 결과 목록의 위에 넣으려면 "~에 해당하는 글" 바로 아래에 넣고, 검색 결과 목록의 아래에 넣으려면 </s_list>의 위에 넣으세요.
style.css에는 아래를 복사해서 넣으세요. 어디든 상관없어요. 배경색이나 테두리 색 등은 원하는 색으로 바꾸세요.
.article_search{margin:10px auto;text-align:center}
.article_search_field, .article_search_submit{border:solid 5px #39ba00;font-size:1.0em}
.article_search_field{width:85%;height:20px;padding-left:5px;padding-top:2px}
.article_search_submit{width:10%;height:30px;background-color:#39ba00;color:#fff}
설치해놓고, 티스토리 관리자의 플러그인 - 검색어 통계를 보면 검색어 수와 검색 수가 늘어난 것을 볼 수 있을 겁니다. 이게 늘어간 만큼 페이지뷰도 늘어난 거라고 해석해도 무리는 없을 거에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애드센스 수익 향상 팁 - A/B 테스트
애드센스를 본문 상단 오른쪽에 넣기
이탈률, 반송률, 종료율이란? 이탈률 낮추는 방법
CCL 표시 안보이게 숨기기. CCL 해제 방법
CCL (Creative Commons License)은 기본적으로 컨텐츠를 공유하는 라이센스입니다. 라이센스 표시니까 흔히들 생각하는 컨텐츠의 불펌이나 무단 도용을 막아준다고 생각하는데 그게 아니예요.
CCL이란 (Creative Commons License) . CCL 바로알기에 CCL에 대한 설명을 해놓았습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하세요.
CCL의 의미를 알았다 하더라도, 그 동안 블로그에 적용해왔던 CCL을 어떻게 해제해야하는 지 모르는 경우를 위해서 해제 방법을 적어보았습니다. 티스토리에서 CCL을 적용하는 방법은 플러그인을 이용하는 방법과 글 쓰기 환경을 통한 방법의 두 가지인데요, 그 두가지를 해제하는 방법입니다.
CCL 해제 방법 - 플러그인
아래 그림처럼 크기가 큰 게 플러그인으로 표시한 CCL입니다.
플러그인을 이용하는 방법은 티스토리에서 CCL을 표시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죠. 위 표시를 없애는 것도 플러그인을 해제하면 됩니다. 티스토리 관리자의 플러그인 설정에서 "CCL 표기 (크리에이트브 커먼즈 라이선스)"를 해제하면 돼요.
CCL 해제 방법 - 글설정
문제가 되는 부분이 이 부분이에요. 플러그인은 한 번 설정으로 표시, 해제가 되는데, 본문 하단에 표시된 건 한 번에 할 수가 없어요.
본문 하단에 이 표시가 나오는 경우는 글을 쓸 때 직접 넣은 CCL이에요. 따라서 없애려면 글을 수정해야 해요. 글이 한 두개라면 수정할 수 있겠지만 수 십, 수 백개라면 수정을 할 수 없죠.
이럴 때 CCL을 해제하는 것은 아니지만 CCL 표시를 숨길 수는 있어요. 티스토리 관리자의 스킨 편집에서 style.css에 아래 내용을 넣으세요. 앞에 점까지 넣으셔야 합니다.
.entry-ccl{display:none}
그 다음 앞으로 쓸 글에는 CCL을 적용하지 않아야 하겠죠? 티스토리 관리자의 글 설정 - CCL에서 "내가 설정한 저작물 사용 허가를 표시합니다."에 체크 해제 하세요.
이렇게 하면 새 글을 쓸 때 CCL 라이센스가 기본적으로 해제되어 있습니다. 혹시 모르니까 글 쓰기 화면의 오른쪽 하단에서 CCL이 해제되어 있는 지 한 번 더 확인하세요.
CCL은 공유를 위한 라이센스입니다. 흔히 생각하는 불펌, 무단 도용을 막는 라이센스가 절대로 아니니까 혹시 공유를 원치 않는다면 지금이라도 CCL을 해제하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CCL이란 (Creative Commons License) . CCL 바로알기
불펌 블로거들의 흔한 변명
이탈률, 반송률, 종료율이란? 이탈률 낮추는 방법
애드센스 수익 향상 팁 - A/B 테스트
애드센스를 본문 상단 오른쪽에 넣기
불펌 블로거들의 흔한 변명
블로거들에게 불펌은 상당히 골치아픈 문제지요.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힘들게 만들어놓은 컨텐츠를 누군가 허락도 없이 그대로 베껴간다면 엄청난 상실감과 허무함을 느끼게 됩니다.
특히 검색 상단 노출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원본 문서보다 불펌 문서를 더 위에 노출시켜주는 검색 엔진들 때문에 여러 가지 손해를 보게 되죠.
이런 저런 이유로 불펌에 대해서 이의제기를 하면 오히려 더 큰소리를 내는 불펌 블로거들이 있어요. 그들이 자주 하는 변명에 대해서 알아보죠.
불펌 블로거들의 흔한 변명
변명 1 - 퍼가지 말라고 써놨어야지
퍼가지 말라고 써있지 않아서 파가도 괜찮을 줄 알았다고 하는 경우가 있어요.
물건 훔쳐가지 말라고 안 써있으면 마음대로 가져가도 괜찮나요? 그건 아니잖아요. 당연히 가져가면 안되는 거니까 따로 쓸 필요가 없는 거에요. 가게에 진열장마다 "훔쳐가지 마시오."라고 써놓지는 않잖아요.
블로그의 컨텐츠도 보호받아야할 운영자의 창작물이고 가게에 진열된 상품과 똑같아요. 다른 사람이 함부로 가져가면 안되는 겁니다.
변명 2 - 복사 금지를 해놨어야 지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막아놓지 않아서 복사해도 되는 줄 알았다고 얘기하는 경우도 있더라고요. 오히려 금지를 해놓지않은 사람의 잘못이라며 억지를 부리기도 합니다. 하지만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막아놓지 않았다고 해서 마음껏 복사해가라는 뜻은 아니에요.
금은방의 가게문을 닫기만하고 잠그지 않았다고 해서 그 가게에 문열고 들어가서 물건을 가져가서는 안되죠. 마찬가지로 블로그에 복사금지를 해놓지 않았다고 해서 컨텐츠를 마음대로 가져가도 되는 건 아닙니다.
참고로 마우스 오른쪽 클릭 방지 플러그인을 활성화시켜놓으면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할 수 없어요. 아주 간단히 풀리긴 하지만 꽤나 유용한 플러그인입니다.
변명 3 - 출처를 밝혔는데
출처를 밝히고 글을 퍼가는 경우도 종종있죠? 싸이에서는 퍼가요~ 한마디면 모든 컨텐츠를 마음껏 사용해도 괜찮았어요. 이게 시간이 지나면서 출처를 밝히면 아무문제 없는 것처럼 인식되어 버렸지요.
하지만 출처를 밝히는 건 그냥 어디서 훔쳐왔는 지를 알리는 것밖에 지나지 않아요. "이 시계는 사거리 OO 금은방에서 가져왔어"라고 말한다고 그 시계가 자기 것이 되는 건 아니거든요.
출처를 밝히는 것과 블로그의 컨텐츠를 사용하는 건 완전히 별개의 문제입니다.
블로그의 컨텐츠를 사용하려면 명시적으로 허락을 받아야 해요. 아래 그림처럼 CCL 표시를 하기도 하고, 마음 껏 사용하라는 글을 따로 써 넣기도 합니다.
아무런 표시도 없다면 기본적으로 사용해서는 안되는 컨텐츠니까 블로그 운영자에게 댓글이나 메일 등을 통해서 허락을 받으세요.
단순해 보이는 블로그 펌도 저작권 침해이고 도둑질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CCL이란 (Creative Commons License) . CCL 바로알기
애드센스 수익 향상 팁 - A/B 테스트
애드센스를 본문 상단 오른쪽에 넣기
네이버 오픈캐스트와 애드센스 수익의 관계
네이버 오픈캐스트와 블로그 방문자
네이버 오픈캐스트를 발행하고 나서 방문자의 유입이 늘었고, 블로그 수익도 늘었습니다. 물론 오픈캐스트때문에 늘어난 것보다 운영기간도 길어지고, 글 수도 늘어나면서 생기는 게 훨씬 더 많지만요.
이번에는 오픈캐스트를 통해서 들어오는 방문자의 특성과 검색을 통해서 들어오는 방문자의 특성을 비교해보려고 합니다. 블로그 운영에 있어서 방문자의 성향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니까요.
비교적 짧은 시간의 경향이지만 잘 분석하고 이해한다면 블로그 운영을 조금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네이버 오픈캐스트와 블로그 방문자
제가 발행하는 수학방의 중등수학이라는 오픈캐스트가 몇차례 네이버 메인에 오르면서 유입수가 증가하였고, 이를 통해서 오픈캐스트 구독자도 증가하였습니다. 이렇게 늘어나는 유입과 수익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볼 필요가 있겠더라고요. 그래서 네이버 오픈캐스트와 애드센스 수익의 관계에 이어서 오픈캐스트를 통한 방문자의 특성을 분석해보았습니다.
구글 웹로그로 본 지난 한 달간의 방문자 분석입니다.
검색은 네이버나 다음에서 검색을 해서 유입되는 경우, 네이버 메인은 네이버 홈에 오른 오픈캐스트를 통해서 유입되는 경우, 오픈캐스트 구독은 네이버 메인과 상관없이 오픈캐스트페이지를 통해서 유입된 경우, 직접은 즐겨찾기를 통해서 유입되는 경우입니다.
검색 | 네이버 메인 | 오픈캐스트 구독 | 직접 | |
---|---|---|---|---|
페이지뷰/방문 | 1.71 | 2.03 | 3.26 | 3.59 |
방문시간 | 1:45 | 1:23 | 2:36 | 6:16 |
이탈률 | 77.80% | 63.74% | 39.85% | 49.27% |
신규방문율 | 80.13% | 92.81% | 85.37% | 62.94% |
오픈캐스트를 통해서 들어온 경우가 검색을 통해서 들어온 경우보다 페이지뷰/방문이 높아요. 검색해서 들어오는 것보다 오픈캐스트로 들어오는 경우가 더 많은 페이지를 보고 간다는 거지요. 이탈률이 낮은 것도 이걸 증명해 줍니다.
그런데, 네이버 메인을 통해서 들어온 경우에는 방문시간이 더 짧아요. 더 많은 글을 더 짧은 시간동안 보고 나간다는 겁니다.
검색 유입은 자기가 원하는 정보를 직접 찾아서 들어오기때문에 더 오랜 시간동안 집중해서 보는 반면 해당 페이지에서 궁금증이 해결되면 바로 나가버리죠.
오픈캐스트는 한가지 주제에 대해서 발행하기때문에 해당 주제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 유입되므로 같은 주제의 다른 글에도 관심을 가지기때문에 페이지뷰가 높은 것 같네요. 대신 검색으로 유입된 경우보다는 해당 정보에 대한 관심도가 더 떨어질수밖에 없어서 자세히 보지 않고, 그냥 쑥 한 번 훑어보고 가는 것 아닌 가 추측해봅니다.
다만, 네이버 메인에 노출되서 유입된 경우와 오픈캐스트를 구독해서 유입된 경우를 따로 볼 필요가 있는데요. 네이버 메인을 통해서 들어오는 경우는 그냥 지나가다 들리는 방문자지만 오픈캐스트를 통해서 유입된 경우는 구독이라는 과정을 거치며 이는 충성도가 더 높은 방문자를 뜻하기 때문이죠.
오픈캐스트를 통해서 유입된 경우에 페이지뷰나 방문시간이 훨씬 높죠. 신규 방문자의 비율이 낮다는 건 여러 번 계속해서 방문을 한다는 뜻으로 컨텐츠를 마음에 들어한다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지요. 심지어 직접 접속한 경우보다 이탈률은 더 낮네요.
네이버 메인을 통해서 들어온 방문자는 짧은 시간에 많은 페이지를 보고, 오픈캐스트 구독자는 비교적 긴 시간동안 많은 페이지를 본다는 차이가 있어요.
검색을 통한 유입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이런 내용이 전체적인 흐름에 큰 영향을 끼질 정도는 아닐 겁니다. 하지만 검색을 통한 유입 증가는 여러 가지 꼼수를 쓸 수 있지만 직접 접속과 오픈캐스트 구독자를 늘리는 것은 꼼수가 아닌 정성이 필요한 것이고 이것이야 말로 블로그의 질을 보장하는 게 아닐까 싶네요.
함께 보면 좋은 글
네이버 오픈캐스트와 애드센스 수익의 관계
이탈률, 반송률, 종료율이란? 이탈률 낮추는 방법
애드센스 수익 향상 팁 - A/B 테스트
애드센스를 본문 상단 오른쪽에 넣기
링크로 달러벌기 - adf.ly 수익금 지급
네이버 오픈캐스트와 애드센스 수익의 관계
수학방은 거의 대부분이 네이버 검색으로부터 유입됩니다. 네이버가 80%, 다음이 15%이고 그 외에 직접 유입(즐겨찾기 등), 구글, 네이트 순이에요.
그래서 유입경로를 조금 다 다양화하고, 유입수도 늘릴 수 있을 것 같아 수학방의 중등수학이라는 오픈캐스트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2월 25일에 첫 발행을 했고, 3월 25일에 발행한 캐스트가 네이버 메인의 "IT/비즈/학습" 부분에 오르면서 오픈캐스트로 부터의 유입이 갑자기 많아졌죠.
오픈캐스트때문에 생긴 수익이 얼마나 있는 지 확인해봤는데, 좀 재미있는 결과가 나왔네요.
네이버 오픈캐스트와 애드센스 수익의 관계
네이버 오픈캐스트와 관련된 분석은 애드센스와의 관계와 방문자 성향 분석 두 편으로 나눠서 올립니다. 이 글은 첫번째로 네이버 오픈캐스트와 애드센스의 수익의 관계에 대해서 정리해볼께요.
구글 웹로그분석을 이용해서 지난 한 달간 추천 사이트를 통해서 얼마만큼의 애드센스 수익이 생겼는지 살펴보았습니다. 네이버메인과 오픈캐스트를 제외한 추천 유입은 거의 없어서 무시해도 될 정도에요.
전체 | 오픈캐스트 | |
---|---|---|
블로그 방문자 수 | 100% | 9.68% |
애드센스 노출수 | 100% | 12.05% |
수익 | 100% | 18.45% |
클릭수 | 100% | 16.78% |
클릭율 | 비공개 | + 0.5% |
eCPM | 비공개 | + $1.2 |
지난 한 달간의 수입 내역입니다.
전체를 100%이라고 했을 때, 오픈캐스트가 얼마나 차지하는지를 비율로 나타내 봤습니다. 클릭율과 eCPM은 공개하면 안되니까 비공개로 하고요.
오픈캐스트를 통해서 블로그를 방문한 비율은 전체 방문자수의 9.6%지만 광고 노출은 전체의 12%나 차지합니다. 오픈캐스트를 통해서 유입된 방문수에 비해서 광고 노출 수가 많다는 건 페이지뷰가 높고 이탈률이 낮아서 애드센스 광고가 상대적으로 많이 노출된다는 뜻이지요.
애드센스 광고가 많이 노출되니까 클릭할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클릭수를 보면 전체의 약 16.7%나 됩니다. 클릭율이 전체 클릭율보다 0.5% 정도 더 높게 나오고, 이에 따라 1,000명당 수익인 eCPM이 전체보다 $1.2 나 높죠.
방문객 수는 전체의 9.6%지만 수익은 전체의 18.4%나 차지할만큼 효과가 좋지요. 제가 얘기하고 싶은 게 이겁니다. 방문수 대비 수익의 비중이 높다.
정리해보면 검색엔진을 통한 유입보다 오픈캐스트를 통한 유입에서 더 많은 애드센스 수익이 생긴다는 겁니다.
물론 검색을 통해 들어오는 숫자가 절대적으로 많기때문에 오픈캐스트에만 올인하는 전략은 좋지 않습니다. 하지만, 검색으로 1,000명 들어오는 것보다 오픈캐스트로 1,000명 들어오는 게 더 많은 수익은 낸다면 굳이 검색에 목 맬 필요가 있을까요?
앞으로는 어떻게해야 오픈캐스트로 더 많은 사람을 모을 수 있을까를 연구해봐야겠네요.
함께 보면 좋은 글
네이버 오픈캐스트와 방문자의 성향
애드센스 수익 향상 팁 - A/B 테스트
애드센스 수익 계산 - 환율 적용하는 방법
애드센스를 본문 상단 오른쪽에 넣기
이탈률, 반송률, 종료율이란? 이탈률 낮추는 방법
링크로 달러벌기 - adf.ly 수익금 지급
adf.ly에서 5번째 수익금이 지급되었습니다. 이번에 받은 $7.62를 포함하여 지금까지 총 $34.82를 모았네요.
페이팔로 받긴 했는데, 액수가 많지 않아서 그냥 묶혀두고 있어요. 혹시 나중에 $100넘으면 아마존에서 좋은 물건 하나 사야겠어요.
수입이 많는 건 아닌데, 수익금 지급 절차도 간편하고 특별히 신경쓰지 않아도 생기는 수익이라서 그냥 사용하고 있어요.
adf.ly 수익금
adf.ly는 긴 링크 주소를 짧은 링크 주소로 줄여주고, 짧은 링크 주소를 클릭했을 때, 광고를 보여주는 서비스에요. 물론 원래의 긴 링크로 연결해줍니다.
adf.ly를 사용하기에 가장 좋은 곳은 아마도 자료를 공유하는 사이트일 듯 싶네요. 자료를 다운받을 때 adf.ly링크를 눌러서 광고를 보고 자료를 받는다면 꽤 괜찮은 수입을 얻을 수 있을 거예요. 이런 곳은 대부분 회원제로 운영되기때문에 광고가 나온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어서 광고에 대한 거부감이 덜 할 테니까요.
영문 블로그를 운영하는 분들도 좋고요.
그 외에 일반 블로그나 트위터를 통해서 수입을 내기에는 어려운 측면이 있어요. 뭐 저처럼 한 달에 $5라도 괜찮으신 분들이면 상관없지만요.
아래는 지금까지의 수익금 지급 내역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주소 줄이고 달러 버는 adf.ly 수익금 지급
애드센스 수익 향상 팁 - A/B 테스트
애드센스를 본문 상단 오른쪽에 넣기
애드센스 수익 향상 팁 - A/B 테스트
블로거라면 애드센스 수익이 조금이라도 많이 나오길 바라죠. 광고 위치도 바꿔보고, 색상도 바꿔보고 별 방법을 다 동원하죠. 하지만 실제 효과가 얼마나 있는 지를 확인하는 방법은 매우 어려워요.
특히, 여러 광고단위 중에 어떤 걸 선택해야할 지, 하나의 광고다위라도 어떻게 색상으로 할지를 선택하지 못할 때 사용하면 좋은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이용해서 수익률이 더 높은 광고단위와 색상 팔레트를 선택할 수 있거든요.
참고로 이 방법은 애드센스 공식 블로그에 나와있는 방법으로 약관 위반이 아니니 안심하고 사용하셔도 됩니다.
A/B 테스트
A/B 테스트는 같은 상황에서 서로 다른 두 개의 애드센스 광고를 번갈아 노출시켜서 어느 광고가 더 수익이 많이 나는 지 확인하는 테스트에요.
예를 들어서 본문 상단에 광고를 넣을 때, 336x280과 300x250 광고 중에 어느 것을 넣어야 수익이 더 많이 날지 궁금하잖아요. 광고의 크기뿐 아니라 같은 크기의 광고라도 색상을 다르게 한다거나 이미지 광고와 텍스트 광고를 비교하는 등의 실험을 해 볼 수 있죠.
같은 페이지의 같은 위치에서 336x280과 300x250의 두 광고를 번갈아 나오게 하면서 어느 쪽이 수익이 더 많이 나는 지 알 수 있어요.
먼저 시험을 해볼 두 개의 광고를 만드세요. 채널을 사용하셔도 좋고, 이름을 다르게 지정해도 좋아요.
<script type="text/javascript">
var random_number = Math.random();
if (random_number < .5){
// 첫번째 광고단위
} else {
// 두번째 광고단위
}
</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show_ads.js"></script>
위 코드를 광고가 표시되기를 바라는 위치에 넣으세요. 그러면 페이지에서 두 개의 광고 중 하나가 랜덤으로 나와요. 나중에 애드센스 보고서에서 "RPM"이 더 높은 광고를 위 테스트 소스가 아닌 원래 애드센스 넣는 방법대로 넣으시면 됩니다.
페이지뷰가 별로 되지 않는다면 모르지만 페이지뷰가 많다면 이 방법을 통해서 조금 더 많은 애드센스 수익을 내는 광고를 선택할 수 있어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애드센스 수익 계산 - 환율 적용하는 방법
애드센스를 본문 상단 오른쪽에 넣기
이탈률, 반송률, 종료율이란? 이탈률 낮추는 방법
주소 줄이고 달러 버는 adf.ly 수익금 지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