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방정식과 일차방정식의 연립방정식를 풀 때는 일차식을 이차식에 대입했어요. 이차방정식 두 개가 연립된 연립이차방정식의 풀이에서는 이차방정식 중의 하나를 인수분해하고, 인수분해된 일차식을 이차방정식에 대입해서 풀었죠.
이 글에서 공부할 연립이차방정식의 풀이는 이차방정식로 된 연립이차방정식에서 두 이차방정식이 모두 인수분해가 되지 않는 경우예요. 이차식을 그대로 사용할 수가 없으니까 일차식으로 바꿔야 하는데, 이게 이 글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입니다.
이차식을 어떻게 일차식으로 바꾸는지 알아보죠.
연립방정식 - 연립이차방정식의 풀이
연립이차방정식의 기본 풀이는 일차방정식을 만들고, 이 일차방정식을 이차방정식과 연립해서 푸는 거예요.
연립이차방정식에서 이차방정식 중 하나가 인수분해되면 인수분해를 해서 일차방정식 두 개를 얻어요. 이 일차방정식들과 이차방정식을 이용해서 새로운 연립이차방정식을 두 개 만들어서 해를 구했어요.
두 이차방정식이 모두 인수분해가 안 될 때도 일차식을 얻어야하는데, xy항이 있을 때와 없을 때가 달라요. xy항이 없을 때는 인수분해를 하지 않아도 일차방정식을 얻을 수 있고, xy항이 있으면 인수분해를 해야 일차방정식을 얻을 수 있어요.
xy항이 없을 때 - 최고차항 제거
두 이차방정식이 모두 인수분해되지 않고, xy항이 없으면 최고차항을 없애요. 최고차항이 2차니까 없애면 일차항으로만 된 일차방정식이 남겠죠. 남은 일차방정식과 문제에서 주어진 이차방정식 중 하나를 연립해서 새로운 연립이차방정식을 만들어서 푸는 겁니다.
다음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하여라.
연립이차방정식에서 위의 식을 ①, 아래 식을 ②이라고 해보죠. 두 식 모두 인수분해가 되지 않고, xy항이 없으니까 최고차항인 x2을 제거해보죠. ① × 2 - ② × 3하면 되겠네요.
6x2 + 4y - 10x = 8 … ① × 2
6x2 - 15y + 9x = 27 … ② × 3
19y - 19x = -19 … ① × 2 - ② × 3
x - y = 1
일차방정식이 생겼는데 이 일차방정식과 이차방정식 중 하나를 골라서 새로운 연립이차방정식을 만들어요. ①을 골라보죠.
일차방정식과 이차방정식의 연립이므로 일차방정식을 한 문자에 대해서 정리한 후에 이차방정식에 대입해요.
x - y = 1
y = x - 1 → ①에 대입
3x2 + 2(x - 1) - 5x = 4
3x2 + 2x - 2 - 5x - 4 =0
3x2 - 3x - 6 = 0
x2 - x - 2 = 0
(x + 1)(x - 2) = 0
x = -1 or x = 2
y = -2 or y = 1 (∵ y = x - 1)
xy 항이 있을 때 - 상수항 제거
연립이차방정식에서 두 이차방정식이 모두 인수분해가 되지 않고, xy항이 있으면 상수항을 제거해요. 이렇게 없앤 식을 인수분해할 수 있는데, 인수분해하면 일차식 두 개의 곱으로 되죠? 두 일차방정식과 원래 문제 있던 이차방정식을 이용해서 새로운 연립이차방정식을 만들어 풀면 됩니다. 이때 이차방정식이 두 개인데, 아무거나 선택해도 상관없어요.
다음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하여라.
연립이차방정식에서 위의 식을 ①, 아래 식을 ②이라고 해보죠. 두 식 모두 인수분해가 되지 않고, xy항이 있으니까 상수항을 제거해보죠. ① × 2 + ②하면 상수항이 없어지겠네요.
2x2 - 2xy + 2y2 = 14 … ① × 2
4x2 - 9xy + y2 = -14 … ②
6x2 - 11xy + 3y2 = 0 … ① × 2 + ②
(2x - 3y)(3x - y) = 0
2x - 3y = 0 or 3x - y = 0
상수항을 제거하고 인수분해를 했더니 두 일차식의 곱이 됐어요. 이 두 일차방정식과 원래의 이차방정식 중 하나를 연립해서 새로운 연립이차방정식을 만들어요. ①을 골라보죠.
새롭게 만들어진 연립이차방정식을 풀어볼까요? 연립이차방정식의 풀이에서 일차방정식과 이차방정식이 연립된 연립이차방정식에서는 일차방정식을 한 문자에 대해서 정리한 후에 이차방정식에 대입해서 푼다고 했어요.
왼쪽의 연립이차방정식부터 풀어보죠.
2x - 3y = 0 → ①에 대입
y = ±2 (∵ )
이번에는 오른쪽 연립이차방정식을 풀어보죠.
3x - y = 0
y = 3x → ①에 대입
x2 - x × 3x + (3x)2 = 7
x2 - 3x2 + 9x2 = 7
7x2 = 7
x2 = 1
x = ± 1
y = ± 3 (∵ y = 3x)
함께 보면 좋은 글
연립방정식 - 미지수가 3개인 연립일차방정식
연립방정식 - 연립이차방정식의 풀이
부정방정식
인수분해, 인수분해 공식(고1)
등식의 변형, 한 문자에 대하여, 한 문자에 대한 식
방정식풀이법이 너무나 많아서 짜증나네요 ㅋ 이차방정식 연립방정식 상반방정식 부정방정식 연립차방정식복이차식 등 뭐이래 경우 경우 다 풀어야하는지 참
식의 종류가 다르니 어쩔 수 없지요.
어쨌든 일차식을 만들어내는 방법만 다를 뿐 만들어진 일차식과 이차식을 이용한다는 큰 원리만 잘 기억하면 돼요.
마지막 노랑박스에 or 가 아니라and로 바꿔야지요? 인수분해된 두개의 일차식 모두 각각 이차식과 연립해서 풀어야 하는데 or 로 연결시키면 하나만 해도 되는 느낌이잖아요
헷갈릴 수 있어서 수정했어요.
비밀댓글입니다
또 보러 오세요.
공통근에 관한 단원은 없나요?? 찾아도 안보이네요....
공통근 관련 내용은 없어요. 임의의 공통근을 a라고 놓고 대입해서 풀면 돼요.
뜬금없지만 꼭 대답좀 부탁드립니다
연립방정식(연립일차,이차포함)이 만들어진 목적은 미지수 두개 이상인 방정식들의 공통근을 구하는게 맞나요?
누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연립방정식을 만든 건 아니에요.
연립방정식의 해가 여러 방정식을 공통으로 만족하는 해(공통근)일 뿐이죠.
xy항이 있을때 상수항 하나가 0인 경우엔 어떡하나요?
상수항이 0인 식이 인수분해가 되지 않나요? 두 식중 하나라도 인수분해가 되면 연립이차방정식의 풀이 1(http://mathbang.net/353)의 방법대로 풀 수 있어요.
이 글은 두 식 모두 인수분해가 안될때 풀이법이에요.
공통근을 구할때 상수항소거와 최고차항 소거가 있는데 어떤경우에 무엇을 써야 하나요?
본문에 답이 나와있어요.
깔끔한 설명 보고 공부 잘 햇어요
문제풀어보러 ㄱㄱㄱ
문제 다 맞히세요. 혹시 틀리면 본문 내용 또 읽어보면 되니까 실망하지 마시고요. 한 번만 읽어봐서는 문제를 다 맞기 힘든 내용이에요.
항상 잘 보고 갑니다. 개념 되짚어보아야 할 때나 헷갈리는 개념 있을 때 자주 방문합니다. 구어체라 딱딱하지도 않아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헷갈리기 전에 오시면 더 좋아요. ㅎㅎ
자주 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