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름

원의 방정식은 그리 어려운 내용이 아니에요. 간단하게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이용해서 구할 수 있으니까요. 원과 관련된 기본적인 용어의 정의와 특징만 이해하고 있으면 돼요. 오히려 중학교 때 공부했던 원주각, 중심각 등보다 쉽다고 할 수 있죠.

직선의 방정식에서 표준형과 일반형을 공부했어요. 원의 방정식에도 표준형과 일반형이 있는데, 이 글에서는 원의 방정식 표준형을 알아볼 거예요.

원의 방정식 공식을 유도하는 방법과 여러 문제에서 어떻게 원의 방정식을 구하는 지를 유형별로 알아보죠.

원의 방정식

원은 한 점(정점)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점들의 집합이에요. 이때 한 정점을 원의 중심이라고 하고, 같은 거리를 반지름이라고 하죠.

원의 방정식 - 좌표평면 위의 원

좌표평면에서 한 점 C에서 같은 거리(반지름. r)에 점을 그리고 임의의 점의 좌표를 P라고 해보죠. 반지름 r은 의 길이와 같아요. 좌표평면 위의 두 점 사이의 거리 공식을 이용하여 C와 P 사이의 거리를 구해볼까요?

P는 임의의 점이니까 원 위에 있는 모든 점은 위 방정식을 만족해요. 이 방정식이 바로 원의 방정식입니다.

원의 중심이 (a, b)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의 방정식
⇔ (x - a)2 + (y - b)2 = r2

만약에 원의 중심이 원점(0, 0)이면 x2 + y2 = r2이겠죠?

위와 같은 형태를 원의 방정식의 표준형이라고 해요. 이차함수에서도 직선의 방정식에서도 표준형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었죠? 표준형을 보면 반지름과 원의 중심을 쉽게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요.

다음을 보고 원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1) 중심이 (3, 2)이고 반지름이 9인 원
(2) 중심이 (-1, 2)이고 (2, 6)을 지나는 원
(3) (-3, -5)와 (5, 9)을 지름의 양 끝점으로 하는 원

원의 중심이 (a, b)이고 반지름이 r인 원의 방정식은 (x - a)2 + (y - b)2 = r2이에요.

(1) 공식에 그대로 대입해보죠.
(x - 3)2 + (y - 2)2 = 92

(2) 공식에 넣어보면 (x + 1)2 + (y - 2)2 = r2에요.

원의 방정식이 (2, 6)을 지나니까 이걸 식에 대입하면 r을 구할 수 있어요. 대입해보죠.
(x + 1)2 + (y - 2)2 = r2
(2 + 1)2 + (6 - 2)2 = r2
32 + 42 = r2
r2 = 9 + 16
r2 = 25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x + 1)2 + (y - 2)2 = 25

(3) 중심과 반지름이 아니라 지나는 두 점을 알려줬네요. 그런데 두 점이 지름의 양 끝점이라고 했어요. 지름은 원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으로 지름의 중점이 원의 중심이에요. 원의 중심을 구하면 (2) 번에서 했던 방법을 이용해서 r2을 구할 수 있어요.

원의 중심의 좌표를 (a, b)라고 한다면

원의 중심은 (1, 2)이니까 (x - 1)2 + (y - 2)2 = r2이네요. (5, 9)를 대입해보죠.

(x - 1)2 + (y - 2)2 = r2
(5 - 1)2 + (9 - 2)2 = r2
42 + 72 = r2
r2 = 16 + 49
r2 = 65

따라서 원의 방정식은 (x - 1)2 + (y - 2)2 = 65

함께 보면 좋은 글

두 점 사이의 거리, 좌표평면 위의 두 점 사이의 거리
직선의 방정식의 일반형, 직선의 방정식의 표준형
직선의 방정식,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두 직선의 위치관계 - 평행, 일치, 수직
두 직선의 위치관계 - 일반형

정리해볼까요

원의 방정식

  • 원: 한 정점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점들의 집합
  • 원의 중심이 (a, b)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의 방정식
  • (x - a)2 + (y - b)2 = r2
  • 원의 방정식 표준형: 원의 중심, 반지름을 쉽게 구할 수 있다.
<<  수학 1 목차  >>
 
그리드형

다각형에 이어 이번에는 원이에요.

다각형은 여러 개의 선분으로 둘러싸인 평면도형이었어요.

이번에는 선분이 아닌 것들로 둘러싸인 도형을 공부할 거예요. 바로 원과 그 친구들이죠.

원은 초등학교 때 지름, 반지름, 넓이 구하는 걸 하면서 공부했어요. 그때의 내용이 또 나와요. 하지만 고맙게도 계산은 훨씬 쉬워졌어요. 기대하세요.

원, 호, 현, 활꼴, 부채꼴

은 한 점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는 점들로 이루어진 도형이에요. 그리고 그 한 점을 원의 중심이라고 하고, 일정한 거리를 우리는 반지름이라고 하지요.

호, 현, 원의 중심, 지름

는 원의 일부분인데, 원 위의 두 점을 양 끝으로 하는 원의 일부를 말해요. 이때 양 끝점이 A, B이면 호 AB라고 부르고 기호로 로 나타내요. 선분 AB는 AB 위에 반듯한 선을 그어서 선분 AB로 표시했는데, 호는 AB 위에 곡선을 그어서 표시해요.

A와 B를 양 끝점으로 하고, 중간에 점 C를 지나는 호는 정확한 경로를 알 수 있게 호 ACB라고 불러요.

은 원 위의 두 점을 이은 선분을 말해요. 현이 지나는 두 점이 AB이면 현 AB라고 부르고 기호로 선분로 표시해요. 현은 반듯한 선분이라서 기호도 그냥 선분 기호를 사용해요.

현 중에서 원의 중심을 지나는 현을 지름이라고 하고, 지름은 현 중에서 길이가 가장 길어요.

부채꼴과 활꼴, 부채꼴의 중심각

활꼴은 이름 그대로 활처럼 생겼어요. 호와 현으로 이루어진 도형을 말해요.

부채꼴은 부채모양처럼 생겼고요. 호와 원의 반지름 두 개로 이루어진 도형이에요. 부채꼴에는 두 반지름이 원의 중심에서 만나서 생기는 각이 있지요? 이 각을 부채꼴의 중심각이라고 불러요.

부채꼴과 중심각

부채꼴의 중심각은 중요한 의미가 있어요. 바로 중심각에 따라 부채꼴 호의 길이와 부채꼴의 넓이가 달라지기 때문이죠.

부채꼴의 중심각

하나의 원이나 합동인 두 원에서

  •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가 같으면 호의 길이가 같다
  •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가 같으면 부채꼴의 넓이도 같다.
  •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가 같으면 현의 길이도 같다.
  • 부채꼴의 중심각 ∝ 부채꼴 호의 길이
  • 부채꼴의 중심각 ∝ 부채꼴의 넓이
  • 부채꼴의 중심각과 현의 길이는 정비례하지 않는다.

위에서 ∝ 표시는 정비례 표시에요. 중심각이 2배, 3배로 커지면 그에 따라 부채꼴 호의 길이도 2배, 3배로 길어진다는 뜻이에요. 부채꼴의 넓이도 마찬가지고요. 단, 현의 길이는 정비례하지 않아요.

아래 그림을 보고 x의 길이를 구하시오.

 

위 그림에서 x는 부채꼴 호의 길이에요. 한 원에서 부채꼴의 중심각과 부채꼴 호의 길이는 정비례한다고 했어요.

위에 있는 부채꼴의 중심각은 40°이고, 호의 길이는 xcm예요. 아래에 있는 부채꼴의 중심각은 120°이고 호의 길이는 9cm고요. 정비례하니까 비례식으로 풀어보죠.

40° : xcm = 120° : 9cm
120° × xcm = 40° × 9cm
x = 40 × 9 ÷ 120
x = 3

x는 3cm네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원주율, 원의 둘레, 원의 넓이, 부채꼴 호의 길이, 부채꼴 넓이
다각형 내각의 크기의 합과 외각 크기의 합
원기둥의 부피와 겉넓이, 각기둥의 부피와 겉넓이
원뿔의 겉넓이와 부피, 각뿔의 겉넓이와 부피
[중등수학/중3 수학] - 원뿔의 높이와 부피, 원뿔의 부피 공식

정리해볼까요

원과 호, 현, 활꼴, 부채꼴

  • 원: 평면 위의 한 점으로부터 거리가 일정한 점들로 이루어진 도형
  • 호: 원 위의 두 점을 양 끝으로 하는 원의 일부분
  • 현: 원 위의 두 점을 이은 선분. 현 중에 제일 긴 현은 지름
  • 활꼴: 현과 호로 이루어진 도형
  • 부채꼴: 호와 반지름 두 개로 이루어진 도형. 부채꼴의 중심각

부채꼴의 중심각

  •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가 같으면 호의 길이가 같다
  •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가 같으면 부채꼴의 넓이도 같다.
  •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가 같으면 현의 길이도 같다.
  • 부채꼴의 중심각 ∝ 부채꼴 호의 길이
  • 부채꼴의 중심각 ∝ 부채꼴의 넓이
  • 부채꼴의 중심각과 현의 길이는 정비례하지 않는다.
<<    중1 수학 목차    >>
 
그리드형

+ 최근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