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선과 각에 이어서 이번에는 직선과 각들로 이루어진 도형에 대해서 알아볼 거예요.
도형 중에 가장 먼저 배우는 건 역시 가장 간단한 삼각형이죠.
삼각형에서 적용되는 성질 대부분이 사각형, 오각형에도 그대로 적용되니까 첫 단계인 삼각형에 대해서 제대로 공부해야 해요.
이 글에서는 삼각형의 의미와 삼각형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에 대해서 알아보죠.
삼각형의 정의, 대변, 대각
삼각형은 이름 그대로 각이 세 개 있는 도형이죠? 각이 세 개인 것은 꼭짓점이 세 개라는 말과 같아요. 삼각형을 좀 더 멋있게 정의해 볼까요? 세 점 A, B, C를 선분으로 연결한 도형을 삼각형 ABC라고 정의해요. 기호로는 △ABC로 표시하고요. △ 기호 뒤에 세 점을 모두 쓰는 거죠.
삼각형은 꼭짓점과 변, 각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꼭짓점: 점 A, 점 B, 점 C
변: 변 AB, 변 BC, 변 CA
각: ∠ABC (= ∠B), ∠BCA (= ∠C), ∠CAB (= ∠A)
변 AB는 점 A와 점 B를 연결하는 선이잖아요. 점, 선, 면, 직선, 반직선, 선분에서 알아봤던 것처럼 변 AB는 선분 AB니까 기호로 로 나타낼 수 있어요. 변 BC와 변 CA도 마찬가지로
로 나타낼 수 있고요.
삼각형에 대변과 대각이라는 게 있어요. 똥 아니에요. 대변은 한 각과 마주보고 있는 변을 말하고, 대각은 한 변과 마주보는 각을 말해요.
△ABC에서 ∠A와 마주 보는 변은 변 BC죠? 그래서 ∠A의 대변은 변 BC입니다. 대변의 길이는 각의 알파벳을 소문자로 쓴 것으로 표현해요. 그러니까 ∠A의 대변의 길이는 a로, ∠B의 대변의 길이는 b로 나타내는 거지요.
삼각형의 대변은 찾기 쉬워요. 이름에 그 각의 알파벳이 들어있지 않은 변이 대변이에요. ∠B의 대변은 이름에 B가 없는 변, 즉 변 CA가 되는 거죠.
∠A의 대변: 변 BC = a
∠B의 대변: 변 CA = b
∠C의 대변: 변 AB = c
대각은 마주 보는 각인데, 변이 마주 보는 각이에요. 대변과 대각은 서로 반대겠죠? 대각도 마찬가지로 이름에 변에 있는 알파벳이 없는 각이 대각이에요. 변 AB의 대각은 A, B가 없는 ∠C가 되는 거죠.
변 AB의 대각: ∠C
변 BC의 대각: ∠A
변 CA의 대각: ∠B
함께 보면 좋은 글
삼각형의 결정조건, 삼각형의 작도
도형의 합동, 삼각형의 합동조건
삼각형 내각의 합과 외각의 크기, 외각의 합
비밀댓글입니다
ㅋㅋㅋㅋ 똥 ㅋㅋㅋㅋㅋㅋㅋ
똥..ㅎㅎ
ㅇㄹㅇ
이왕 배운 건데 잘 써먹어야죠. ㅎㅎ
감사해요 각 abc에서 각이 a인줄알았는데 b였네요... 제가 커서 성공하면 꼭 찾아 뵈고 싶어요
꼭 찾아오세요.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ㅋㅋ
기본적으론 선분에서 이탤릭체를 쓰는 건 OUT입니다.
점의 이름을 나타낼 때는 정자체를 쓰는데 선분이 점의 이름+윗선이거든요.
제가 일부러 이탤릭체를 쓴 건 아니고, 수식을 입력하려고 사용했던 사이트의 글꼴이 이탤릭체라서 그래요.
정말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여러분 정말 감사합니다! 저 외국에 있는데 도움이 많이 되네요!
감사합니다 6 학년에 외국 왔다가 지금 이제 한국 중 2로 옵니다. 수학방 책도 꼭 다 사 봐야겠네요. ㅋㅋ
수학방 책의 교육과정이 지금 것과 다르니 참고하세요.
정말 좋은 정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네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