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leaner
-
CCleaner로 파일 완전 삭제하기 - Drive Wiper2013.12.01
CCleaner로 파일 완전 삭제하기 - Drive Wiper
CCleaner 사용법 - Wipe Free Space, Wipe MFT Free Space에서 드라이브의 빈 공간에 있는 파일들을 복구하지 못하게 완전히 삭제하는 법을 알려드렸어요. 이 글에서는 드라이브에서 삭제된 파일 뿐 아니라 삭제되지 않은 파일도 복구하지 못하게 완전히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죠.
이 기능을 사용한 후에는 파일을 복구할 수 없으니까 기능에 대한 이해를 먼저 해야 합니다. 위 링크에 파일의 삭제와 복구에 대한 내용이 있으니까 꼭 먼저 읽어보세요. 그리고 이 기능을 사용할 때는 꼭 주의하시고요.
CCleaner로 파일 완전 삭제하기 - Drive Wiper
파일을 완전히 삭제하려면 메뉴의 도구 - Drive Wiper를 선택하세요.
아래 그림처럼 메뉴가 나오는데 기능 자체가 복잡한 기능이 아니라서 메뉴는 몇 개 없습니다.
wipe 옆의 메뉴에서 여유공간만 할지 드라이브 전제를 삭제할지 선택하세요.
"여유 공간만(Free Sapce Only)"는 빈 공간에서 이미 삭제된 파일을 지우는 설정으로 Wipe Free Space와 같은 내용입니다.
"전체 드라이브(Entire Drive)" 빈 공간의 삭제된 파일뿐 아니라 삭제하지 않은 파일까지 드라이브의 모든 자료를 삭제합니다. 따라서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하고 운영체제가 설치된 드라이브는 선택할 수 없습니다.
이건 하드드라이브나 카메라의 메모리를 다른 사람에게 판매할 때 사용하면 좋지요.
보안에서는 덮어쓰는 횟수를 정할 수 있어요. 괄호 안의 횟수가 많을수록 복구가 어려워집니다.
그 다음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아래 wipe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사용법이 아주 간단하죠? 하지만 그 실행 결과는 그렇지 않아요. 삭제된 파일은 복원할 수 없기때문에 사용할 때 정말 잘 결정을 해야 합니다. 메뉴 선택을 잘 해야 하고 나오는 경고 메세지를 잘 읽으세요.
CCleaner의 파일 완전 삭제는 개별 파일, 폴더를 삭제하는 기능은 없고 여유 공간, 드라이브 전체의 두 가지 옵션밖에 없어서 약간 아쉽긴 하지만 그래도 전문 프로그램이 아닌 걸을 고려한다면 꽤 유용한 기능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CCleaner - 시스템 복원 관리의 목록이 빈 칸일 때
CCleaner 사용법 - Wipe Free Space, Wipe MFT Free Space
CCleaner 사용법 - Wipe Free Space, Wipe MFT Free Space
CCleaner에 꽤 오래전에 추가된 기능 중 하나인데 사용법이 잘 알려지지 않은 기능이 있어서 소개하려고 합니다. Wipe Free Space라는 기능으로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 아니라서 모르고 있는 분들이 많이 있더라고요.
이름이 좀 이상해서 그렇지 파일 완전 삭제 또는 파일 보안 삭제라는 얘기를 들어본 분이라면 금방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Wipe Free Space라는 기능을 잘 이용한다면 별도의 파일 완전 삭제 프로그램을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파일 완전 삭제는 자주 이용하는 기능도 아닌데 굳이 여러 프로그램을 따로따로 쓰지 말고 CCleaner 하나로 해결하면 좋잖아요.
CCleaner 사용법 - Wipe Free Space, Wipe MFT Free Space
MFT와 파일 삭제, 파일 복구
이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먼저 알아야 할 내용이 있어요.
MFT라는 영역에는 윈도우에 있는 각종 파일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쉽게 말해 MFT는 파일 명단 또는 목록이라고 볼 수 있는 거죠. 윈도우에서 파일을 삭제할 때 실제로는 파일이 삭제되는 게 아니라 이 MFT에서 파일의 정보만 지우는 거예요. 파일을 삭제하면 파일을 지우는 거 아니라 목록에서만 지우기 때문에 실제로 파일은 하드드라이브에 남아있게 됩니다.
윈도우 상에서는 파일을 지웠지만 지워진 건 MFT의 파일 정보일 뿐 실제로 파일을 지운 건 아니라서 이 파일을 언제든지 복구할 수 있겠죠? Recuva같은 파일 복구 프로그램이 바로 이런 내용을 이용해서 파일을 복구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하드드라이브나 카메라의 메모리를 중고로 팔 때 그냥 파일 삭제만 해서 팔았다고 해보죠. 하드나 메모리를 구매한 사람이 Recuva같은 파일 복구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삭제되었던 파일을 복구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다른 사람이 보면 불편하거나 봐서는 안 되는 내용이 있다면 큰 문제가 되겠죠?
Wipe Free Space, Wipe MFT Free Space
이런 문제를 겪지 않기 위해서 사용해야 하는 기능이 바로 CCleaner의 Wipe Free Space입니다. 이름 그대로 디스크 여유 공간을 청소해준다는 뜻이죠.
파일을 복구할 수 없게 삭제하는 프로그램이 많이 있지만, 파일을 선택해서 삭제하거나 드라이브 전체를 삭제하는 이른바 보안 삭제(완전 삭제)라는 기능으로 되어 있어요. 그에 비해 CCleaner의 Wipe Free Space는 삭제했지만 실제로는 삭제되지 않은 파일만 지우는 기능입니다. 조금 차이가 있어요.
- CCleaner: 현재 사용하는 파일은 그냥 놔두고 전에 삭제했던 파일만 복구하지 못하게 삭제할 때
- 파일 완전 삭제 프로그램: 현재 사용하는 파일이든 과거에 삭제했던 파일이든 모두 복구하지 못하게 삭제할 때 또는 현재 사용중인 특정 파일을 복구하지 못하게 삭제할 때
참고로 CCleaner에는 드라이브 전체를 보안 삭제하는 기능이 따로 있습니다.
Wipe Free Space를 사용하려면 왼쪽 메뉴에서 설정 - 설정 탭을 클릭하세요.
지워진 파일을 완전히 지울 드라이브를 선택하세요. Wipe MFT Free Space를 선택하면 파일도 삭제하고 MFT에 기록되어 있는 삭제된 파일 정보도 함께 삭제하게 됩니다.
다음은 정리 탭으로 돌아와서 제일 아래의 Wipe Free Space를 선택하세요.
평소에 CCleaner를 사용할 때처럼 불필요한 파일을 삭제하면 마지막에 과정에서 Wipe Free Space를 하게 됩니다.
그림에는 3분 12초가 남았다고 하는데 이 시간은 삭제하면서 계속 바뀝니다. 실제로는 이것보다 훨씬 더 많은 시간이 걸려요. 처음으로 하는 거라면 30분 이상 걸릴 수도 있어요.
아래는 Wipe Free Space를 실행하기 전에 Recuva로 열어본 모습입니다. 삭제되었으나 실제로는 삭제되지 않아 복구할 수 있는 파일들의 목록을 보여줍니다. MFT에 있는 정보들이죠.
이건 Wipe Free Space를 실행한 후에 Recuva로 본 모습인데요. 파일과 MFT의 정보가 지워졌기 때문에 목록에 나오는 게 없습니다.
다만 이 과정이 파일을 완전히 삭제해서 복구할 수 없게 하는 건 아닙니다. 그냥 일반적인 사용자라면 복구하지 못할 수도 있으나 파일 복구 전문가나 혹은 유료로 판매되는 복구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파일을 복구할 수도 있습니다.
파일을 완전히 복구하지 못하도록 하려면 조금 더 강력한 삭제를 해야 하는데, 이것 역시 CCleaner에서 할 수 있습니다. CCleaner 사용법 - 파일 완전 삭제, 파일 보안 삭제에서 다루기로 하죠.
CCleaner는 단순히 최적화 유틸일 뿐 아니라 보안 기능까지 갖춘 아주 훌륭한 프로그램입니다. 여러 기능에 대한 사용법을 익혀뒀다가 나중에 필요할 때 꼭 한 번 사용해보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CCleaner - 시스템 복원 관리의 목록이 빈 칸일 때
CCleaner 사용법 - 파일 완전 삭제, 파일 보안 삭제
CCleaner - 시스템 복원 관리의 목록이 빈 칸일 때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으로 유명한 CCleaner에는 여러 가지 기능이 있어요. 그 중 다른 프로그램에는 없는 시스템 복원 지점 관리하는 기능이 있지요. 가장 최근의 시스템 복원 지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복원 지점을 삭제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그런데, 무슨 이유때문인지 오류가 생겨서 시스템 복원 지점의 목록을 생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겨요. 이 때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해결법을 몰라서 CCleaner 포럼에서 찾아서 따라 해보니 문제가 해결되더라고요.
CCleaner - 시스템 복원 관리의 목록이 빈 칸일 때
아래 그림처럼 CCleaner의 시스템 복원 지점 관리에서 목록에 하나도 없을 때가 있어요. 원래는 제일 최근의 목록은 삭제할 수 없으니 회색으로 표시되어야 정상이거든요.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해결책은 있어요. 시스템 복원을 해제했다가 다시 시작하면 되지요.
시스템 복원을 해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바탕화면의 내 컴퓨터에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고 속성을 선택하세요.
시스템 복원 탭에서 "모든 드라이에 시스템 복원 사용 안 함"을 선택합니다.
컴퓨터를 다시 시작한 다음에는 위 과정을 거꾸로 진행해서 시스템 복원을 사용하도록 설정하세요.
시스템 복원 사용 안함 → 재부팅 → 시스템 복원 사용
시스템 복원을 다시 사용하면 복원 지점이 만들어지는데, 이 지점들은 CCleaner의 시스템 복원 지점 관리 목록에 표시가 됩니다.
해결은 되지만 왜 이런 오류가 생기는 지 이유를 알 수 없는 건 좀 답답하긴 하네요.
함께 보면 좋은 글
windows update, pc 보안업데이트 지원 프로그램
한글 단축키 - 표/셀 단축키 1
한글 단축키 - 표/셀 단축키 2
한글2010 단축키 - 찾기와 찾아바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