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입경로
수학방 모바일 유입, 수입 분석
지난주에 스킨을 반응형 스킨으로 바꾸면서 가장 기대했던 부분은 구글 웹로그 분석과 네이버 애널리틱스 통계를 모바일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는 거였어요. 그동안에 모바일 웹에서는 통계를 사용할 수 없어서 답답한 게 있었거든요. 그냥 애드센스의 모바일 노출 수를 보고 대충 예상하는 정도였어요.
반응형 스킨에서는 이런 통계 도구를 이용할 수 있게 된 기념으로 통계 분석을 한 번 해봤어요. 이전에 예상했던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조금 더 세부적으로 통계를 낼 수도 있고 몰랐던 사실까지 몇 가지가 있어요. 그리고 이런 내용을 바탕으로 스킨의 일부 구조를 바꿀 필요가 있다는 것도 깨달았고요.
잘 모르는 상태에서 예상만으로 운영하는 것과 정확한 통계를 바탕으로 해서 콘텐츠의 구조, 상태를 수정하는 건 차이가 있네요.
모바일 유입, 수입 분석
일주일 동안 유입 경로를 봤는데, 모바일이 70%, PC가 30% 정도 되네요. 애드센스의 노출 수로 예상했을 때는 75 : 25 정도일 거라고 생각했었거든요. 별 차이가 없긴 하지만 그래도 모바일의 비중이 엄청나게 높네요. 모바일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 반응형 스킨으로 바꾸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어요.
위는 네이버 애널리틱스, 아래는 구글 웹분석로그의 통계입니다.
운영체제별 통계입니다.
네이버 애널리틱스는 PC와 모바일 기기의 운영체제를 한꺼번에 나타내고 있고, 구글 웹로그 분석은 모바일 운영체제만 따로 표시한 겁니다. 안드로이드가 절대다수네요.
구글 웹로그 분석에서는 기기별 통계도 확인할 수 있어요. 아이폰은 버전에 상관없이 하나로 보여주는데 갤럭시는 버전뿐 아니라 통신사까지도 구분해서 보여주는군요.
유입은 모바일과 데스크톱이 70 : 30이지만 수입은 반대로 30 : 70 정도 돼요. 모바일에서의 클릭률은 별로 높지 않고 단가도 PC보다 많이 낮으니까요.
모바일 수입만 놓고 보면 유입수에 대비해서 아이폰에서의 수입이 많았습니다. RPM이 웬만한 데스크톱 광고만큼의 수입이죠. 아이폰이 화면이 작아서 광고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높아 클릭이 많이 발생하는 게 아닌가 싶어요.
태블릿의 RPM이 데스크톱보다 더 높게 나오는 것도 같은 이유일 거예요. 태블릿이 화면은 더 작은데 광고는 데스크톱과 같은 광고나 나오니까 화면에서 광고가 차지하는 영역이 더 넓어지고 더 많은 관심을 끌게 되지요.
반응형 스킨으로 바꾼 후에 이렇게 모바일과 태블릿에서의 통계를 확인할 수 있고 또 PC의 통계와 비교하는 재미가 쏠쏠하네요. 유입이 많은 기기에 맞게 콘텐츠와 광고의 배치를 조금 더 신경 써야겠다는 생각도 들고요. 그리고 그냥 대충 예상만 했던 모바일의 유입 정도를 직접 확인했다는 것도 큰 수확이고요.
쓰면 쓸수록 반응형 스킨으로 바꾸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어요.
함께 보면 좋은 글
반응형 스킨 Tistory skeleton 적용 후기.
애드센스 A/B테스트을 쉽게 - 실험 베타 서비스
애드센스 수입 향상 팁 - 텍스트 광고 편
애드센스 최적화 배치 방법, 히트맵(headtmap)
수학방 6월 블로그 결산
지난 6월에 블로그에 있었던 일들을 결산해봅니다.
5월에는 구글 웹로그 분석으로 결산을 해봤는데, 6월에는 네이버 애널리틱스로 한 번 해봤어요.
네이버 애널리틱스는 보기에 깔끔하고, 어떤 분석을 나타내는 지 금방 이해할 수 있어서 좋네요. 구글 웹로그 분석은 엄청 복잡하잖아요. 그런데 한 달 통계를 보고 싶어서 지정을 해놓았는데, 보고서의 종류를 바꾸면 날짜가 7일로 바뀌어 버리는 버그(?)가 있어요. 보고서를 선택할 때마다 날짜 지정을 지정을 해줘야하는 불편함이 어서 수정되었으면 합니다.
블로그 결산
수학방은 기본적으로 중고등생을 위한 수학 컨텐츠가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패턴에 따라 방문 유형이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학교에 있는 시간에는 모바일 접속이 많고, 6시 이후에 되어야 PC 접속이 생기죠. 그리고 11시 이후에는 방문자가 거의 없습니다. 또 시험 기간에는 방문자 수가 늘었다가 시험이 끝나면 줄고, 방학이 되면 반토막이 나지요.
이달에는 방문자 수가 많이 늘었어요. 기말고사 때문인데요. 7월 초에 기말고사를 보기때문에 6월 마지막주에 방문자 수가 급증했습니다. 5월는 중간고사가 끝난 직후라서 방문자가 감소했기대문에 상대적으로 더 늘은 측면이 있지요.
하지만 7월 기말고사가 끝나고 방학이 되면 방문자 수는 급감할 거예요. ㅠㅠ
인기페이지
1등으로 많이 들어온 페이지는 중1 수학 요점정리, 중2 수학 요점정리, 중3 수학 요점정리라는 곳입니다. 시험기간이라는 걸 금방 알 수 있어요.
2, 3, 4, 6 순위는 모두 각 학년별 목차 페이지고요.
평균 체류시간이 40초대에 머무르는 건 조금 안타깝네요.
유입검색어
유입검색어를 보면 왜 위 페이지가 인기가 있는 지 확인할 수 있어요.
특히 수학방이라는 검색어로 들어온 경우가 11%나 된다는 건 역시나 기분 좋은 일이네요. 그냥 공부방으로서의 수학방을 검색한 경우도 있겠지만 수학방이라는 제 블로글 검색한 r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봐도 괜찮을 것 같아요. 브랜드가치가 점점 높아지고 있네요.
겸색엔진 방문분포
티스토리의 유입경로는 보면 구글이 빙, 네이트보다 유입수가 더 많은데, 분석 결과는 좀 다르네요.
검색엔진은 네이버에 너무 종속되어 있는 게 아닌가 싶을 정도에요. 이러다가 네이버에서 저품질 걸리면 그냥 날라가는 거죠. 이건 PC 페이지만 나오기때문에 저 정도지 모바일 페이지까지 분석이 된다면 네이버의 유입량이 훨씬 더 늘어날 거예요. 제 블로그 유입경로의 1등이 네이버 모바일 검색이거든요.
네이버 모바일 ||||||||||||||||||||||||||||||||||||| 네이버 검색 ||||||| 다음 > 빙 > 네이트 > 구글...
유입경로
유입경로는 확실히 네이버가 압도적입니다. 다음이 따라갈 수가 없네요.
그리고 direct 즉 직접 주소를 입력하거나 즐겨찾기 등을 통해서 들어온 경우가 9%나 돼요. 이 분들은 컨텐츠에 만족하고 재방문을 해주는 분들이죠. 이게 블로그의 질을 판단하는 요소 중에 하나라고 생각해서 이 비율을 높이는 게 현재 목표입니다.
끝으로 요약페이지에 있는 내용인데, 평균 체류시간이 55분, 방문당 페이지뷰가 4,500여회라고 나오네요. 이런 말도 안되는 통계가.. 얼른 수정되었으면 좋겠어요.
함께 보면 좋은 글
블로그 5월 결산, 방문자수 분석, 수입 분석
블로그 로딩속도를 빠르게 - 이미지 용량 줄이기
검색엔진 최적화, SEO를 위한 meta, title, desciption, keywords 사용법
검색엔진 최적화(SEO) 2탄 - 로딩 속도를 빠르게
검색엔진 최적화(SEO) 3탄 - 도메인, 텍스트 편
애드센스 타겟팅 - 문맥 vs 관심기반 vs 게재위치
AdSense 정책의 전반적인 이해 - 행아웃 온에어 세션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