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애드센스 320x100 광고 테스트 중이라는 글에서 새로 나온 320x100 광고를 테스트 한다고 했었어요. 그런데 이제 이 테스트를 중단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애드센스 정책 위반의 소지가 있어서요.
모바일 페이지를 수정하거나 광고를 바꿀 때 모바일 페이지 보기, 기기별로 모바일 페이지 확인하는 방법에서 소개한 트로이(http://troy.labs.daum.net)에서 확인을 하는데요. 보통은 그냥 제일 위에 있는 갤럭시S4화면에서만 확인했거든요.
그런데 오늘 다른 기기에서 어떻게 보이는지 확인하다가 한 가지를 발견했어요.
아래는 320x100 광고를 넣은 걸 갤럭시S4로 본 화면이에요. 여기는 별 문제가 없어보이죠.
그런데 문제는 아이폰이에요.
아래는 아이폰4에서 본 화면인데요. 본문이 전혀 보이지 않고 광고만 보이네요. 아이폰이 다른 스마트폰에 비해서 화면이 작아서 화면에 보여지는 콘텐츠의 양이 너무 적어요. 스크롤하지 않은 페이지에서 본문 내용이 충분히 보이지 않으면 애드센스 정책 위반이잖아요. 그래서 320x100을 사용하면 안 될 것 같아요.
근데 320x50 광고를 넣은 페이지를 아이폰4에서 볼 때 본문이 한 줄밖에 보이지 않는군요. 이것도 정책위반이 될 수도 있겠지만 애드센스 측에서도 티스토리의 애드센스 모바일 플러그인에 320x50 광고 단위를 사용하라고 권하고 있으니 이건 문제삼지 않을 것 같아요.
새로운 광고 단위가 나오고 수입도 괜찮을 것 같아서 실험을 하고 있었는데, 더 이상 실험을 할 수 없을 것 같아서 아쉽네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애드센스 A/B테스트을 쉽게 - 실험 베타 서비스
애드센스 수입 향상 팁 - 텍스트 광고 편
애드센스 필수 가이드북
애드센스 최적화 배치 방법, 히트맵(headtmap)
애드센스 타겟팅 - 문맥 vs 관심기반 vs 게재위치
모바일도 본문 상단과 하단이 클릭률이 높아서..
애드센스 모바일 플러그인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본문에 삽입하거나..
모바일 주소를 강제로 PC 주소로 이동시키는 경우도 있는데..
본문 삽입에 대한 부담도 있고, 티스토리 모바일 개편 후...제목 폰트가 커져서...
반응형 웹이 보편화 될 때까지 모바일은 그냥 부수적 수입이라 생각해야 할 것 같아요^^;;
모바일 유입이 거의 대부분이라 좀 잘해보려고 해봤는데 안되겠더라고요.
티스토리에서 어서 빨리 반응형 스킨을 만들어줬으면 좋겠어요.
화면에 [삭제]가 활성화 되어 있는 거 보니 로그인한 상태에서 보셨군요.
로그아웃하신 상태에서 보시면 본물의 글이 2~3줄 정도는 더 보이실 겁니다.
로그아웃한 상태에서 보셔야 정상적인 화면 테스트가 되실 거라 생각됩니다.
로그아웃을 하고 봤는데 말씀하신 것처럼 2줄이 더 보이네요. 상단의 타이틀의 높이도 줄여봤는데 그래도 몇 줄 되지 않아요.
애드센스의 정책 위반을 벗어날 만큼은 아닌 것 같아요.
모바일에서 유입되는 글들은 보통 검색으로 유입되는 글들이기 떄문에 상단 메뉴 사용 빈도가 낮다고 생각됩니다.
[글목록] 하나만 사용하시면 메뉴가 사라지면서 그것으로 인해 2~3줄 더 보이실 겁니다.
상단 메뉴가 꼭 필요하다면 어쩔 수 없지만 필요 없다면 한 번 검토해보시길...^^
상단의 타이틀 높이를 줄이고 메뉴를 삭제해도 4줄 반밖에 안 보이네요. 그래서 반응형스킨으로 바꿀까 하고 있어요. 반응형 스킨에 성공하면 상관없는데 실패하게 되면 말씀하신 걸 검토해봐야겠네요.
320X100 배너는 모바일용으로 출시된거라 왠만하면 정책위반에 걸릴거같지 않습니다.
본문내용이 안보이는건 아이폰이 너무작은 문제이지.. 저정도는 정책위반사항이 아니에요 아이폰3GS는 화면이 더작을텐데 그거까지 맞추려면 광고를 쓰지말아야하는 계산이나옴 ㄷㄷ..
정책위반 아닌거같아도 구글이 정책위반이라면 정책위반이라는 명언이있듯이.. 케이스에따라 다른거같습니다. 결론은 320X100은 블로그에 써도 된다입니다.
320x100이 상단을 다 가리는 건 티스토리 모바일 페이지의 상단이 쓸데없이 길어서 생기는 문제로 다른 사이트나 설치형 블로그에서는 금방 해결할 수 있을 거예요.
다른 사이트에서는 문제가 안되도 티스토리에서는 정책위반이 될 수도 있죠. 물론 발견을 했다고 하더라도 정책위반으로 제재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생각하긴 해요.
그래도 안전하게 사용하고 싶어서 그냥 반응형스킨으로 바꿔버렸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