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
한글 2010 단축키 - Home, End2013.08.04
-
한글 단축키 - 표/셀 단축키 12013.06.07
-
한글과 컴퓨터 무료 문서 서식2013.05.25
한글날 기념, 누구나 알아야 할 한글 이야기 10+9 배포 소식
내일은 한글날이에요. 그동안은 그냥 공휴일이 아니었는데, 올해부터 다시 공휴일이 되었지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한글날을 맞아 한글에 관련된 설문조사를 했나 봅니다. 여기서 많은 사람이 틀린 내용과 꼭 알아야 할 한글 상식들을 묶어서 책으로 만들어 냈어요. "누구나 알아야 할 한글이야기 10 + 9"입니다.
아래 목차를 보면 알겠지만, 한글을 만든 이유와 만든 원리, 역사적 배경, 한글의 발전 과정 등 한글과 관련된 내용이 아주 잘 정리되어 있어요. 30장 정도밖에 정도밖에 안 되지만 그 내용은 알찹니다. 내용이 그리 어렵지 않고 그림과 사진, 도표 등을 첨부하여 쉽게 설명하고 있으니 학생뿐 아니라 성인들도 한 번쯤 읽어볼 만한 것 같아요.
PDF 파일이니까 컴퓨터에서 바로 보거나 인쇄해서 보면 되겠어요. 전자책으로 변환하려고 했는데 잘 안되네요.
‘누구나 알아야 할 한글이야기 10+9’ 목차
- 첫째 마당. 한글(훈민정음) 창제 이야기
- 한글은 언제 만들었나요?
- 한글을 왜 만들었나요?
- 일부 신하들은 왜 한글 반대 상소를 올렸나요?
- 한글을 반포할 때 도움을 준 신하는 누구인가요?
- 둘째 마당. 15세기 훈민정음 이야기
- '훈민정음', '언문', '한글' 등의 용어는 어떻게 쓰였나요?
- 훈민정음 28자를 만든 원리는 무엇인가요?
- 한글 (훈민정음)을 왜 과학적인 글자라고 하나요?
- <훈민정음> 해례본은 무엇인가요?
- <훈민정음> 언해본은 무엇인가요?
- 셋째 마당. 현대 한글 이야기
- 한글날은 왜 10월 9일이 되었나요?
- 15세기 훈민정음 28자 가운데 없어진 글자는 무엇이면 왜 없어졌나요?
- 왜 'ㄱ, ㄷ, ㅅ'을 '기역, 디귿, 시옷'이라 부르게 되었나요?
- 현대 한글의 자모로 조합할 수 있는 글자 수는 몇 자 인가요?
- 넷째 마당. 한글 역사 이야기
- 세종대왕 이후의 임금들은 훈민정음을 어떻게 사용하였나요?
- 조선 시대에도 띄어쓰기와 맞춤법이 있었나요?
- 일제 강점기에 우리 말글을 어떻게 지켰나요?
- 광복 후에 우리 말글은 어떻게 발전했나요?
- 다섯째 마당. 세계 속의 한글 이야기
- '세종대왕상'은 어떤 상인가요?
- '세종학당'은 무엇인가요?
함께 보면 좋은 글
한글 단축키 - 표/셀 단축키 1
한글 단축키 - 표/셀 단축키 2
한글2010 단축키 - Ctrl + 화살표, Shift
한글 2010 단축키 - Home, End
한글 2010 수식 글자 크기 바꾸기
한글 2010에서 대문자, 소문자 바꾸는 방법
한글 2010에서 대문자, 소문자 바꾸는 방법
한글 2010은 사용하는기 정말 편리한 워드프로세서에요. 문제로 지적됐던 파일 포맷도 조금은 해결되었어요. doc, docx 등의 문서를 불러올 수도 있고, 저장할 수도 있고요. 또 부족하긴 하지만 다른 워드프로세서에서 hwp를 편집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하면서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지요.
다만 한국에서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되어 있어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데는 조금 불편한 점이 있어요. 특히 영어의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별하는 능력은 조금 떨어지는 듯 합니다. MS OFFICE의 Word에는 입력을 하면서 바로 문장 첫 글자를 대문자로 바꾸주는 기능이 있는데, 한글에는 그런 기능이 없어요. 입력을 다 한 후에 따로 바꿔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한글 2010에서 영어 대문자와 소문자를 바꿔주는 기능을 소개합니다.
한글 2010에서 대문자, 소문자 바꾸기
참고로 이 기능은 영어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요. 독일어나 다른 외국어는 사용할 수 없는 기능입니다.
한글 2010에서 영어 문자를 입력할 때, 대문자와 소문자를 일력하려면 Shif를 눌러야 해서 여간 불편한게 아니죠? 오타도 많이 생긱고 귀찮기도 하고요. 이때는 그냥 소문자로 문자를 죽 입력하고 나중에 한꺼번에 바꿀 수 있어요.
입력한 문장을 선택하고 편집 - 글자 바꾸기 - 대문자/소문자 바꾸기를 선택하세요.
열리는 창에서 원하는 방식을 선택하세요.
모두 대문자로: 선택된 문자를 모두 대문자로
모두 소문자로: 선택된 문자를 모두 소문자로
대소문자 서로 바꿈: 대문자로 쓰여진 문자는 소문자로, 소문자로 쓰여진 문자는 대문자로
단어 첫 글자만 대문자로: 영문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바꾸고, 다른 글자는 소문자로
문장 첫 글자를 대문자로: 문장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바꾸고, 다른 문자는 그대로
문장 첫 글자만 대문자로: 문장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바꾸고, 다른 문자는 소문자로
마지막에 있는 두 개는 조금 구별할 필요가 있는데요. "문장 첫 글자를 대문자로"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바꾸긴 하지만 문장 중간에 있는 다른 대문자는 그대로 두고요. "문장 첫 글자만 대문자로"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바꾸면서 문장 중간에 있는 대문자는 소문자로 바꿉니다. 예를 들어 문장 중간에 이름이나 고유명사 같은 대문자가 있다면 이 설정을 사용하면 안되겠죠.
아래는 문장 첫 글자만 대문자로와 단어 첫 글자만 대문자로, 모두 대문자로를 실행한 모습이에요.
정말 단순한 기능이긴 한데, 영어로 된 문서를 편집하다보면 꼭 필요한 기능이에요. 앞으로는 MS OFFICE의 Word처럼 자동으로 바뀌는 기능이 생겼으면 좋겠네요.
함께 보면 좋은 글
한글 2010 수식 글자 크기 바꾸기
한글 단축키 - 표/셀 단축키 1
한글 단축키 - 표/셀 단축키 2
한글2010 단축키 - Ctrl + 화살표, Shift
한글 2010 단축키 - Home, End
한글2010 단축키 - 찾기와 찾아바꾸기
한글과 컴퓨터 무료 문서 서식
한글 2010 수식 글자 크기 바꾸기
수학블로그답게 블로그에 수식을 올리느라고 고생을 좀 하고 있지요. 보통 수식은 입력도구에서 마우스로 선택해서 입력하는데, 이보다는 마치 HTML 코드를 입력하듯이 Tex라는 문법을 직접 입력하는 게 더 빠르지요.
한글과 컴퓨터의 한글에서도 수식을 이용하려면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칩니다. 그런데 입력한 수식의 글자 크기, 글꼴, 글자색 등을 수정하고 싶을 때는 진짜 미쳐버릴 것 같아요. 한두 개 수정하는 게 아니라 많은 수의 수식을 수정하려면 말이죠.
하지만 아주 다행스럽게도 수식의 글자 크기와 글자색을 아주 쉽게 바꿀 수 있는 기능이 있어서 소개합니다.
한글 2010 수식 글자 크기 바꾸기
한글 문서에서 글자 크기를 바꿀 때 Ctrl + A를 눌러 모든 글자를 선택하고 글자 크기를 한 번에 바꿀 수 있죠. 하지만 이때 수식의 글자 크기는 바꿀 수가 없어요. 직접 선택해서 하나씩 바꿔줘야 합니다.
수식의 글자 크기를 바꿀 때는 수식 편집기에서 글자의 크기를 바꿔야 하죠.
그런데 글자 크기를 바꿀 수식의 개수가 많다면 일일이 하나씩 열어서 바꿀 수가 없잖아요. 이때 글자 크기를 한 번에 바꿀 방법이 있어요.
방법은 의외로 쉽습니다. 한꺼번에 바꿀 수 있는 기능이 있으니까요. 글상자에도 없는 기능인데 수식에는 있어요.
아무 수식이나 하나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세요. "개체 속성"을 선택하시고요.
수식 속성 창이 열리면 "수식"탭을 선택하세요. 여기서 원하는 글자 크기를 고르고, 적용 범위에서 "문서 전체"를 선택하면 됩니다. 그 다음 설정 버튼을 눌러주면 돼요.
글자 크기와 글자 색을 바꿀 수 있어요.
수식은 글꼴, 줄간격 등을 바꿀 수 없는데, 앞으로는 이런 기능도 추가되었으면 좋겠네요.
함께 보면 좋은 글
한글과 컴퓨터 무료 문서 서식
한글2010 단축키 - 찾기와 찾아바꾸기
한글 단축키 - 표/셀 단축키 1
한글 단축키 - 표/셀 단축키 2
한글2010 단축키 - Ctrl + 화살표, Shift
한글 2010 단축키 - Home, End
한글 2010 단축키 - Home, End
한글 2010 단축키 시리즈 다섯번째입니다.
이 글에서 소개할 내용은 커서 이동과 단어, 문장 선택에 관한 단축키로 Home, End 키를 이용한 단축키들이에요. Home, End 단축키는 상당히 유용하긴 한데, 사용하시는 분이 별로 없는 것 같아요.
사실 한글의 단축키이지만 왠만한 편집기나 인터넷에 글을 쓸 때도 쓸 수 있는 단축키들입니다. 편집기들의 단축키는 다 거기서 거기거든요.
잘 익혀둔 Home, End 단축키 하나면 열 화살표 부럽지 않은 기능을 가지고 있으니 잘 활용해보세요.
한글 2010 단축키 - Home, End
커서 이동
Home, End 키는 이름처럼 커서를 문장의 처음과 끝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요.
아래 그림에서 "루트" 앞에 커서를 두고, Home 키를 누르면 빨간색으로 표시된 "어떤" 앞으로 커서가 이동하고, End 키를 누르면 파란색으로 표시된 "해" 다음으로 커서가 이동해요.
Home, End 키와 Alt 키를 함께 사용하면 문장의 처음과 끝이 아니라 문단의 처음과 끝으로 커서가 이동합니다. Alt + Home키는 문단의 처음으로, Alt + End 키는 문단의 제일 끝으로 가죠.
아래 그림에서는 "루트" 앞의 커서가 있을 때 Alt + Home을 누르면 문단의 제일 처음인 "어떤" 앞의 빨간색 위치로 커서가 옮겨지고, Alt + End 키를 누르면 문단의 제일 끝인 "합니다." 뒤의 파란색 위치로 커서가 옮겨져요.
Ctrl + Home, Ctrl + End 키는 화면에 보이는 내용의 처음과 끝으로 커서를 옮깁니다.
한글2010 단축키 - Ctrl + 화살표, Shift에서 했던 내용과 합쳐보면 커서 이동에 대한 단축키를 정리할 수 있어요.
화살표: 한 글자씩 이동
Ctrl + 화살표: 한 단어씩 이동
Home, End: 문장의 처음과 끝으로 이동
Alt + Home, Alt + End: 문단의 처음과 끝으로 이동
Ctrl + Home, Ctrl + End: 화면의 처음과 끝으로 이동
문장 선택
Shift와 방향키를 함께 누르면 글자와 단어가 선택되죠. 마찬가지로 Shift 키와 Home, End 키를 누르면 단어와 문장이 선택됩니다.
아래 그림에서 보듯이 "루트" 앞에 커서를 놓고 Shift + Home 키를 누르면 커서에서 부터 문장의 처음까지가 선택되죠. 만약에 "루트" 앞에 커서를 놓고 Shift + End 키를 눌렀다면 "루트 ~ 해" 까지가 선택되고요.
참고로 커서부터 문단의 처음 또는 커서부터 문단의 끝을 선택하는 단축키는 Ctrl + Shift + ↑, Ctrl + Shift + ↓입니다. 단축키의 통일성을 위해서는 Alt + Shift + Home, Alt + Shift + End가 되어야 할 것 같은데요. 이 단축키는 문단나누기 단축키로 지정되어 있네요.
역시 한글2010 단축키 - Ctrl + 화살표, Shift에 나왔던 단축키들과 함께 정리해보면 단어, 문장 선택 단축키는 아래처럼 정리할 수 있겠네요.
Shift + 화살표: 한 글자씩 선택 or 한 줄씩 선택
Shift + Ctrl + ←, Shift + Ctrl + →: 한 단어씩 선택
Shift + Home, Shift + End: 커서부터 문장의 처음 or 커서 부터 문장의 끝 선택
Ctrl + Shift + ↑, Ctrl + Shift + ↓: 커서부터 문단의 처음 or 커서부터 문단의 끝 선택
함께 보면 좋은 글
한글2010 단축키 - 찾기와 찾아바꾸기
한글 단축키 - 표/셀 단축키 1
한글 단축키 - 표/셀 단축키 2
한글2010 단축키 - Ctrl + 화살표, Shift
한글 단축키 - 표/셀 단축키 2
한글2010 단축키 - 표/셀 단축키 1에 이어 두 번째입니다. 첫 번째 글에서는 셀을 선택하는 단축키들을 정리해봤는데요. 이 글에서는 셀의 크기를 바꾸는 한글 단축키를 모아봤어요.
셀의 크기를 바꿀 때 마우스를 이용할 수도 있겠지만 선을 잡고 드래그하는 건 귀찮기도 하거니와 마우스로 못하는 작업도 단축키로 할 수 있어요.
아래에 정리한 한글 단축키는 그리 어려운 것도 아니고, 쉽게 찾을 수 있으니 하나씩 외워보세요.
한글 단축키 - 표/셀 단축키
하나의 셀 크기를 늘리거나 줄이려면 셀을 선택하고 Shift + 화살표를 누르면 됩니다. 이 때 셀의 크기가 커지면 옆 셀의 크기가 작아지고, 셀의 크기가 줄어들면 옆 셀의 크기가 커집니다.
하나의 셀이 아니라 같은 줄 또는 같은 칸에 있는 셀의 크기를 한꺼번에 늘리거나 줄이려면 셀을 선택하고 Ctrl + 화살표를 누르면 됩니다. 이 때 옆에 있는 셀의 크기는 바뀌지 않아요.
셀 너비를 같게: 여러 셀의 가로 길이를 똑같이 만들고 싶을 때는 두 개 이상의 셀을 선택하고 W를 누르세요. F5 + F8 + W (W = Width). 모든 셀의 가로 길이를 똑같이 만들려면 F5를 세 번 누르고 W를 누르면 되겠지요?
셀 높이를 같게: 여러 셀의 높이를 똑같이 만들고 싶을 때는 두 개 이상의 셀을 선택하고 H를 누르세요. F5 + F7 + H (H = Height). 모든 셀의 세로로 길이를 똑같이 만들려면 F5를 세 번 누르고 H를 누르면 돼요.
셀 합치기: 셀을 합칠 때는 두 개 이상의 셀을 선택하고 M을 누릅니다. F5 + 화살표 + M (M = Merge)
셀 나누기: 셀을 나눌 때는 셀을 선택하고 S를 누르면 돼요. F5 + S (S = Split)
위에서 소개한 단축키들은 셀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나오는 메뉴에 다 써져있어요. 혹시 잊어버렸더라도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새로운 줄 추가: 새로 줄을 만들고 싶을 때, 10, 11, 12번 셀을 선택하고 S를 눌러서 줄을 나눌 수도 있어요. 하지만 더 간단히 새 줄을 만드는 방법은 TAB을 누르는 거예요. 표의 제일 마지막 칸에 커서를 두고 TAB을 누르면 그 아래 새로운 줄이 추가됩니다.
이 외에도 셀을 선택하고 C를 누르면 표/셀 배경색을 선택할 수 있고, L을 누르면 테두리 선을 설정할 수 있어요.
이제까지 나온 단축키를 응용해볼까요? 표의 전체 크기를 크게 해보죠.
- F5 한 번 → 셀 하나를 선택
- Ctrl + 좌우 화살표 → 크기를 늘림
- F5 세 번 → 표 전체 선택
- H, W → 전체 셀의 크기를 똑같이
익숙해지면 마우스를 이용하는 것보다 더 빠르게 편집할 수 있겠죠? 단축키에 익숙해져 보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한글2010 단축키 - 찾기와 찾아바꾸기
한글2010 단축키 - 표/셀 단축키 1
한글과 컴퓨터 무료 문서 서식
한글 단축키 - 표/셀 단축키 1
한컴오피스의 한글은 인터넷 익스플로어를 빼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 중 하나일 거예요. 거의 모든 문서 작업을 한글로 하니까요.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할 때는 단축키를 씀으로서 문서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죠.
글자 키우고 문단 정리하는 거야 도구상자가 바로 보이니까 클릭하면 되는데, 표는 메뉴가 보였다 안보였다 하잖아요. 그래서 한글 단축키 중 표에서 셀을 선택할 때 사용하는 단축키를 모아봤습니다.
한글 단축키 - 표/셀 단축키
표에서 셀을 선택할 때는 보통 마우스클릭과 드래그를 이용하는데요, 이 때 실수로 선을 클릭해서 표의 크기가 바뀌는 경우가 종종있죠. 따라서 편집 속도 면에서나 실수를 줄이는 측면에서도 단축키를 이용하는 게 좋겠지요?
먼저 셀은 한 칸만 선택할 때는 커서를 놓고 F5를 한 번만 누르세요. 가운데 회색의 동그라미가 표시됩니다.
여러 셀을 선택할 때는 F5를 두 번 눌러야 합니다. 이건 준비단계라고 할 수 있죠. 가운데 동그라미가 빨간색으로 바뀝니다.
F5를 두 번 눌러서 동그라미가 빨간색으로 바뀌면 좌우/위아래 화살표를 눌러서 셀을 선택할 수 있어요.
여러 셀을 선택할 때 F5를 눌러서 한 셀을 선택하고 F7을 누르면 같은 칸에 있는 모든 셀이 한 꺼번에 선택되고, F8을 누르면 같은 줄에 있는 모든 셀이 한 꺼번에 선택돼요.
F5를 세 번 누르면 표 전체가 선택돼요.
글자 크기를 키운다거나 셀의 크기를 바꿀 때 셀을 선택하는데, 마우스 드래그로 셀을 선택하는 것보다 단축키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빠르고 편해요.
한글의 단축키는 어렵지 않으니 외워두면 훨씬 더 빨리 문서를 만들 수 있어요.
한글2010 단축키 - 표/셀 단축키 2에서는 셀의 크기를 바꾸는 단축키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한글2010 단축키 - 찾기와 찾아바꾸기
한글2010 단축키 - 표/셀 단축키 2
한글과 컴퓨터 무료 문서 서식
한글2010 단축키 - 찾기와 찾아바꾸기
국산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대표 프로그램하면 생각나는 건 한컴 오피스와 v3 정도가 되겠죠? 한컴 오피스의 한글은 MS에서도 탐내는 워드프로세서잖아요.
이 워드프로세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축키를 소개합니다.
특히 이 글에서 소개하는 단축키는 한글 2010 뿐 아니라 다른 워드프로세서와 편집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준(?) 단축키이므로 외워두시면 두고두고 활용할 곳이 많을 거예요.
한글 단축키
찾기
찾기는 이름 그대로 어떤 단어나 문장을 찾는 거예요. 편집 - 찾기 - 찾기 또는 단축키 Ctrl + F죠.
여러 옵션이 있으니 찾는 단어에 맞게 설정을 바꾸고 찾으면 돼요.
다음 찾기를 하면 단어를 하나씩 찾는데, 모두 찾기를 하면 해당 단어를 전부 찾아서 색으로 표시해줘요. 아래 그림에서는 절대값이라는 단어를 모두 찾기한 결과를 볼 수 있어요.
모두 찾기를 하면 찾을 단어에 색깔이 입혀져서 찾기가 더 쉬워지죠?
바꾸기를 선택하면 "찾아 바꾸기"로 기능이 바뀝니다.
찾아 바꾸기
찾아 바꾸기는 의외로 모르는 분들이 많이 계시더라고요.
어떤 단어나 문장을 찾아서 새로운 내용으로 한 번에 바꾸는 기능이에요. 오타를 고치거나 업데이트되는 내용이 있다면 찾아 바꾸기를 사용하세요.
편집 - 찾기 - 찾아바꾸기 또는 단축키 Ctrl + H 에요.
본문에 있는 모든 "절대값"이라는 단어를 "절댓값"으로 바꾸는 모습이에요.
찾아 바꾸기에서 제일 아래 "조사 자동 교정"은 참 재미있는 기능이지요.
예를 들어 "사과를 먹었다"라는 문장에서 사과를 수박으로 바꾸면 "수박를 먹었다"가 되겠죠? 수박를은 문법에 맞지 않아요. 이 때 "조사 자동 교정" 기능을 사용하면 사과를 수박으로 바꿀 때 조사 을도 를로 자동으로 바꿔요.
찾기의 단축키 Ctrl + F와 바꾸기의 단축키 Ctrl + H는 거의 모든 대부분의 편집기와 뷰어에서 공통으로 쓰는 단축키에요. MS Word, Adobe reader, 메모장은 물론이고 Internet Explorer같은 브라우저에서도 똑같아요.
사실 한글 2010에서 찾아 바꾸기의 단축키는 Ctrl + F2라고 나오는데, 다른 편집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Ctrl + H로 외워두는 게 더 좋겠죠?
한글과 컴퓨터 무료 문서 서식
전에는 문서 양식이라고 하면 그 전부터 써오던 것 중에서 비슷한 문서의 날짜, 글자만 바꿔서 계속 사용했었는데, 종류마다 서로 다른 문서 양식이 있지요.
이런 양식들을 알고 있기도 어렵고 직접 만들기는 더 어렵죠. 이럴 때 보통은 문서 양식 사이트를 통해서 자료를 구하고는 하는데, 무료로 구할 수 있는 곳이 있어요.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의 대표주자 아래아 한글에서 배포하는 무료 문서 서식이에요. 예스폼과 연계해서 유료 문서 양식도 팔지만 무료로도 제공합니다.
한글과 컴퓨터 무료 문서 서식
한글과 컴퓨터에서 무료 문서 서식을 배포하는데, 이건 한글 오피스의 문서마당에는 없는 문서 서식들 이에요.
참고로 무료 서식은 정품 등록한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어요.
한글 무료 문서 서식에 바로 접속하거나 한글과 컴퓨터 홈페이지의 메뉴 - 문서 서식 센터 - 무료 문서 서식으로 접속하세요.
네이버의 한글 문서 서식은 정리가 잘 되어있고, 자주 사용하는 양식들이 다양한 형태로 제공하고 있죠.
그에 비해 한글 무료 문서 서식은 미리보기가 없어서 조금 아쉽긴 하지만 네이버에는 없는 더 다양한 종류의 문서들이 있어요. 이런 양식도 있나하는 좀 특이한 양식들이요. 그리고 다이어그램은 꽤 유용하지요.
전부다 한글과 컴퓨터의 제품들 그러니까 한글, 한셀, 한쇼에서만 사용할 수 있지만 MS OFFICE에서 변환과정을 거치면 바로 사용할 수 있고, 변환기가 없다하더라도 한글과 컴퓨터의 제품에서 ppt, doc 형식으로 저장해서 사용할 수도 있어요.
정해진 양식에 맞게 문서를 작성하는 것도 능력이니까 이런 사이트들을 잘 알아놨다가 필요한 문서가 있을 때 다운받아서 사용하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저작권 만료된 소설 epub 다운로드하기
전자책 무료 다운로드 - 직지 프로젝트 epub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