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2010
-
한글2010 단축키 - Ctrl + 화살표, Shift2013.08.03
한글 2010에서 대문자, 소문자 바꾸는 방법
한글 2010은 사용하는기 정말 편리한 워드프로세서에요. 문제로 지적됐던 파일 포맷도 조금은 해결되었어요. doc, docx 등의 문서를 불러올 수도 있고, 저장할 수도 있고요. 또 부족하긴 하지만 다른 워드프로세서에서 hwp를 편집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하면서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지요.
다만 한국에서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되어 있어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데는 조금 불편한 점이 있어요. 특히 영어의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별하는 능력은 조금 떨어지는 듯 합니다. MS OFFICE의 Word에는 입력을 하면서 바로 문장 첫 글자를 대문자로 바꾸주는 기능이 있는데, 한글에는 그런 기능이 없어요. 입력을 다 한 후에 따로 바꿔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한글 2010에서 영어 대문자와 소문자를 바꿔주는 기능을 소개합니다.
한글 2010에서 대문자, 소문자 바꾸기
참고로 이 기능은 영어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요. 독일어나 다른 외국어는 사용할 수 없는 기능입니다.
한글 2010에서 영어 문자를 입력할 때, 대문자와 소문자를 일력하려면 Shif를 눌러야 해서 여간 불편한게 아니죠? 오타도 많이 생긱고 귀찮기도 하고요. 이때는 그냥 소문자로 문자를 죽 입력하고 나중에 한꺼번에 바꿀 수 있어요.
입력한 문장을 선택하고 편집 - 글자 바꾸기 - 대문자/소문자 바꾸기를 선택하세요.
열리는 창에서 원하는 방식을 선택하세요.
모두 대문자로: 선택된 문자를 모두 대문자로
모두 소문자로: 선택된 문자를 모두 소문자로
대소문자 서로 바꿈: 대문자로 쓰여진 문자는 소문자로, 소문자로 쓰여진 문자는 대문자로
단어 첫 글자만 대문자로: 영문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바꾸고, 다른 글자는 소문자로
문장 첫 글자를 대문자로: 문장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바꾸고, 다른 문자는 그대로
문장 첫 글자만 대문자로: 문장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바꾸고, 다른 문자는 소문자로
마지막에 있는 두 개는 조금 구별할 필요가 있는데요. "문장 첫 글자를 대문자로"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바꾸긴 하지만 문장 중간에 있는 다른 대문자는 그대로 두고요. "문장 첫 글자만 대문자로"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바꾸면서 문장 중간에 있는 대문자는 소문자로 바꿉니다. 예를 들어 문장 중간에 이름이나 고유명사 같은 대문자가 있다면 이 설정을 사용하면 안되겠죠.
아래는 문장 첫 글자만 대문자로와 단어 첫 글자만 대문자로, 모두 대문자로를 실행한 모습이에요.
정말 단순한 기능이긴 한데, 영어로 된 문서를 편집하다보면 꼭 필요한 기능이에요. 앞으로는 MS OFFICE의 Word처럼 자동으로 바뀌는 기능이 생겼으면 좋겠네요.
함께 보면 좋은 글
한글 2010 수식 글자 크기 바꾸기
한글 단축키 - 표/셀 단축키 1
한글 단축키 - 표/셀 단축키 2
한글2010 단축키 - Ctrl + 화살표, Shift
한글 2010 단축키 - Home, End
한글2010 단축키 - 찾기와 찾아바꾸기
한글과 컴퓨터 무료 문서 서식
한글 2010 수식 글자 크기 바꾸기
수학블로그답게 블로그에 수식을 올리느라고 고생을 좀 하고 있지요. 보통 수식은 입력도구에서 마우스로 선택해서 입력하는데, 이보다는 마치 HTML 코드를 입력하듯이 Tex라는 문법을 직접 입력하는 게 더 빠르지요.
한글과 컴퓨터의 한글에서도 수식을 이용하려면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칩니다. 그런데 입력한 수식의 글자 크기, 글꼴, 글자색 등을 수정하고 싶을 때는 진짜 미쳐버릴 것 같아요. 한두 개 수정하는 게 아니라 많은 수의 수식을 수정하려면 말이죠.
하지만 아주 다행스럽게도 수식의 글자 크기와 글자색을 아주 쉽게 바꿀 수 있는 기능이 있어서 소개합니다.
한글 2010 수식 글자 크기 바꾸기
한글 문서에서 글자 크기를 바꿀 때 Ctrl + A를 눌러 모든 글자를 선택하고 글자 크기를 한 번에 바꿀 수 있죠. 하지만 이때 수식의 글자 크기는 바꿀 수가 없어요. 직접 선택해서 하나씩 바꿔줘야 합니다.
수식의 글자 크기를 바꿀 때는 수식 편집기에서 글자의 크기를 바꿔야 하죠.
그런데 글자 크기를 바꿀 수식의 개수가 많다면 일일이 하나씩 열어서 바꿀 수가 없잖아요. 이때 글자 크기를 한 번에 바꿀 방법이 있어요.
방법은 의외로 쉽습니다. 한꺼번에 바꿀 수 있는 기능이 있으니까요. 글상자에도 없는 기능인데 수식에는 있어요.
아무 수식이나 하나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세요. "개체 속성"을 선택하시고요.
수식 속성 창이 열리면 "수식"탭을 선택하세요. 여기서 원하는 글자 크기를 고르고, 적용 범위에서 "문서 전체"를 선택하면 됩니다. 그 다음 설정 버튼을 눌러주면 돼요.
글자 크기와 글자 색을 바꿀 수 있어요.
수식은 글꼴, 줄간격 등을 바꿀 수 없는데, 앞으로는 이런 기능도 추가되었으면 좋겠네요.
함께 보면 좋은 글
한글과 컴퓨터 무료 문서 서식
한글2010 단축키 - 찾기와 찾아바꾸기
한글 단축키 - 표/셀 단축키 1
한글 단축키 - 표/셀 단축키 2
한글2010 단축키 - Ctrl + 화살표, Shift
한글 2010 단축키 - Home, End
한글2010 단축키 - Ctrl + 화살표, Shift
한글 2010 단축키 4번째입니다.
한글과 컴퓨터의 한글 오피스는 굉장히 편리한 문서 편집도구입니다. hwp라는 독점(?) 확장자 때문에 불만이 있긴 하지만 그 기능과 편리함은 MS의 Word가 따라올 수가 없죠.
이번에는 Ctrl 키와 화살표(→, ←, ↑, ↓)를 이용한 다양한 단축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화살표로 커서 이동만 잘해도 문서 편집이 30% 이상은 빨라지지 않을까 싶어요. 이 커서의 움직임에 날개를 달아주는 게 바로 Ctrl 키에요. 둘의 조합에는 어떤 게 있는지 알아보죠.
한글2010 단축키 - Ctrl + 화살표
커서 이동
보통 커서를 이동시킬 때는 화살표를 그냥 눌러서 이동시키죠? 하지만 Ctrl 키와 함께 화살표를 누르면 더 빨리 이동할 수 있어요. 그냥 화살표는 글자 단위로 이동하지만 Ctrl + 화살표를 누르면 단어 단위로 이동해요.
아래 그림에서 "어떤" 앞에 커서가 있다고 할 때 Ctrl + → 를 한 번 누르면 "수의" 앞에 있는 빨간색 위치로 커서가 이동해요. 이 상태에서 Ctrl + → 를 한 번 더 누르면 "제곱근을" 앞에 있는 파란색 위치로 커서가 이동하고요.
아래에서 "수의" 앞에 커서를 두고 Ctrl + ← 를 한 번 누르면 "어떤" 앞에 있는 빨간색 위치로 커서가 이동하죠.
그냥 ↑, ↓를 누르면 위, 아랫줄로 이동할 수 있어요. 그런데 Ctrl + ↑, ↓는 문단 단위로 커서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에서 "어떤" 앞에 커서가 있을 때 Ctrl + ↓를 누르면 다음 문단인 빈 줄의 빨간색 위치로 커서가 이동합니다. 이 상태에서 한 번 더 누른다면 다음 문단인 "부호" 앞에 커서가 이동합니다. 윗 문단으로 이동하고 싶다면 Ctrl + ↑을 누르면 되겠죠?
단어 삭제
마찬가지로 Ctrl 을 이용하면 단어 단위로 이동을 하기때문에 단어를 한 번에 삭제할 수도 있어요.
Ctrl + Backspace를 누르면 커서 앞의 단어가 삭제됩니다. 그리고 Ctrl + Delete를 누르면 커서 뒤의 단어가 바로 삭제돼요. 굳이 커서를 이용해서 단어를 선택할 필요없이 바로 삭제되니까 정말 편리하죠.
단어 선택
이번에는 Shift와 함께 활용하는 방법인데요. Shift + 화살표는 글자를 하나씩 선택할 수 있어요. 그런데 Ctrl + Shift + 화살표를 누르면 좀 더 쉬운 방법으로 단어나 문장을 선택할 수 있어요.
아래 그림에서 "어떤" 앞에 커서를 두고 Ctrl + Shitf + → 를 누르면 "어떤 "이라는 단어가 선택이 됩니다.
이번에는 "9의" 앞에 커서를 두고 Ctrl + Shift + ↓ 를 눌렀더니 커서 뒤에 있는 문단의 모든 내용이 선택되었지요?
"9의" 앞에 커서를 두고 Ctrl + Shift + ↑을 눌렀다면 "어떤" ~ "요. "까지가 선택되었을 겁니다.
Ctrl 키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키에요. 기능을 잘 익혀두면 워드프로세서 작업이 훨씬 더 빠르고 간편해 질 겁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한글2010 단축키 - 찾기와 찾아바꾸기
한글2010 단축키 - 표/셀 단축키 1
한글2010 단축키 - 표/셀 단축키 2
한글2010 단축키 - 찾기와 찾아바꾸기
국산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대표 프로그램하면 생각나는 건 한컴 오피스와 v3 정도가 되겠죠? 한컴 오피스의 한글은 MS에서도 탐내는 워드프로세서잖아요.
이 워드프로세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축키를 소개합니다.
특히 이 글에서 소개하는 단축키는 한글 2010 뿐 아니라 다른 워드프로세서와 편집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준(?) 단축키이므로 외워두시면 두고두고 활용할 곳이 많을 거예요.
한글 단축키
찾기
찾기는 이름 그대로 어떤 단어나 문장을 찾는 거예요. 편집 - 찾기 - 찾기 또는 단축키 Ctrl + F죠.
여러 옵션이 있으니 찾는 단어에 맞게 설정을 바꾸고 찾으면 돼요.
다음 찾기를 하면 단어를 하나씩 찾는데, 모두 찾기를 하면 해당 단어를 전부 찾아서 색으로 표시해줘요. 아래 그림에서는 절대값이라는 단어를 모두 찾기한 결과를 볼 수 있어요.
모두 찾기를 하면 찾을 단어에 색깔이 입혀져서 찾기가 더 쉬워지죠?
바꾸기를 선택하면 "찾아 바꾸기"로 기능이 바뀝니다.
찾아 바꾸기
찾아 바꾸기는 의외로 모르는 분들이 많이 계시더라고요.
어떤 단어나 문장을 찾아서 새로운 내용으로 한 번에 바꾸는 기능이에요. 오타를 고치거나 업데이트되는 내용이 있다면 찾아 바꾸기를 사용하세요.
편집 - 찾기 - 찾아바꾸기 또는 단축키 Ctrl + H 에요.
본문에 있는 모든 "절대값"이라는 단어를 "절댓값"으로 바꾸는 모습이에요.
찾아 바꾸기에서 제일 아래 "조사 자동 교정"은 참 재미있는 기능이지요.
예를 들어 "사과를 먹었다"라는 문장에서 사과를 수박으로 바꾸면 "수박를 먹었다"가 되겠죠? 수박를은 문법에 맞지 않아요. 이 때 "조사 자동 교정" 기능을 사용하면 사과를 수박으로 바꿀 때 조사 을도 를로 자동으로 바꿔요.
찾기의 단축키 Ctrl + F와 바꾸기의 단축키 Ctrl + H는 거의 모든 대부분의 편집기와 뷰어에서 공통으로 쓰는 단축키에요. MS Word, Adobe reader, 메모장은 물론이고 Internet Explorer같은 브라우저에서도 똑같아요.
사실 한글 2010에서 찾아 바꾸기의 단축키는 Ctrl + F2라고 나오는데, 다른 편집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Ctrl + H로 외워두는 게 더 좋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