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오픈캐스트

네이버 오픈캐스트를 발행하면서 가장 답답했던 건 통계가 매우 빈약하다는 거였어요. 단순히 당일 하루와 전체의 방문자, 구독자 수만 알려줬으니 통계 서비스가 사실상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죠.

그런 네이버 오픈캐스트에 통계 서비스가 추가되었습니다. 물론 아주 자세한 내용까지 확인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기초적인 내용 정도는 확인할 수 있어요.

오픈캐스트 발행하시는 분들은 꼭 확인해보세요.

네이버 오픈캐스트 통계보기

네이버 오픈캐스트에 통계 서비스가 추가되었습니다.

네이버 오픈캐스트 통계페이지 출시

이전에는 그냥 단순히 총 구독자와 총 방문자 수를 보여주기만 했는데, 이제는 날짜, 성별, 연령별 통계를 제공합니다. 다만 아직 아주 초반이라 통계 자료를 다 모으지 못한 것 같아요. 또 PC로 접속한 경우에만 통계에 포함됩니다.

운영중인 오픈캐스트 페이지에 가면 오픈캐스트 이름 옆에 "통계보기" 버튼이 생길 걸 볼 수 있어요.

네이버 오픈캐스트 통계- 통계 보기 버튼

 

 날짜별 통계입니다. 구독자 수, 방문자 수, 해지 수를 색이 다른 막대그래프를 이용해서 보여주네요.

네이버 오픈캐스트 통계- 구독자, 방문자, 해지

 

 그 아래는 성별/연령별 분포입니다.

네이버 오픈캐스트 통계- 성별/연령별 분포

여자 방문객이 남자의 3배나 되네요. 중등수학이라는 오픈캐스트를 발행하고 있어서 방문객 대부분이 중학생이 포함된 10대여야 하는데, 다른 연령대에 비해 크게 많지는 않아요. 부모님의 아이디를 사용하는 것일 수도 있겠네요.

성별이나 연령을 알아내기위해서 로그인한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할 듯 싶은데요. 로그인 하지않고 네이버 메인을 통해서 유입된 경우에는 어떻게 통계에 나타나는 지 모르겠어요.

다음은 연령대별 성별 분포입니다. 5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에서 여성의 비율이 높네요. 

네이버 오픈캐스트 통계- 연령대별 성별 분포

 

인기캐스트는 가장 조회가 많이 된 캐스트의 목록인데, 목록만 보여주고 몇 명이 조회했는 지는 나오지 않는군요.

 

사실 이런 서비스에는 통계가 꼭 필요했었는데 이제서야 구색이 갖춰졌네요. 네이버 소프트웨어도 오픈하는 등 네이버의 서비스가 전반적으로 나아지려나 봐요.

함께 보면 좋은 글

네이버 오픈캐스트 구독, 오픈캐스트 사용방법
네이버 오픈캐스트와 애드센스 수익의 관계
네이버 오픈캐스트와 블로그 방문자
블로그 재방문자 비율을 높여야하는 이유

그리드형

네이버 오픈캐스트를 발행하고 나서 방문자의 유입이 늘었고, 블로그 수익도 늘었습니다. 물론 오픈캐스트때문에 늘어난 것보다 운영기간도 길어지고, 글 수도 늘어나면서 생기는 게 훨씬 더 많지만요.

이번에는 오픈캐스트를 통해서 들어오는 방문자의 특성과 검색을 통해서 들어오는 방문자의 특성을 비교해보려고 합니다. 블로그 운영에 있어서 방문자의 성향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니까요.

비교적 짧은 시간의 경향이지만 잘 분석하고 이해한다면 블로그 운영을 조금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네이버 오픈캐스트와 블로그 방문자

제가 발행하는 수학방의 중등수학이라는 오픈캐스트가 몇차례 네이버 메인에 오르면서 유입수가 증가하였고, 이를 통해서 오픈캐스트 구독자도 증가하였습니다. 이렇게 늘어나는 유입과 수익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볼 필요가 있겠더라고요. 그래서 네이버 오픈캐스트와 애드센스 수익의 관계에 이어서 오픈캐스트를 통한 방문자의 특성을 분석해보았습니다.

구글 웹로그로 본 지난 한 달간의 방문자 분석입니다.

검색은 네이버나 다음에서 검색을 해서 유입되는 경우, 네이버 메인은 네이버 홈에 오른 오픈캐스트를 통해서 유입되는 경우, 오픈캐스트 구독은 네이버 메인과 상관없이 오픈캐스트페이지를 통해서 유입된 경우, 직접은 즐겨찾기를 통해서 유입되는 경우입니다.

검색 네이버 메인 오픈캐스트 구독 직접
페이지뷰/방문 1.71 2.03 3.26 3.59
방문시간 1:45 1:23 2:36 6:16
이탈률 77.80% 63.74% 39.85% 49.27%
신규방문율 80.13% 92.81% 85.37% 62.94%

오픈캐스트를 통해서 들어온 경우가 검색을 통해서 들어온 경우보다 페이지뷰/방문이 높아요. 검색해서 들어오는 것보다 오픈캐스트로 들어오는 경우가 더 많은 페이지를 보고 간다는 거지요. 이탈률이 낮은 것도 이걸 증명해 줍니다.

그런데, 네이버 메인을 통해서 들어온 경우에는 방문시간이 더 짧아요. 더 많은 글을 더 짧은 시간동안 보고 나간다는 겁니다.

검색 유입은 자기가 원하는 정보를 직접 찾아서 들어오기때문에 더 오랜 시간동안 집중해서 보는 반면 해당 페이지에서 궁금증이 해결되면 바로 나가버리죠.

오픈캐스트는 한가지 주제에 대해서 발행하기때문에 해당 주제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 유입되므로 같은 주제의 다른 글에도 관심을 가지기때문에 페이지뷰가 높은 것 같네요. 대신 검색으로 유입된 경우보다는 해당 정보에 대한 관심도가 더 떨어질수밖에 없어서 자세히 보지 않고, 그냥 쑥 한 번 훑어보고 가는 것 아닌 가 추측해봅니다.

다만, 네이버 메인에 노출되서 유입된 경우와 오픈캐스트를 구독해서 유입된 경우를 따로 볼 필요가 있는데요. 네이버 메인을 통해서 들어오는 경우는 그냥 지나가다 들리는 방문자지만 오픈캐스트를 통해서 유입된 경우는 구독이라는 과정을 거치며 이는 충성도가 더 높은 방문자를 뜻하기 때문이죠.

오픈캐스트를 통해서 유입된 경우에 페이지뷰나 방문시간이 훨씬 높죠. 신규 방문자의 비율이 낮다는 건 여러 번 계속해서 방문을 한다는 뜻으로 컨텐츠를 마음에 들어한다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지요. 심지어 직접 접속한 경우보다 이탈률은 더 낮네요.

네이버 메인을 통해서 들어온 방문자는 짧은 시간에 많은 페이지를 보고, 오픈캐스트 구독자는 비교적 긴 시간동안 많은 페이지를 본다는 차이가 있어요.

검색을 통한 유입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이런 내용이 전체적인 흐름에 큰 영향을 끼질 정도는 아닐 겁니다. 하지만 검색을 통한 유입 증가는 여러 가지 꼼수를 쓸 수 있지만 직접 접속과 오픈캐스트 구독자를 늘리는 것은 꼼수가 아닌 정성이 필요한 것이고 이것이야 말로 블로그의 질을 보장하는 게 아닐까 싶네요.

함께 보면 좋은 글

네이버 오픈캐스트와 애드센스 수익의 관계
이탈률, 반송률, 종료율이란? 이탈률 낮추는 방법
애드센스 수익 향상 팁 - A/B 테스트
애드센스를 본문 상단 오른쪽에 넣기
링크로 달러벌기 - adf.ly 수익금 지급

 
그리드형

수학방은 거의 대부분이 네이버 검색으로부터 유입됩니다. 네이버가 80%, 다음이 15%이고 그 외에 직접 유입(즐겨찾기 등), 구글, 네이트 순이에요.

그래서 유입경로를 조금 다 다양화하고, 유입수도 늘릴 수 있을 것 같아 수학방의 중등수학이라는 오픈캐스트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2월 25일에 첫 발행을 했고, 3월 25일에 발행한 캐스트가 네이버 메인의 "IT/비즈/학습" 부분에 오르면서 오픈캐스트로 부터의 유입이 갑자기 많아졌죠.

오픈캐스트때문에 생긴 수익이 얼마나 있는 지 확인해봤는데, 좀 재미있는 결과가 나왔네요.

네이버 오픈캐스트와 애드센스 수익의 관계

네이버 오픈캐스트와 관련된 분석은 애드센스와의 관계와 방문자 성향 분석 두 편으로 나눠서 올립니다. 이 글은 첫번째로 네이버 오픈캐스트와 애드센스의 수익의 관계에 대해서 정리해볼께요.

구글 웹로그분석을 이용해서 지난 한 달간 추천 사이트를 통해서 얼마만큼의 애드센스 수익이 생겼는지 살펴보았습니다. 네이버메인과 오픈캐스트를 제외한 추천 유입은 거의 없어서 무시해도 될 정도에요.

전체 오픈캐스트
블로그 방문자 수 100% 9.68%
애드센스 노출수 100% 12.05%
수익 100% 18.45%
클릭수 100% 16.78%
클릭율 비공개 + 0.5%
eCPM 비공개 + $1.2

지난 한 달간의 수입 내역입니다.

전체를 100%이라고 했을 때, 오픈캐스트가 얼마나 차지하는지를 비율로 나타내 봤습니다. 클릭율과 eCPM은 공개하면 안되니까 비공개로 하고요.

오픈캐스트를 통해서 블로그를 방문한 비율은 전체 방문자수의 9.6%지만 광고 노출은 전체의 12%나 차지합니다. 오픈캐스트를 통해서 유입된 방문수에 비해서 광고 노출 수가 많다는 건 페이지뷰가 높고 이탈률이 낮아서 애드센스 광고가 상대적으로 많이 노출된다는 뜻이지요.

애드센스 광고가 많이 노출되니까 클릭할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클릭수를 보면 전체의 약 16.7%나 됩니다. 클릭율이 전체 클릭율보다 0.5% 정도 더 높게 나오고, 이에 따라 1,000명당 수익인 eCPM이 전체보다 $1.2 나 높죠.

방문객 수는 전체의 9.6%지만 수익은 전체의 18.4%나 차지할만큼 효과가 좋지요. 제가 얘기하고 싶은 게 이겁니다. 방문수 대비 수익의 비중이 높다.

정리해보면 검색엔진을 통한 유입보다 오픈캐스트를 통한 유입에서 더 많은 애드센스 수익이 생긴다는 겁니다.

물론 검색을 통해 들어오는 숫자가 절대적으로 많기때문에 오픈캐스트에만 올인하는 전략은 좋지 않습니다. 하지만, 검색으로 1,000명 들어오는 것보다 오픈캐스트로 1,000명 들어오는 게 더 많은 수익은 낸다면 굳이 검색에 목 맬 필요가 있을까요?

앞으로는 어떻게해야 오픈캐스트로 더 많은 사람을 모을 수 있을까를 연구해봐야겠네요.

함께 보면 좋은 글

네이버 오픈캐스트와 방문자의 성향
애드센스 수익 향상 팁 - A/B 테스트
애드센스 수익 계산 - 환율 적용하는 방법
애드센스를 본문 상단 오른쪽에 넣기
이탈률, 반송률, 종료율이란? 이탈률 낮추는 방법

 
그리드형

+ 최근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