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교보문고 퍼플을 이용해서 책을 낸지 한달이 넘었습니다. 종이책을 만드는 게 딴 세상 얘기는 아니라는 것도 알았고 다른 사람이 내가 만든 책을 돈을 내고 사간다는 사실에 놀라기도 합니다. 많이 팔리는 건 아니지만 사가는 사람이 있다는 사실이 신기하죠.

그런데 교보문고 퍼플의 보고서 기능은 너무 부실해요. 책 판매 부수, 금액 정도만 확인할 수 있거든요. 그나마 책을 산지 열흘 정도가 지난 뒤에야 확인할 수 있어요. 그래서 이런 보고서 기능을 보완하고자 링크프라이스와 연계하는 방법을 이용하기로 했어요.

아주 훌륭한 보고서는 아니지만 둘을 연계하면 그래도 지금보다는 훨씬 좋아진 보고서를 만들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 퍼플 정산 기능 보완하기

교보문고 퍼플의 POD는 전문 작가가 일반 아닌 개인이 종이책을 출판하기에는 가장 좋은 서비스인 건 확실합니다. 이것저것 할 것 없이 그냥 원고만 써서 제출하면 되니까요. 그런데 정산보고서가 블로거들이 사용하는 광고 매체의 보고서에 비해 기능이 너무 없어요.

특히 POD는 책을 산 날이 아니라 배송받은 다음 날 결산이 되니까 시차도 생기고요. 그나마 이 시차도 8일이면 8일, 10일이면 10일이 아니라 8 ~ 10일 사이의 시차죠. 그래서 약간 답답함이 있어서 다른 방법이 없나 찾던 중에 링크프라이스의 사용자 정의 링크를 이용하기로 했습니다.

링크프라이스의 사용자 정의 링크는 링크프라이스에 있는 머천트 중에 사이트의 메인페이지가 아닌 특정 상품 페이지로 이동하는 링크를 말해요. 다른 링크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정의 링크를 통해서 클릭하거나 상품을 사면 그 횟수와 비율을 알 수 있어요.

그러니까 자기가 만든 책의 교보문고 주소를 이용해서 사용자 정의 링크를 만들면 링크프라이스의 통계를 사용할 수 있는 거죠.

사용자정의 링크 만드는 방법은 링크프라이스 사용자정의 링크 만들기에 소개해 놓았습니다.

링크프라이스 3월 4일 보고서를 보죠. 12번의 클릭이 있었고 그중 1건의 구매가 있네요. 구매율은 8.33%고요.

링크프라이스 사용자정의 링크 보고서 1

보고서의 "T(구매건별)"를 눌러보면 조금 더 자세한 보고서를 볼 수 있어요. 판매시간과 상품 코드를 볼 수 있어요. 사용자정의 링크를 만들 때 u_id를 입력했다면 이 아이디를 통해서 어떤 상품인지 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 물론 상품코드와 교보문고의 책 판매 페이지 주소를 비교해도 어떤 책이 팔린 것인지 확인할 수도 있고요.

링크프라이스 사용자정의 링크 보고서 2

만약에 이게 없었더라면 이 판매 결과는 교보문고 퍼플 판매 정산조회 페이지에 3/12, 3/13, 3/14 셋 중 하루에 정산된 걸로 표시될 거예요.

물론 책이 언제 팔렸는지 안다는 건 아무 의미가 없을 수도 있어요. 교보문고에서 돈을 떼먹는 것도 아니고요. 하지만 제가 낸 책인 학습 교재는 학기가 시작할 때나 방학처럼 특정 시기에 판매가 집중된다는 걸 생각해보면 열흘 가까운 시차라면 그것도 일정하지 않은 시차라면 판매를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많아요.

특히 블로거라면 매일매일 광고 클릭이 어떻게 바뀌는지를 확인하는 습관이 있어서 이런 보고서는 굉장히 중요하죠.

퍼플을 이용해서 책을 판매하는 분 중에 실시간 보고서가 필요하다면 이런 방법도 활용해보세요. 혹시 다른 방법이 있으면 공유도 부탁하고요.

함께 보면 좋은 글

링크프라이스 사용자정의 링크 만들기

교보문고 퍼플 판매 정산조회

수학방 책이 나왔습니다.

 
그리드형

애드센스 보고서는 세계표준시로 작성되어 나옵니다. 그래서 한국 시간과 차이가 많이 나죠.

오후 4시에 날짜가 바꾸니까 12시에 날짜가 바뀌는 다른 통계들과 비교하기가 까다로웠습니다. 이제 부터 그런 걱정이 없어졌어요. 애드센스 보고서를 한국시간에 맞제 볼 수 있는 방법이 생겼으니까요.

현재 시간대 보고 기능으로 계정에 대한 최신 데이터 확인

이제부터는 한국시간에 맞게 생성된 보고서를 통해서 티스토리의 일일방문객 등의 통계와 비교하기가 훨씬 쉬워졌어요.

애드센스 보고서 한국 시간으로 보기

애드센스 홈에서 계정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계정 정보에서 주소, 전화번호 나오는 곳 아래 시간대라는 항목이 있어요. 거기서 수정을 누르고 목록에서 "(+9:00) 서울"을 선택하면 됩니다.

애드센스 한국시간으로 변경

 

서울을 선택하고 저장하면 이제 보고서는 한국 시간에 맞게 나와요. 바로 바뀌지는 않고 시간이 좀 걸립니다.

시간대 설정을 바꾸면 오른쪽 상단에 메시지가 나오는지 확인하세요. 새로 홈으로 가도 노란색의 메시지가 노출됩니다.

애드센스 한국시간으로 변경 메시지

 

이제 보고서를 보면 서울 시간에 맞게 표시된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애듯네스 보고서 시간대 선택

 

참고로 수익은 현지 시간이 아닌 원래 애드센스 시간 즉, 세계표준시에 맞게 지급된다고 합니다. 한국 시간과 세계 표준시의 차이때문에 수익이 조금 다를 수 있는데요. 이는 위 그림처럼 보고서에서 "결제 시간대"를 선택해서 한 달치 내역을 보면 되니까 별 문제는 아니죠.

시간대 설정을 할 수 있음으로서 다른 통계와 연동할 수 있는 부분이 많이 생겼습니다. 좀 더 다양하게 분석을 해봐야겠어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애드센스 광고 유형 한 번에 수정하기 - 텍스트/이미지광고
애드센스 스코어카드란
본문 왼쪽에 세로 애드센스 광고 넣기
애드센스 크롤러 오류 원인과 해결 방법 - 스코어카드
애드센스 타겟팅 - 문맥 vs 관심기반 vs 게재위치
애드센스 크기가 작은 광고가 나올 때
애드센스 광고 게재위치 정책 이해하기
애드센스 최적화 배치 도움되는 곳
애드센스 수익 향상 팁 - A/B 테스트

 
그리드형

+ 최근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