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애널리틱스

티스토리에는 사이트 검색 기능이 있죠. 근데 검색과 관련해서 통계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는 키워드의 숫자뿐이에요. 그래서 활용도가 많이 떨어지죠.

한동안 구글 애널리틱스의 사이트 검색 기능을 활성화하려고 했지만 도움말에 나온 대로 매개변수를 적용해봤지만 안되더라고요. 그러던 중에 푸른 바람님의 블로그 Google Analtyics 티스토리 사이트 내 검색 설정을 따라 설정을 바꿨더니 구글 애널리틱스의 사이트 검색 관련 통계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는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검색 관련 통계를 조금 더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되어서 여러 측면으로 관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의 사이트 검색

사이트 검색 통계를 보려면 구글 애널리틱스의 보고서 왼쪽 메뉴에서 방문 형태 - 사이트 검색 - 개요를 선택하세요.

 

개요를 클릭하면 그래프가 있고 가운데 아래 그림처럼 나올 거예요.

"1.60%의 방문에서 사이트 검색을 사용했습니다."라는 문구가 보이죠? 이건 방문자 중에 검색을 사용한 방문자의 비율을 말해요.

검색당 결과 페이지뷰 수는 검색 결과에서 페이지 이동을 한 평균을 말해요. 예를 들어 검색 결과 한 페이지에 20개의 목록이 표시된다고 할 때 검색 결과가 30개라면 1페이지에는 20개, 2페이지에는 남은 10개가 나오잖아요. 이때 검색을 한 후에 1, 2페이지를 이동한 걸 말하는 거죠.

제일 아래 있는 평균 검색 심도는 앞에서 설명한 결과 페이지뷰 수와 달리 검색 결과 페이지의 링크를 열어 확인한 페이지의 평균을 말합니다. 3.35라는 통계는 검색 결과 중에서 3.35개를 클릭해서 열어봤다는 뜻이죠.

검색 후 이탈률은 검색하고 링크를 열어보지 않고 떠난 비율을 말해요. 위 그림에서 18.28%니까 100명 중에 18.28명이 검색만 하고 결과 목록에서 해당 글을 클릭해보지 않고, 그냥 나갔다는 뜻이에요. 검색 후 이탈률이 높으면 검색 기능이 별로 좋지 않다는 뜻이에요. 검색했더니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아서 아예 열어보지도 않았다는 뜻이니까요. 사실 티스토리의 자체 검색 능력이 별로 좋지 않아서 고민이긴 합니다.

재검색율은 한 번 검색한 후에 또 다른 단어를 검색한 걸 말해요.

대게 검색당 결과 페이지뷰 수와 재검색율은 낮을수록 좋습니다. 검색당 결과 페이지뷰 수가 높다는 건 검색 결과에서 원하는 내용을 바로 찾지 못하고 다음 페이지로 이동을 했다는 뜻이거든요. 마찬가지로 재검색율이 높다는 건 한 번의 검색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고 여러 번 검색을 해서 겨우 원하는 내용을 찾았다는 뜻이고요.

네이버에서 "맛집"이라는 검색을 했다고 해보죠. 첫번째 결과 페이지에서 만족할 만한 식당을 찾았다면 2페이지, 3페이지로 넘어갈 필요가 없이 거기서 검색을 끝낼 거예요. 첫번째 결과 페이지에서 만족할 만한 식당을 찾지 못했을 때 2, 3페이지로 넘어가고요. 또, "서울 맛집", "맛있는 식당"처럼 다른 검색어를 이용해서 재검색을 했다는 건 "맛집"이라는 검색어로 검색을 해서 만족할만한 식당을 찾지 못했다는 뜻이기도 하죠.

즉, 검색당 결과 페이지뷰 수와 재검색율이 낮다는 건 한 번의 검색으로 원하는 정보를 바로 찾을 수 있다는 걸 말해요.

물론 반대의 경우도 있습니다. 검색해봤더니 첫번째 결과 페이지에서 소개하는 식당들이 좋아보여서 2, 3페이지에 있는 식당도 보고 싶은 경우도 있을 수 있지요.

여기에 나오는 통계들은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서 좋고 나쁨이 달라질 수 있어서 블로그마다 해석 방법이 달라질 수 있어요.

사이트 검색 활용 정보

다음은 왼쪽 메뉴의 방문형태 - 사이트 검색 - 활용 정보를 클릭했을 때예요. 사이트 검색 횟수, 비율, 페이지뷰, 이탈률 등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어요.

거기서 그래프 바로 위에 보면 "애드센스"라는 항목이 있는데 클릭해보면 아래처럼 나와요.

 

개요에서 검색한 비율은 전체의 1.60%라고 했는데, 위 표에서 애드센스 수입은 전체의 6.60%죠. 검색하지 않는 경우보다 검색을 하는 경우에 더 많은 수입을 낼 수 있다는 뜻으로 검색을 활성화하면 애드센스 수입이 늘어난다는 걸 확인할 수 있어요.

그래서 검색창이 눈에 잘 띄게 꾸미는 것도 중요합니다. 보통 검색창을 사이드바의 구석에 처박아 놓은 경우가 많은데 그러지 마세요.

본문 검색창 설치로 블로그 페이지뷰 늘리기

사이트 검색의 페이지

다음은 메뉴의 방문형태 - 사이트 검색 - 페이지입니다.

 

정확히 말해서 푸른 바람님의 블로그 Google Analtyics 티스토리 사이트 내 검색 설정은 검색 통계만 가져오는 게 아니라 카테고리, 태그의 결과도 함께 가져와요. 그래서 순수하게 검색한 결과만 알고 싶거나 태그, 카테고리를 클릭한 경우를 알고 싶다면 이 메뉴를 이용하면 됩니다.

표의 오른쪽 위에 있는 빈칸에 search (혹은 category, tag)를 넣으면 해당 항목만 보여줍니다. 고급을 누르면 정규표현식을 쓸 수도 있어요.

검색이 얼마나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태그는 제대로 활용되고 있는지 카테고리 목록은 잘 만들어졌는지를 파악할 수 있죠.

카테고리, 검색, 태그를 잘 꾸미면 페이지뷰를 높일수도 있고, 그로 인해 애드센스 수입을 많이 늘릴 수도 있어요. 특히 질좋은 컨텐츠를 많이 가진 블로그로 인식된다면 고정방문자를 모을 수 있고요.

구글 애널리틱스는 굉장히 좋은 분석 도구니까 꼭 적용해서 관련 통계를 바탕으로 블로그를 조금 더 활성화시켜보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블로그 재방문자 비율을 높여야하는 이유
본문 검색창 설치로 블로그 페이지뷰 늘리기

 
그리드형

티스토리 사용자라면 다들 구글 애널리틱스를 사용하실 거로 생각합니다.

그런데 최근에 구글 애널리틱스에 접속하면 경고 그림이 떴어요. 바로 "중복 호스트 이름" 경고요. 다른 경고들은 도움말에 나온 대로 따라 하면 해결됐는데, 이상하게 이 문제만은 도움말대로 해도 해결되지 않더라고요. 검색을 해봐도 속 시원하게 해결되는 게 없어서 이리 저리 해보다가 결국 해결책을 찾았습니다. 문제는 정규표현식이었어요.

혹시 같은 문제를 겪고 있는 분들도 이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시라고 알려드립니다.

중복 호스트 이름

구글 애널리틱스의 오른쪽 위 화면 종 모양의 아이콘에 경고 표시가 나오면 클릭하고 "자세히 알아보기"를 누르면 아래 메시지가 나옵니다.

속성에서 중복 호스트 이름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습니다. 중복 호스트 이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 mathbang.net
  • www.mathbang.net

중복 호스트 이름은 보고서에서 별도의 행으로 집계되므로, 다른 호스트 이름에서 유입되고 사이트의 같은 페이지로 전송되는 조회수의 경우 여러 행으로 나누어 표시됩니다. 데이터가 여러 행으로 나누어진 경우 특정 페이지로 유입되는 트래픽이 실제 트래픽보다 적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려면, 중복 호스트 이름 중 하나에서 다른 호스트 이름으로 301 리디렉션을 설정하거나, 찾기 및 바꾸기 필터를 만들어 호스트 이름에서 'www'를 삭제하세요.

mathbang.net과 www.mathbang.net은 같은 사이트인데, 표시 방법이 달라서 집계가 서로 따로 된다는 거죠. 그러니까 하나로 합치라는 경고입니다.

어떻게 합치는지는 "자세히 알아보기"를 누르면 도움말이 표시되는데 그곳에 해결방법이 있어요.

구글 애널리틱스 도움말 - 찾기 및 필터 바꾸기

설명이 긴데 중요한 건 아래 내용이죠.

  • 필터 입력란: 호스트 이름
  • 문자열 검색: ^www.
  • 문자열 교체: <leave this field blank>

호스트 이름 중에 www.으로 시작하는 문자열을 찾아서 공백으로 바꾸라는 뜻이죠. 그러면 www.mathbang.net이 mathbang.net으로 바뀌고 모든 집계가 mathbang.net 하나로 통합될 거예요.

중복 호스트 이름 해결 방법

다시 경고창으로 와서 하단에 있는 "필터 조정"을 클릭합니다. 아니면 상단 메뉴의 관리 - 보기 - 필터 - 새 필터를 선택해도 됩니다.

여기서 새 필터를 추가해야 하는데 도움말에 나온 것만으로는 안되고 몇 가지 더 해야 하는 게 있어요.

필터 입력 화면

  • 필터 이름에 아무거나 입력
  • 필터 유형은 맞춤의 찾기 및 바꾸기
  • 필터 입력란에는 호스트 이름 선택
  • 문자열 검색에는 ^www\.
  • 문자열 교체는 그냥 빈칸으로

 

도움말에는 문자열 검색에 ^www.을 넣으라고 되어 있지만 정규표현식으로 넣어야 하니까 점 앞에 역슬래시가 있는 ^www\.을 넣는 게 조금 더 명확한 방법이죠. (정규표현식의 결과만 따지면 둘은 아무 차이가 없는데, 이상하게 저는 ^www.만 넣었을 때는 해결되지 않다가 ^www\.을 넣었을 때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이게 이 글을 쓰게 된 이유입니다.)

그리고 제일 아래에 "보기에 필터 조정"이라는 항목이 있는데 "사용 가능한 보기" 중에서 블로그와 연결된 보기를 "선택한 보기"에 추가해야 합니다. 필터를 적용할 보기를 선택하지 않고 필터만 만들어 놓으면 아무 소용이 없겠죠? 잘 모르겠으면 거기에 있는 모든 항목을 다 추가하셔도 상관없어요.

끝으로 "저장"을 하세요.

저장한다고 해도 바로 문제가 해결되는 건 아니고 며칠이 지나야 해결됩니다. 문제가 해결된 후에 구글 애널리틱스에 접속했을 때 아래 그림처럼 "V 해결됨"이라고 표시된 걸 볼 수 있어요. 

중복 호스트 이름 해결됨

함께 보면 좋은 글

[블로그/애드센스] - 이탈률, 반송률, 종료율이란? 이탈률 낮추는 방법
[블로그/애드센스] - 본문 검색창 설치로 블로그 페이지뷰 늘리기

 
그리드형

+ 최근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