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열의 귀납적 정의는 첫째 항과 "앞의 항 → 다음 항"의 관계를 알려줘요. a1을 알면 a2를 구할 수 있고, a2를 알면 a3를 구할 수 있어요.
"첫 단추를 잘 못 끼우다." 이런 표현 있죠? 처음 시작이 잘 못 되어 그 뒤로도 계속 잘못된 상태가 된다는 뜻이잖아요. 반대로 생각해서 첫 단추를 잘 끼우면 두 번째 단추도 잘 끼울 수 있고, 두 번째 단추를 잘 끼우면 세 번째 단추도 잘 끼울 수 있어요.
수학적 귀납법은 이와 비슷해요. "앞 단계 → 다음 단계"로 이어지는 구조를 이용해서 명제가 참임을 증명해요.
첫 번째일 때 명제가 성립해요. 그리고 어떤 하나가 성립하면 연속된 그 다음도 성립한다고 해보죠.
첫 번째가 성립하면 그 다음인 두 번째도 성립하겠죠? 두 번째가 성립하니까 그 다음인 세 번째도 성립해요. 세 번째가 성립하니까 그 다음인 네 번째도 성립하고, … 이렇게 계속하면 결국 모두 다 성립하는 걸 알 수 있어요.
수학적 귀납법으로 어떤 명제가 모든 자연수에서 성립함을 보이려면 딱 두 단계만 거치면 돼요.
수학적 귀납법
1. 기초 단계: n = 1일 때 성립 확인
2. 귀납 단계: n = k일 때 성립한다고 가정하고, n = k + 1에서도 성립함을 증명
이 두 단계를 거치면, 모든 자연수에 대해 참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어요.
다음 수열을 보죠.
a1 = 1, an + 1 = an + 2
첫째항이 1이고 공차가 2인 등차수열로 일반항이 an = 2n - 1이에요.
수열의 일반항이 an = 2n - 1이 맞는지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해 볼까요?
1. 기초 단계: n = 1일 때
an = 2n - 1
= 2 × 1 - 1 (∵ n = 1 대입)
= 1
= a1
n = 1일 때, 식이 성립해요.
2. 귀납 단계: 어떤 자연수 k에 대하여 n = k일 때 ak = 2k - 1성립하면, n = k + 1일 때도 식이 성립하는지 알아보죠.
ak = 2k - 1
ak + 2 = 2k - 1 + 2 (∵ 양변 + 공차 2)
ak + 1 = 2k + 1 (∵ an + 1 = an + 2)
ak + 1 = 2(k + 1) - 1
an = 2n - 1에 n = k + 1을 대입한 것과 같으므로 n = k + 1일 때도 an = 2n - 1이 성립해요.
n = 1일 때, an = 2n - 1이 성립해요.
n = 1일 때 성립하니까 n = 2일 때도 성립해요.
n = 2일 때 성립하니까 n = 3일 때도 성립해요.
n = 3일 때 성립하니까 n = 4일 때도 성립해요.
…
따라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 = 2n - 1이 성립함을 알 수 있어요.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증명하여라.
(1) 1 + 2 + 3 + 4 + … + n = $\frac{n(1+n)}{2}$
(2) 12 + 22 + 32 + 42 + … + n2 = $\frac{n(n+1)(2n+1)}{6}$
등차수열의 합과 여러 가지 수열의 합에서 봤던 공식이에요.
(1)
1. n = 1일 때, 등식이 성립하는지 확인해보죠.
(좌변) = 1
(우변) = $\frac{1(1+n)}{2}$ = $\frac{1(1 + 1)}{2}$ = 1
(좌변) = (우변)이므로 n = 1일 때 등식이 성립해요.
2. n = k일 때 등식이 성립하면 n = k + 1일 때도 성립하는지 확인해보죠.
1 + 2 + 3 + 4 + … + k
= $\frac{k(1+k)}{2}$
1 + 2 + 3 + 4 + … + k + (k + 1)
= $\frac{k(1+k)}{2}$ + (k + 1) (∵ 양변 + (k + 1))
1 + 2 + 3 + 4 + … + k + (k + 1)
= $\frac{1}{2}$(k + 1)(k + 2)
1 + 2 + 3 + 4 + … + k + (k + 1)
= $\frac{1}{2}$(k + 1){1 + (k + 1)}
n = k + 1을 등식에 대입한 것과 같으므로 n = k + 1일 때도 등식이 성립해요.
따라서 이 등식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성립해요.
(2)
1. n = 1일 때, 등식이 성립하는지 확인해보죠.
(좌변) = 1
(우변) = $\frac{n(n+1)(2n+1)}{6}$ = $\frac{1(1+1)(2 × 1 + 1)}{6}$ = 1
(좌변) = (우변)이므로 n = 1일 때 등식이 성립해요.
2. n = k일 때 등식이 성립하면 n = k + 1일 때도 성립하는지 확인해보죠.
12 + 22 + 32 + 42 + … + k2
= $\frac{k(k+1)(2k+1)}{6}$
12 + 22 + 32 + 42 + … + k2 + (k + 1)2
= $\frac{k(k+1)(2k+1)}{6}$ + (k + 1)2
(∵ 양변 + (k + 1)2)
12 + 22 + 32 + 42 + … + k2 + (k + 1)2
= $\frac{1}{6}$(k + 1){k(2k + 1) + 6(k + 1)}
12 + 22 + 32 + 42 + … + k2 + (k + 1)2
= $\frac{1}{6}$(k + 1)(2k2 + 7k + 6)
12 + 22 + 32 + 42 + … + k2 + (k + 1)2
= $\frac{1}{6}$(k + 1)(k + 2)(2k + 3)
12 + 22 + 32 + 42 + … + k2 + (k + 1)2
= $\frac{1}{6}$(k + 1){(k + 1) + 1}{2(k + 1) + 1}
n = k + 1을 등식에 대입한 것과 같으므로 n = k + 1일 때도 등식이 성립해요.
따라서 이 등식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성립해요.
모든 자연수 n이 아니라 m(m ≥ 2)보다 크거나 같은 자연수 n에 대하여 성립하는지를 증명할 때는 1. 기초단계에서 n = 1일 때가 아니라 n = m일 때로만 바꾸고 나머지는 똑같이 증명하면 돼요.
n ≥ 5인 자연수 n에 대하여 부등식 2n ≥ n2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증명하여라.
1. n = 5일 때,
25 = 32 ≥ 52 = 25
(좌변) ≥ (우변)이므로 n = 5일 때 부등식이 성립해요.
2. n = k (k ≥ 5)일 때 부등식이 성립하면 n = k + 1일 때도 성립하는지 확인해보죠.
2k ≥ k2
2k × 2 ≥ k2 × 2 (∵ 양변 × 2)
2k ≥ 2k2
2k2 - (k + 1)2
= 2k2 - k2 - 2k - 1
= k2 - 2k - 1
= (k - 2k + 1 - 1) - 1
= (k - 1)2 - 2
k ≥ 5일 때, (k - 1)2 - 2 ≥ 0이므로 2k2 ≥ (k + 1)2
2k + 1 ≥ 2k2 ≥ (k + 1)2 → 2k + 1 ≥ (k + 1)2
n = k + 1을 부등식에 대입한 것과 같으므로 n = k + 1일 때도 부등식이 성립해요.
따라서 이 부등식은 n ≥ 5인 자연수에 대하여 성립해요.